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경태, "화교(華僑)`에서 `화인(華人)`으로- 식민시기와 냉전시기 인도네시아의 화인 정책" 다문화통합연구소 2 (2): 33-61, 2009
2 최승현, "현대 중국 교민정책에 대한 小考" 한국중국문화학회 (16) : 189-214, 2003
3 임채완, "한국 화교의 역할과 발전방향"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34, 2006
4 전형권, "초국가주의 관점에서 본 화교 디아스포라와 네트워크" 대한정치학회 13 (13): 95-125, 2005
5 "중국화교사무판공실"
6 임채완, "재외한인과 글로벌 네트워크" 한울아카데미 2006
7 윤인진, "인도네시아의 민족관계: 화교를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45 (45): 227-274, 2002
8 홍재현, "인도네시아 화교사회 형성과 반화교폭동에 대한 연구" 중국인문학회 (47) : 401-419, 2011
9 정재각, "이주정책론" 인간사랑 2010
10 전형권, "우즈베키스탄의 민족정책과 고려인 디아스포라 정체성 - 고려인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1 (21): 351-380, 2006
1 박경태, "화교(華僑)`에서 `화인(華人)`으로- 식민시기와 냉전시기 인도네시아의 화인 정책" 다문화통합연구소 2 (2): 33-61, 2009
2 최승현, "현대 중국 교민정책에 대한 小考" 한국중국문화학회 (16) : 189-214, 2003
3 임채완, "한국 화교의 역할과 발전방향"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34, 2006
4 전형권, "초국가주의 관점에서 본 화교 디아스포라와 네트워크" 대한정치학회 13 (13): 95-125, 2005
5 "중국화교사무판공실"
6 임채완, "재외한인과 글로벌 네트워크" 한울아카데미 2006
7 윤인진, "인도네시아의 민족관계: 화교를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45 (45): 227-274, 2002
8 홍재현, "인도네시아 화교사회 형성과 반화교폭동에 대한 연구" 중국인문학회 (47) : 401-419, 2011
9 정재각, "이주정책론" 인간사랑 2010
10 전형권, "우즈베키스탄의 민족정책과 고려인 디아스포라 정체성 - 고려인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1 (21): 351-380, 2006
11 고광신, "국내거주 고려인의 심리·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회사회사업학회 (15) : 45-84, 2011
12 홍봉선, "결혼이주여성 지역사회적응 척도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부산복지개발원 2012
13 崔承现, "韩国华侨史研究" 香港社会科学出版社有限公司 2003
14 廖建裕, "现阶段的印尼华族研究" 新加坡教育出版社 1978
15 李卓辉, "大江浩海印华风雨: 印华先辈建设印尼血泪历程" 联通书局出版社 2013
16 耿红卫, "印度尼西亚华文教育的历史沿革与现状" 5 (5): 67-73, 2007
17 陈燕南, "印度尼西亚华人及其经济地位" (191) : 73-76, 2013
18 丁丽兴, "从被动适应到主动融入:印度尼西亚华侨华人社团的历史演进" 24-27, 2009
19 梁英明, "从中华学堂到三与学校——论印度尼西亚现代华文学校的发展与演变" (2) : 1-12, 2013
20 Gorden, M. M., "Assimlation in America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