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황성신문"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대백과 12" 웅진출판주식회사 1993
3 김재영, "한국헌법 전사(前史) : 개화기 입헌주의운동의 허(虛)와 실(實)" 헌법이론실무학회 3 (3): 2016
4 최덕교, "한국잡지백년1" 현암사 2005
5 김효전, "한국개념사총서3-헌법" 소화 2010
6 "태극학보"
7 "청의보"
8 손성준, "지식의 기획과 번역 주체로서의 동아시아 미디어― 『朝陽報』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04) : 323-358, 2018
9 허재영, "지식 보급 차원에서 본 근대 계몽기 잡지의 교육적 기능과 한계 - 『소년한반도(少年韓半島)』 를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9 (9): 235-263, 2015
10 "조양보"
1 "황성신문"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대백과 12" 웅진출판주식회사 1993
3 김재영, "한국헌법 전사(前史) : 개화기 입헌주의운동의 허(虛)와 실(實)" 헌법이론실무학회 3 (3): 2016
4 최덕교, "한국잡지백년1" 현암사 2005
5 김효전, "한국개념사총서3-헌법" 소화 2010
6 "태극학보"
7 "청의보"
8 손성준, "지식의 기획과 번역 주체로서의 동아시아 미디어― 『朝陽報』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04) : 323-358, 2018
9 허재영, "지식 보급 차원에서 본 근대 계몽기 잡지의 교육적 기능과 한계 - 『소년한반도(少年韓半島)』 를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9 (9): 235-263, 2015
10 "조양보"
11 이상구, "조선시대 산서(算書) 연구 : 규장각 소장 산서 연구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1-19, 2011
12 임화, "임화문학예술전집2 문학사" 소명출판 2009
13 유봉희, "애국계몽기 이해조의 단체·언론 활동과 그 인적 관계망-국민교육회 참여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5) : 378-403, 2014
14 "신민총보"
15 "소년한반도"
16 "서우"
17 손성준, "번역과 원본성의 창출: 롤랑부인 전기의 동아시아 수용 양상과 그 성격" 한국비교문학회 (53) : 109-142, 2011
18 "대한매일신보"
19 정교, "대한계년사 1" 소명출판 2004
20 구장률, "근대 초기 잡지와 분과학문의 형성" 케포이북스 2012
21 梁啓超, "飮氷室合集 1" 中華書局 1988
22 王昆, "梁启超与伯伦知理国家学说" 中国国家博物馆 11 (11): 2013
23 손성준, "『태극학보』 '문예'란의 출현 배경과 그 성격"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7) : 15-58, 2019
24 "『訓令存案(훈령존안)』, 『조선총독부관보』, 『승정원일기』 등 한국사데이터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