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on Physical Fitness, Learning Concentration, and Body image of Students with Brain Le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5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racticality of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on physical fitness(myofunction, joint range of motion and coordination), learning concentration and self-body evaluation of brain lesions student. Method: We carried out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targeting six brain lesions students(three for experimental group and three for comparative group) of whose chronological ages were about ten to twelve. The programs were conducted three times per week during six months. We conducted before-and-after evaluations which consist of three sets of physical inspection and a set of question investigation as measurements of learning concentration and self-body evaluation. And we also conducted unstructured interviews about perception and impression of physical training which included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Finally we deduced the results from the evaluations and interviews using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irst,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enhanced the physical fitness(myofunction, joint range of motion and coordination). Second, the program enhanced all variables of learning concentration. Third, the program also enhanced all variables of body image. Forth, the program metamorphosed previous physical activities of the discomforts due to brain lesions into innovative activities with brisk movements and the stimula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Conclusion: We concluded the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could enhance the physical fitness, learning concentration and self-body evaluation of brain lesions students.
      번역하기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racticality of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on physical fitness(myofunction, joint range of motion and coordination), learning concentration and self-body evaluation of brain lesio...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racticality of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on physical fitness(myofunction, joint range of motion and coordination), learning concentration and self-body evaluation of brain lesions student. Method: We carried out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targeting six brain lesions students(three for experimental group and three for comparative group) of whose chronological ages were about ten to twelve. The programs were conducted three times per week during six months. We conducted before-and-after evaluations which consist of three sets of physical inspection and a set of question investigation as measurements of learning concentration and self-body evaluation. And we also conducted unstructured interviews about perception and impression of physical training which included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Finally we deduced the results from the evaluations and interviews using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irst,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enhanced the physical fitness(myofunction, joint range of motion and coordination). Second, the program enhanced all variables of learning concentration. Third, the program also enhanced all variables of body image. Forth, the program metamorphosed previous physical activities of the discomforts due to brain lesions into innovative activities with brisk movements and the stimula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Conclusion: We concluded the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could enhance the physical fitness, learning concentration and self-body evaluation of brain lesions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근기능, 관절 가동 범위, 협응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에 미치는 실용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생활연령 10~12세 뇌병변 장애 초등학생 6명(실험집단 3명, 비교집단 3명)을 대상으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주 3회 총 약 6개월 동안 중재를 적용하였다. 체력 평가 3개 종목, 수업집중력과 자기신체평가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포함한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평소 생각, 느낌 등에 관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체력(근기능, 관절 가동 범위, 협응력) 기능을 향상시켰다. 둘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수업집중력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셋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신체상의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넷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혼자 할 수 있는 게 없어 답답한 체육활동을 다양한 활동을 통해 활력이 생기는 체육활동,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체육활동으로 변화시켰다. 결론: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생활연령 10~12세 뇌병변장애 초등학생 6명(실험집단 3명, 비교집단 3명)을 대상으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주 3회 총 약 6개월 동안 중재를 적용하였다. 체력 평가 3개 종목, 수업집중력과 자기신체평가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포함한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평소 생각, 느낌 등에 관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체력(근기능, 관절 가동 범위, 협응력) 기능을 향상시켰다. 둘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수업집중력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셋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신체상의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넷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혼자 할 수 있는 게 없어 답답한 체육활동을 다양한 활동을 통해 활력이 생기는 체육활동,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체육활동으로 변화시켰다. 결론: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근기능, 관절 가동 범위, 협응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에 미치는 실용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생활연령 10~12...

      연구목적: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근기능, 관절 가동 범위, 협응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에 미치는 실용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생활연령 10~12세 뇌병변 장애 초등학생 6명(실험집단 3명, 비교집단 3명)을 대상으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주 3회 총 약 6개월 동안 중재를 적용하였다. 체력 평가 3개 종목, 수업집중력과 자기신체평가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포함한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평소 생각, 느낌 등에 관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체력(근기능, 관절 가동 범위, 협응력) 기능을 향상시켰다. 둘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수업집중력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셋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신체상의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넷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혼자 할 수 있는 게 없어 답답한 체육활동을 다양한 활동을 통해 활력이 생기는 체육활동,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체육활동으로 변화시켰다. 결론: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생활연령 10~12세 뇌병변장애 초등학생 6명(실험집단 3명, 비교집단 3명)을 대상으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주 3회 총 약 6개월 동안 중재를 적용하였다. 체력 평가 3개 종목, 수업집중력과 자기신체평가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포함한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평소 생각, 느낌 등에 관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체력(근기능, 관절 가동 범위, 협응력) 기능을 향상시켰다. 둘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수업집중력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셋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신체상의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넷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혼자 할 수 있는 게 없어 답답한 체육활동을 다양한 활동을 통해 활력이 생기는 체육활동,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체육활동으로 변화시켰다. 결론: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화, "헬스에이드 운동이 스트레스 물질인 활성산소와 젖산량 축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7) : 769-778, 2014

      2 여형남, "탄성밴드운동이 슬관절전치환술 환자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낙상두려움에 미치는 효과" 병원간호사회 21 (21): 266-275, 2015

      3 신홍일, "탄성밴드 운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근력, 유연성 및 순발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김현주, "컴퓨터 실습실 수업의 도입단계에서 호흡 조절이 중학생의 수업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김영옥,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 중독과 수업집중력의 관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이인철, "초등학생의 생활체육 참여가 체육수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김정숙, "지체장애인의 운동지속수행, 신체의식,자기효능감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259-274, 2011

      8 함완숙, "지체장애인의 운동경험, 장애유형, 및 등급에 따른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9 김용국, "지체장애인의 신체활동수준과 신체지각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 16 (16): 21-46, 2008

      10 오봉근,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건강증진 행동 및 삶의 질의 관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1 김명화, "헬스에이드 운동이 스트레스 물질인 활성산소와 젖산량 축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7) : 769-778, 2014

      2 여형남, "탄성밴드운동이 슬관절전치환술 환자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낙상두려움에 미치는 효과" 병원간호사회 21 (21): 266-275, 2015

      3 신홍일, "탄성밴드 운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근력, 유연성 및 순발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김현주, "컴퓨터 실습실 수업의 도입단계에서 호흡 조절이 중학생의 수업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김영옥,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 중독과 수업집중력의 관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이인철, "초등학생의 생활체육 참여가 체육수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김정숙, "지체장애인의 운동지속수행, 신체의식,자기효능감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259-274, 2011

      8 함완숙, "지체장애인의 운동경험, 장애유형, 및 등급에 따른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9 김용국, "지체장애인의 신체활동수준과 신체지각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 16 (16): 21-46, 2008

      10 오봉근,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건강증진 행동 및 삶의 질의 관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11 신준욱, "지체장애 대학생의 규칙적인 운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21-40, 2011

      12 박정영, "중학생의 체력향상이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3 이인섭, "자전거 타기가 발달장애 아동의 체지방과 신체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1

      14 김은석, "심리운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아동의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0

      15 조미현, "신체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6 홍양자, "스포츠 참여가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9 (9): 31-48, 2001

      17 박혜상, "세 가지 유형의 스트레칭이 노인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8 김삼선, "생활체육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지체장애인의 자아효능감과 생활만족 및 심리적 웰빙과의 관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19 김선현, "뇌성마비 아동의 무선센스를 이용한 집중력 및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임상미술치료 방안 - 활동 피드백을 기반으로 -" 한국조형교육학회 (41) : 23-44, 2011

      20 신은정, "고등학생의 영교시 체육수업이 체력, 자아탄력성,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1 박강규, "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뇌병변 학생의 체력, 신체적 자기개념,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91-114, 2017

      22 Joo, M. H.,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concentr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2012

      23 Han, S. Y.,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Art Classe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The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5

      24 Jung, G. H., "The Effects of Health and Physical Program by PAPS-D to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for the Health and Physical Improvements" Korea Nazarene University Special Education 2015

      25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The Dictionary of Special Education" Hawoo 2013

      26 Park, E. H., "Teachi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kjisa 2010

      27 Park, S. G., "Stomach and sore body, do not endure self massage" bookdod-um life 2016

      28 Hong, Y. J., "Special Physic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21st Publishing 1996

      29 Lee, C. S., "Social Welfare Concise" Hyeminbooks 2009

      30 Moon, S. K., "Physical activity through student health and fitness evaluation 7560+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s a student's case The influence on strength, self-assessment" 2010

      31 Lim, N. C., "Physical Strength and Life Satisfaction on Brain Lesions Students during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Walking Improvement" 2 (2): 113-134, 2016

      32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for Student with Disabilitie((PAPS-D) Development Report" Hanrimsa 2013

      33 하창완, "PAPS-D를 활용한 특수학급에서의 체육수업이 자폐성 장애 학생의 기초체력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국립특수교육원 24 (24): 238-265, 2017

      34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PAPS-D Development Physical Activity Prescription Manual: physical disability"

      35 Lee, J. Y.,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Grade 3∼4 Teacher's Guide" KumSung Publishing 2014

      36 Kim, E. S., "Effects of the probody massage on the physiological variables, gross motor function and ROM in youth with cerebral palsy : case study" The Graduate School of Silla University 2015

      37 Lee, S. O., "Effects of PAPS-D Program 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in the Severely Physical Disabilities Studen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2017

      38 Ministry of Education, "Basic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Grade 5∼6 Teacher's Guide" Miraen 2019

      39 Lim, N. C., "An effect on physical disability student's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concept applying circuit training program with each degree of disability" 1 (1): 145-16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