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내 미생물의 비만 및 운동 효과에 대한 통찰 = Insight into the effects of obesity and exercise on the gut microbio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7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많은 대사 질환의 원인은 인간의 게놈, 식습관 및 신체 활동의 변화가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었다. 하지만 지난 10여년 동안 인간의 미생물군이 체내에 공존하여 다양한 질병에 영향을 ...

      수많은 대사 질환의 원인은 인간의 게놈, 식습관 및 신체 활동의 변화가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었다. 하지만 지난 10여년 동안 인간의 미생물군이 체내에 공존하여 다양한 질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지는 등 마이크 로바이옴 프로젝트 이후 장내 미생물이 다양한 환경에서 체중과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비만군과 정상군을 비교하였을 때, 장내 미생물의 구성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장내 미생물의 역할에 따라 에너지 생산과 저장을 조절하여 체중의 증가 및 지방의 축적에 관여를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비만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은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을 다양화하고 체내 조직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운동 능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비만으로 인하여 락토박실리우스(Lactobacillus), 베일로넬라(Veillonella) 등의 후벽균(Firmicutes)의 군집이 풍부해졌고 Lactobacillus, 베일로넬라(Veillonella)같은 의간균(Bacteroidetes)의 군집이 감소하나 운동을 통하여 정상 수준의 미생물 군집 균형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이크로바이옴은 운동을 통한 장내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통하여 비만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있어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그 역할이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대사 질환 및 운동에 의한 장내미생물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사질환 개선 혹은 운동 경기력 증진에 대한 가능성을 총설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ate 2000s, it was discovered that the human microbiome coexists in the body and affects a variety of diseases. In many studies, changes in the human genome,diet, and physical activity are the causes of a variety of diseases. However, after the...

      In the late 2000s, it was discovered that the human microbiome coexists in the body and affects a variety of diseases. In many studies, changes in the human genome,diet, and physical activity are the causes of a variety of diseases. However, after the entire human microbiome project, various microbi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uggest that intestinal microbes are a key factor in regulating body weight and energy metabolism. The composition of the microbial group showed a difference when comparing the obese and the normal groups. In addition, exercise, known as a treatment for obesity, has been shown to diversify the composi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and supply energy to tissues. This, it raises the possibility that microbiome can be a useful tool in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through changes in the overall gut microbiome through exercise, that can be a new means of treating obese patients and enhancing exercise performa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