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치료 경험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평균 연령 85세의 노인 8명으로 노인주간보호센터에 입소 중이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55319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5-48(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치료 경험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평균 연령 85세의 노인 8명으로 노인주간보호센터에 입소 중이며,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치료 경험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평균 연령 85세의 노인 8명으로 노인주간보호센터에 입소 중이며, 치매 간이검사(MMSE-K) 점수가 25점 이상인 정상인지 수준의 노인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공통적인 경험의 본질로 판단되는 15개의 하위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4개의 구성요소는 ‘집단음악치료를 참여하게 된 계기’, ‘집단 음악치료에서의 긍정적인 경험’, ‘집단음악치료에서의 어려운 경험’, ‘향후 집단음악치료에 대한 기대’로 나타났으며,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이 느끼는 집단음악치료의 경험은 그들의 삶에 매우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치료 경험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도왔으며,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에게 비대면 음악치료가 새로운 플랫폼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 치료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심리 ․ 정서적 건강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음악치료를 적용하는 데 있어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ndamentally understand and explore the group music therapy experiences of elderly individuals at a day care center.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eight elderly individuals with an average age of 85, residing in a da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ndamentally understand and explore the group music therapy experiences of elderly individuals at a day care center.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eight elderly individuals with an average age of 85, residing in a day care center and assessed to have normal cognitive function with a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score of 25 or high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from March to April 2021,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llow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 As a result, 15 sub-elements deemed essential to the common experience were extracted, ultimately lea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four main compon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group music therapy’, ‘positive experiences in group music therapy’, ‘challenges in group music therapy’, and ‘expectations for future group music therapy’. The elderly participants’ experiences of group music therapy at the day care center were analyze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meanings in their lives. This study has helped to ga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group music therapy experiences of the elderly at day care centers, and it is significant in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remote music therapy as a new platform for these elderly individu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applying music therapy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emotion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dividuals at day care centers.
민요를 활용한 노래 만들기가 주간보호센터 이용 노인의 사기, 삶의 질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음악치료 전공생과 음악치료사의 연구활동 현황 및 연구와 연구역량 그리고 발전방안에 대한 인식 조사
노래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현장 소방공무원의 팀워크와 직무스트레스,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음악치료 인턴들의 음악적 창조성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