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 critical survey of market thought in terms of huma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70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論文은 주류경제 사상에 내포된 人間性중심의 관점을 검토하면서 그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서술적으로 인간주의 인식론 차원에서 특히 사회과확적 인식에 주안점을 둔 논문으로 그 主된 목적은 人間主義 경제학 서설의 기초에 기여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경제사상은 주로 J. S. Mill, K. Marx, Th. Velblen, J. M. keynes, J. Schumpter, K. Polanyi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역점을 두고 있는 시각은 시장경제 시스템의 교환을 통해 서로 效用을 증진시키지만 그것이 대인관계의 인간성에 어떠한 效果를 가져오는가를 중심으로 고찰한 바 있다. 자본주의는 시장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러한 제도는 결국 인간성의 왜곡 내지 저해라는 비인간적인 희생과 비용을 바탕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논증한 것이 본 논문의 주요내용으로 되어 있다. 效用主義의 일관성을 부인하는 그리고 도의와 이타심을 강조했던 J. S. Mill, 소외와 착취, 물신론을 강조했던 K. Marx, 전시적 소비, 본능적 낭비 습성을 강조했던 제도학자 Th. Veblen, 유효수요이론과 시장 간섭을 통한 자본주의의 유지를 가능케했던, J. M. Keynes 그리고 경제가 온 사회문화를 지배한다는 K. Polanyi 등 모두 人間主義관점에서 높이 평가되는 경제사상이었음을 논증하고 있다. 특기할 것은 필자는 Polanyi의 反시장적 투쟁 명제를 반대하며 오히려 시장과 사회 시스템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절충적 접근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번역하기

      本論文은 주류경제 사상에 내포된 人間性중심의 관점을 검토하면서 그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서술적으로 인간주의 인식론 차원에서 특히 사회과확적 인식에 주안점을 둔 논문으로 그 主된 ...

      本論文은 주류경제 사상에 내포된 人間性중심의 관점을 검토하면서 그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서술적으로 인간주의 인식론 차원에서 특히 사회과확적 인식에 주안점을 둔 논문으로 그 主된 목적은 人間主義 경제학 서설의 기초에 기여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경제사상은 주로 J. S. Mill, K. Marx, Th. Velblen, J. M. keynes, J. Schumpter, K. Polanyi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역점을 두고 있는 시각은 시장경제 시스템의 교환을 통해 서로 效用을 증진시키지만 그것이 대인관계의 인간성에 어떠한 效果를 가져오는가를 중심으로 고찰한 바 있다. 자본주의는 시장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러한 제도는 결국 인간성의 왜곡 내지 저해라는 비인간적인 희생과 비용을 바탕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논증한 것이 본 논문의 주요내용으로 되어 있다. 效用主義의 일관성을 부인하는 그리고 도의와 이타심을 강조했던 J. S. Mill, 소외와 착취, 물신론을 강조했던 K. Marx, 전시적 소비, 본능적 낭비 습성을 강조했던 제도학자 Th. Veblen, 유효수요이론과 시장 간섭을 통한 자본주의의 유지를 가능케했던, J. M. Keynes 그리고 경제가 온 사회문화를 지배한다는 K. Polanyi 등 모두 人間主義관점에서 높이 평가되는 경제사상이었음을 논증하고 있다. 특기할 것은 필자는 Polanyi의 反시장적 투쟁 명제를 반대하며 오히려 시장과 사회 시스템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절충적 접근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Foreword Ⅱ. John Stuart Mill (1806-1873) Ⅲ. Karl H. Marx (1818-1883) Ⅳ. Thorstein Veblen (1857-1929) Ⅴ. J. M. Keynes (1883-1946) Ⅵ. Karl Polanyi (1886-1964) Ⅶ. J. Schumpeter (1883-1950) Ⅷ. Conclusion 참고문헌 국문초록
      • Ⅰ. Foreword Ⅱ. John Stuart Mill (1806-1873) Ⅲ. Karl H. Marx (1818-1883) Ⅳ. Thorstein Veblen (1857-1929) Ⅴ. J. M. Keynes (1883-1946) Ⅵ. Karl Polanyi (1886-1964) Ⅶ. J. Schumpeter (1883-1950) Ⅷ. Conclusion 참고문헌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