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한제국기 잡지의 정치성과 애국운동의 접변 - 『소년한반도』를 중심으로 = Assimilation of Politics and Patriotic Movement among Magazines in the Era of Korean Empire - Focusing on Sonyeon Hanban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4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s in which way politics were manifested in the magazine Sonyeon Hanbando. First,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 description of Sonyeon Hanbando as a magazine dedicated to juveniles or a discipline-oriented medium that broke away from patriotic movement or political utterances does not correspond to the truth. Yang Jae-geon, who was the publisher of Sonyeon Hanbando and decided the politics of the media, translated a number of texts of Liang Qichao, a Chinese journalist, and arranged them unconventionally, and continuously delivered political messages by repeatedly evoking Hongbeom Sipsajo (洪範十四條).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Sonyeon Hanbando planned by Yang Jae-geon was constitutional monarchy in which the monarch's despotic power is held in check, but revolution against the regime is also clearly denied, and its realistic alternative was to follow the example of Japan.
      The signifier of 'patriotism' inherently includes relativity, and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diverse voices that are in disagreement and collide with each other even within the same time and space. Although Sonyeon Hanbando was friendly towards Japan, 'patriotism' appeared as many as 9 times in its publishing remarks, and publicity phrases in each of its issues did not fail to ask readers to have 'patriotic ideas.' To judge from this, the existing opinion that Sonyeon Hanbando disguised itself with patriotic movement or their intellectual enlightenment was not connected with patriotic movement might be a corroborative evidence that many researchers recognize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s the product of purity and unity based on imagination, not a phenomenon of those days. On the other hand, centrality of the reference of Liang Qichao is also observed commonly among Joyangbo, Monthly Bulletin of Daehan Jaganghoe, and Seo-u, which had different political lines from Sonyeon Hanbando. This reveals that what makes difference in political utterances lies in knowledge transformation by the agent of acceptance, not the source text. It may be said that Sonyeon Hanbando is an important case evoking that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tself could not but be assimilated by the medium of knowledge transform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reviews in which way politics were manifested in the magazine Sonyeon Hanbando. First,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 description of Sonyeon Hanbando as a magazine dedicated to juveniles or a discipline-oriented medium that broke away from p...

      This study reviews in which way politics were manifested in the magazine Sonyeon Hanbando. First,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 description of Sonyeon Hanbando as a magazine dedicated to juveniles or a discipline-oriented medium that broke away from patriotic movement or political utterances does not correspond to the truth. Yang Jae-geon, who was the publisher of Sonyeon Hanbando and decided the politics of the media, translated a number of texts of Liang Qichao, a Chinese journalist, and arranged them unconventionally, and continuously delivered political messages by repeatedly evoking Hongbeom Sipsajo (洪範十四條).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Sonyeon Hanbando planned by Yang Jae-geon was constitutional monarchy in which the monarch's despotic power is held in check, but revolution against the regime is also clearly denied, and its realistic alternative was to follow the example of Japan.
      The signifier of 'patriotism' inherently includes relativity, and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diverse voices that are in disagreement and collide with each other even within the same time and space. Although Sonyeon Hanbando was friendly towards Japan, 'patriotism' appeared as many as 9 times in its publishing remarks, and publicity phrases in each of its issues did not fail to ask readers to have 'patriotic ideas.' To judge from this, the existing opinion that Sonyeon Hanbando disguised itself with patriotic movement or their intellectual enlightenment was not connected with patriotic movement might be a corroborative evidence that many researchers recognize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s the product of purity and unity based on imagination, not a phenomenon of those days. On the other hand, centrality of the reference of Liang Qichao is also observed commonly among Joyangbo, Monthly Bulletin of Daehan Jaganghoe, and Seo-u, which had different political lines from Sonyeon Hanbando. This reveals that what makes difference in political utterances lies in knowledge transformation by the agent of acceptance, not the source text. It may be said that Sonyeon Hanbando is an important case evoking that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tself could not but be assimilated by the medium of knowledge trans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잡지 『소년한반도』의 정치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발현되고 있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우선 『소년한반도』가 소년 전문 잡지라거나 애국운동 및 정치적 언설이 탈각된 분과학문 위주의 매체라는 기존의 설명이 진상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혔다. 『소년한반도』의 발행인이자 매체의 정치성을 결정했던 양재건은 중국 언론인 량치차오의 텍스트 다수를 번역하여 변칙적으로 배치하였고, 홍범 14조를 거듭 소환하여 정치적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했다. 양재건이 기획한 『소년한반도』의 정치적 지향은 군주의 전제권(專制權)을 견제하되 체제 혁명의 방식 역시 명확하게 부정하는 입헌군주제에 있었으며, 그 현실적 대안은 메이지 일본을 모범으로 삼는 것이었다.
      ‘애국’이라는 기표는 태생적으로 상대성을 내장하며 동일한 시공간 내에서도 엇갈리고 충돌하는 다양한 목소리들의 기점이 된다. 일본 친화적이었던 『소년한반도』였음에도 발간사에는 ‘애국’이 9차례나 등장했고 매호의 홍보문구는 어김없이 ‘애국사상’이 있는 구독자를 요청하고 있었다. 미루어 볼 때, 『소년한반도』가 애국운동을 위장하고 있었다거나 그들의 지식 계몽이 애국운동과 연결되지 않았다는 기존 견해는 연구자들이 그동안 애국계몽운동을 순수성 및 통일성의 산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증좌일지 모른다. 한편, 『소년한반도』와 정치적 노선이 달랐던 『조양보』, 『대한자강회월보』, 『서우』 등에서도 량치차오라는 레퍼런스의 중심성은 공통적으로 관찰된다. 이는 정치 발화의 차이를 만드는 것이 원천 텍스트가 아닌 매개자의 변용이라는 사실을 드러내 준다. 『소년한반도』는 애국계몽운동 자체가 지식의 변용을 매개로 접변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음을 환기하는 주요 사례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잡지 『소년한반도』의 정치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발현되고 있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우선 『소년한반도』가 소년 전문 잡지라거나 애국운동 및 정치적 언설이 탈각된 분과학...

      이 연구는 잡지 『소년한반도』의 정치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발현되고 있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우선 『소년한반도』가 소년 전문 잡지라거나 애국운동 및 정치적 언설이 탈각된 분과학문 위주의 매체라는 기존의 설명이 진상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혔다. 『소년한반도』의 발행인이자 매체의 정치성을 결정했던 양재건은 중국 언론인 량치차오의 텍스트 다수를 번역하여 변칙적으로 배치하였고, 홍범 14조를 거듭 소환하여 정치적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했다. 양재건이 기획한 『소년한반도』의 정치적 지향은 군주의 전제권(專制權)을 견제하되 체제 혁명의 방식 역시 명확하게 부정하는 입헌군주제에 있었으며, 그 현실적 대안은 메이지 일본을 모범으로 삼는 것이었다.
      ‘애국’이라는 기표는 태생적으로 상대성을 내장하며 동일한 시공간 내에서도 엇갈리고 충돌하는 다양한 목소리들의 기점이 된다. 일본 친화적이었던 『소년한반도』였음에도 발간사에는 ‘애국’이 9차례나 등장했고 매호의 홍보문구는 어김없이 ‘애국사상’이 있는 구독자를 요청하고 있었다. 미루어 볼 때, 『소년한반도』가 애국운동을 위장하고 있었다거나 그들의 지식 계몽이 애국운동과 연결되지 않았다는 기존 견해는 연구자들이 그동안 애국계몽운동을 순수성 및 통일성의 산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증좌일지 모른다. 한편, 『소년한반도』와 정치적 노선이 달랐던 『조양보』, 『대한자강회월보』, 『서우』 등에서도 량치차오라는 레퍼런스의 중심성은 공통적으로 관찰된다. 이는 정치 발화의 차이를 만드는 것이 원천 텍스트가 아닌 매개자의 변용이라는 사실을 드러내 준다. 『소년한반도』는 애국계몽운동 자체가 지식의 변용을 매개로 접변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음을 환기하는 주요 사례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대백과 12" 웅진출판주식회사 1993

      3 김재영, "한국헌법 전사(前史) : 개화기 입헌주의운동의 허(虛)와 실(實)" 헌법이론실무학회 3 (3): 2016

      4 최덕교, "한국잡지백년1" 현암사 2005

      5 김효전, "한국개념사총서3-헌법" 소화 2010

      6 "태극학보"

      7 "청의보"

      8 손성준, "지식의 기획과 번역 주체로서의 동아시아 미디어― 『朝陽報』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04) : 323-358, 2018

      9 허재영, "지식 보급 차원에서 본 근대 계몽기 잡지의 교육적 기능과 한계 - 『소년한반도(少年韓半島)』 를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9 (9): 235-263, 2015

      10 "조양보"

      1 "황성신문"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대백과 12" 웅진출판주식회사 1993

      3 김재영, "한국헌법 전사(前史) : 개화기 입헌주의운동의 허(虛)와 실(實)" 헌법이론실무학회 3 (3): 2016

      4 최덕교, "한국잡지백년1" 현암사 2005

      5 김효전, "한국개념사총서3-헌법" 소화 2010

      6 "태극학보"

      7 "청의보"

      8 손성준, "지식의 기획과 번역 주체로서의 동아시아 미디어― 『朝陽報』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04) : 323-358, 2018

      9 허재영, "지식 보급 차원에서 본 근대 계몽기 잡지의 교육적 기능과 한계 - 『소년한반도(少年韓半島)』 를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9 (9): 235-263, 2015

      10 "조양보"

      11 이상구, "조선시대 산서(算書) 연구 : 규장각 소장 산서 연구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1-19, 2011

      12 임화, "임화문학예술전집2 문학사" 소명출판 2009

      13 유봉희, "애국계몽기 이해조의 단체·언론 활동과 그 인적 관계망-국민교육회 참여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5) : 378-403, 2014

      14 "신민총보"

      15 "소년한반도"

      16 "서우"

      17 손성준, "번역과 원본성의 창출: 롤랑부인 전기의 동아시아 수용 양상과 그 성격" 한국비교문학회 (53) : 109-142, 2011

      18 "대한매일신보"

      19 정교, "대한계년사 1" 소명출판 2004

      20 구장률, "근대 초기 잡지와 분과학문의 형성" 케포이북스 2012

      21 梁啓超, "飮氷室合集 1" 中華書局 1988

      22 王昆, "梁启超与伯伦知理国家学说" 中国国家博物馆 11 (11): 2013

      23 손성준, "『태극학보』 '문예'란의 출현 배경과 그 성격"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7) : 15-58, 2019

      24 "『訓令存案(훈령존안)』, 『조선총독부관보』, 『승정원일기』 등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6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