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 젊은 세대의 정치적 태도를 남한의 젊은세대와 비교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북한이탈주민 젊은 세대의 정치적 태도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들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58277
2012
Korean
34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67-98(32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 젊은 세대의 정치적 태도를 남한의 젊은세대와 비교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북한이탈주민 젊은 세대의 정치적 태도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들의 ...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 젊은 세대의 정치적 태도를 남한의 젊은세대와 비교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북한이탈주민 젊은 세대의 정치적 태도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들의 정치적 태도를통해 북한 사회의 정치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젊은 세대들의 정치적 태도는 지속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치과정에서 이들의 행태를 예측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젊은 세대의 정치적 태도나 성향을 분석해 그들이 필요로 하는 요소를 정책에 반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치에 대한 관심도는 북한이탈주민의 젊은 세대가 남한의 젊은 세대보다높은 편이었다. 특히 정치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나타낸 비율은 북한이탈주민 젊은 세대가 훨씬 높았다. 둘째, 정치 효능감은 북한이탈주민 젊은 세대보다 남한 젊은 세대가 높았다. 북한이탈주민의 집단내 비교에서 20대보다 30대가,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외적 정치 효능감을 나타냈다. 셋째, 남한의 20·30대는 진보 성향의 정당을 선호한 반면 북한이탈주민의 20·30대는 보수 성향의 정당을 지지했다. 무당파의 비율은 남한의 젊은 세대가 훨씬 높았다. 넷째, 두 집단 사이에 이념 성향은 큰 차이가 없었다. 북한이탈주민 20·30대에서 진보 성향은 30대 여성이, 보수 성향은 30대 남성이, 중도 성향은 20대 여성이 높았다. 또한 이들은 남한체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중도성향 및 보수 성향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고, 진보 성향은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다섯째, 두 집단은 제도에 대한 신뢰도에서 큰시각 차이를 나타냈다. 두 집단을 비교하는 경우 북한이탈주민 젊은 세대의 제도 신뢰도가 남한 젊은 세대의 제도 신뢰도보다 높았다. 거의 모든 제도에서 신뢰도는 30% 포인트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에 체류하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제도에 대한 신뢰도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political attitude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 citizens by focusing on young generation of 20s and 30s. Analyzing the political attitude of North Korean defectors is important since it may help t...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political attitude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 citizens by focusing on young generation of 20s and 30s. Analyzing the political attitude of North Korean defectors is important since it may help to understand the political culture in North Korea.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veals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re more interested politic than South Korean people. When comparing respondents who answered "a lot of interest" in politics, the percentage of young generation in North Korean defector is much higher than the one in South Korea. Second, young generation in South Korea shows the higher level of political efficacy when comparing two groups. In North Korean defectors, 30s and females as compared to 20s and males are more likely to show the external political efficacy. Third, young generation in South Korea tend to prefer the liberal party. By contrast, young people of North Korean defector supports the conservative party. Fourt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Ideology. Finally, two groups show the big gap in trust of various Korean institution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경태, "한국 대통령 선거 어떤 유권자가 참여하나?: 선거관심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7 (37): 91-112, 2003
2 전용주, "투표행태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74-99, 2009
3 정회옥, "투표기권과 정치정향 연구 : 제16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 "통일부"
5 이정우, "탈북 청소년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59-185, 2006
6 박정서, "탈북 청소년과 남한 청소년의 정치적 태도 비교 연구 : 정치효능감과 정치신뢰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7 홍순혜,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변용과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5 (15): 121-144, 2008
8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9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율 분석" 파인커뮤니케이션 2012
9 최준영, "정치적 신뢰 변화의 원인과 결과: 이론적 쟁점"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5 (15): 65-92, 2009
10 류재성, "정치이념의 정책선호 결정에 있어 정치지식의 역할"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53-86, 2012
1 강경태, "한국 대통령 선거 어떤 유권자가 참여하나?: 선거관심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7 (37): 91-112, 2003
2 전용주, "투표행태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74-99, 2009
3 정회옥, "투표기권과 정치정향 연구 : 제16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 "통일부"
5 이정우, "탈북 청소년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59-185, 2006
6 박정서, "탈북 청소년과 남한 청소년의 정치적 태도 비교 연구 : 정치효능감과 정치신뢰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7 홍순혜,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변용과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5 (15): 121-144, 2008
8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9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율 분석" 파인커뮤니케이션 2012
9 최준영, "정치적 신뢰 변화의 원인과 결과: 이론적 쟁점"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5 (15): 65-92, 2009
10 류재성, "정치이념의 정책선호 결정에 있어 정치지식의 역할"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53-86, 2012
11 설동훈, "정치이념과 세대: 한국형 정치이념 지표의 측정과 적용" 7 (7): 53-74, 2005
12 김도종, "정치심리학: 정치행위의 이해" 명지대학교 출판부 2004
13 이상신, "정치심리학: 역사와 현황*"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3 (33): 15-43, 2009
14 이재철, "정치문화와 투표행위: 5.31지방선거에 나타난 인지적, 정서적, 평가적 정향과 투표참여" 극동문제연구소 23 (23): 93-121, 2007
15 최영훈, "인터넷조사방법론의 가능성과 쟁점 II: 2001년과 2006년 행정학회회원들에 대한 설문조사결과 비교를 토대로" 한국행정학회 42 (42): 423-440, 2008
16 "연합뉴스"
17 최대석, "북한이탈주민 정책연구의 동향과 과제: 양적 성장을 넘어선 ‘성찰’과 ‘소통’" 한국국제정치학회 51 (51): 187-215, 2011
18 조은희, "북한 사회연구 동향과 과제" 북한대학원대학교 13 (13): 40-67, 2010
19 박기관, "민선자치시대 지역주민의 정치적 태도에 대한 실증적 분석과 평가- 시(市)지역 정치문화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229-253, 2007
20 박병진, "개인과 정당 간 이념성향의 정합성: 제도로서 정당의사회적 반응성의 확인을 위하여" 509-534, 2007
21 Kleppner, P., "Who Votes?: The Dynamics of Electoral Turnout,1870-1980" Praeger 1980
22 Almond, G., "The Civic Culture. Princeton : Princeton University Press, In The Civic Cul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2
23 Nie, N, "The Changing American Voter"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24 Campbell, A., "The American Voter" Wiley and Sons 1960
25 Morrell, M., "Survey and Experimental Evidence for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Internal Political Efficacy" 67 (67): 589-602, 2003
26 Timpone, R., "Structure, Behavior and Voter Turnout in the United States" 92 (92): 145-158, 1998
27 Bone, H., "Politics and Voters" McGraw-Hill Book Company 1976
28 Milbrath, L, "Political Participation: How and Why Do People Get Involved in Politics?"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1977
29 Paige, J., "Political Orientation and Riot Participation" 36 (36): 810-820, 1971
30 Dillman, D, "Mail and Internet Surveys: The Tailored Design Method" John Wiley & Sons 2007
31 Finifter, A., "Dimensions of Political Alienation" 64 : 389-410, 1970
32 Lipset, S, "Cleavage Structures,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An Introduction, In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Macmillan 1-64, 1967
33 Tesser, A., "Blackwell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Intraindividual Processes" Blackwell Publishers 2001
34 Allport, G, "Attitudes, In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Clark University Press 1935
35 이영민, "20대의 정치의식 특성과 정치성향의 형성경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1 (11): 9-43, 2010
트위터 액티비스트 연결망 특성과 이슈파급 영향력: 19대 총선을 사례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3 | 0.72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