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에(Bombyx mori) 5령 유충에서 무름병 증상이 발견되었다. 세균성 병원균이 감염 누에 혈액에서 분리되었고, 본 연구에서 동정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각각의 누에 5령 유충에 $5{\times}10^{6}$ cfu(c...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94164
200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9-284(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누에(Bombyx mori) 5령 유충에서 무름병 증상이 발견되었다. 세균성 병원균이 감염 누에 혈액에서 분리되었고, 본 연구에서 동정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각각의 누에 5령 유충에 $5{\times}10^{6}$ cfu(c...
누에(Bombyx mori) 5령 유충에서 무름병 증상이 발견되었다. 세균성 병원균이 감염 누에 혈액에서 분리되었고, 본 연구에서 동정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각각의 누에 5령 유충에 $5{\times}10^{6}$ cfu(colony-forming unit) 농도로 혈강 주사되었을 때, 뚜렷한 무름병 증상을 유발시켰다. 이렇게 감염된 유충들은 접종 6일 후부터 죽기 시작하여, 10일 경과 후 처리된 유충 모두 사망하였다. Bergey의 세균동정집에 기록된 형태적 및 생리적 형질을 기준으로 이 곤충병원세균이 Staphylo-coccue gallinarum으로 판명되었다. 이 판정은 탄소원 분석 미생물동정장치($MicroLog^{\circledR}$) 분석 결과와 16S-23S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 구조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이 세균이 발휘하는 살충기작의 일환으로서, 감염 후 누에 유충 혈구에 세포치사 효과를 주어 패혈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lacherie symptom was found in the fifth instar larvae of silkworm, Bombyx mori. The bacterial pathogen was isolated from the hemolymph of the infected silkworm and identified. The isolated bacteria caused a significant flacherie pathogenicity to the ...
Flacherie symptom was found in the fifth instar larvae of silkworm, Bombyx mori. The bacterial pathogen was isolated from the hemolymph of the infected silkworm and identified. The isolated bacteria caused a significant flacherie pathogenicity to the fifth instar larvae of B. mori when $5{\times}10^{6}$ cfu (colony-forming unit) of the bacteria was injected into each larva. The infected larvae began to die at 6 days after injection and resulted in complete mortality at 10 days. The bacterium was identified as Staphylococcus gallinarum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described in Bergey's manual. This identification was further supported by the characters of carbohydrate utility analyzed from a bacterial identification system ($MicroLog^{\circledR}$) and also by the molecular structure of 165-23S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s. As an insecticidal action, S. gallinarum caused hemolymph septicemia by its cytotoxic effect on the hemocytes of B. mori.
대관령지역의 연도별 진딧물 비래 및 PLRV 보독률 변동
수은유아등과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단감원 노린재류의 발생소장
산란촉진자를 이용한 호박벌(Bombus ignitus)의 산란성 및 봉세발달 개선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3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2 | 0.31 | 0.41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