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갈등과 융합 : 인도네시아 화인 디아스포라의 현지적응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68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verseas Chinese is the largest diaspora group in the world. As of 2010, the number of Chinese diaspora dispersed globally is 45,430,000 in total and those of whom, almost 73%, are staying in Southeast Asia. Especially, Indonesia has been formed the most complicated and contradictory society of Chinese diaspora. The government of Indonesia carried out national policy purposed Pancasila as an ideology of national integration, but migrants are be seen by separative and discriminative view point. It made enmity among national group after all, and Chinese diaspora is living as a stranger neither assimilation nor separation in particular. Under the background, this study is analyzed the adjustment of Chinese diaspora and its strategy through depth-interview focusing on the diaspora adjustment. Consequently, Chinese diaspora exists in transnational border, which is shown dual adjustment aspect of Chinese diaspora. That is, Chinese diaspora has not only position as local people to settle stably but also dual position to maintain Chinese tradition and culture. Therefore, Chinese diaspora has tried to adjust through the process of ceaseless conflict, clash and convergence against the government’s oppressive restriction policy, social discrimination and attack.
      번역하기

      Overseas Chinese is the largest diaspora group in the world. As of 2010, the number of Chinese diaspora dispersed globally is 45,430,000 in total and those of whom, almost 73%, are staying in Southeast Asia. Especially, Indonesia has been formed the m...

      Overseas Chinese is the largest diaspora group in the world. As of 2010, the number of Chinese diaspora dispersed globally is 45,430,000 in total and those of whom, almost 73%, are staying in Southeast Asia. Especially, Indonesia has been formed the most complicated and contradictory society of Chinese diaspora. The government of Indonesia carried out national policy purposed Pancasila as an ideology of national integration, but migrants are be seen by separative and discriminative view point. It made enmity among national group after all, and Chinese diaspora is living as a stranger neither assimilation nor separation in particular. Under the background, this study is analyzed the adjustment of Chinese diaspora and its strategy through depth-interview focusing on the diaspora adjustment. Consequently, Chinese diaspora exists in transnational border, which is shown dual adjustment aspect of Chinese diaspora. That is, Chinese diaspora has not only position as local people to settle stably but also dual position to maintain Chinese tradition and culture. Therefore, Chinese diaspora has tried to adjust through the process of ceaseless conflict, clash and convergence against the government’s oppressive restriction policy, social discrimination and attac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연구배경 및 목적
      • 2. 연구방법
      • Ⅱ. 이론적 논의
      • 1. 선행연구 검토
      • Ⅰ. 서론
      • 1. 연구배경 및 목적
      • 2. 연구방법
      • Ⅱ. 이론적 논의
      • 1. 선행연구 검토
      • 2. 디아스포라의 현지적응과 이중적 입장
      • 3. 연구 분석틀
      • Ⅲ. 인도네시아 화인 디아스포라의 현지적응 실태
      • 1. ‘보이지 않는’ 화인 디아스포라 사회
      • 2. 화인 디아스포라의 세대 간 단층(断层)
      • 3. 이방인으로서의 화인 디아스포라
      • Ⅳ. 인도네시아 화인 디아스포라의 이중적 현지적응
      • 1. 화인 디아스포라의 현지화: 화교에서 화인으로의 신분 전환
      • 2. 화인 디아스포라의 민족화
      • Ⅴ. 결론
      • 참고문헌
      • 논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태, "화교(華僑)`에서 `화인(華人)`으로- 식민시기와 냉전시기 인도네시아의 화인 정책" 다문화통합연구소 2 (2): 33-61, 2009

      2 최승현, "현대 중국 교민정책에 대한 小考" 한국중국문화학회 (16) : 189-214, 2003

      3 임채완, "한국 화교의 역할과 발전방향"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34, 2006

      4 전형권, "초국가주의 관점에서 본 화교 디아스포라와 네트워크" 대한정치학회 13 (13): 95-125, 2005

      5 "중국화교사무판공실"

      6 임채완, "재외한인과 글로벌 네트워크" 한울아카데미 2006

      7 윤인진, "인도네시아의 민족관계: 화교를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45 (45): 227-274, 2002

      8 홍재현, "인도네시아 화교사회 형성과 반화교폭동에 대한 연구" 중국인문학회 (47) : 401-419, 2011

      9 정재각, "이주정책론" 인간사랑 2010

      10 전형권, "우즈베키스탄의 민족정책과 고려인 디아스포라 정체성 - 고려인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1 (21): 351-380, 2006

      1 박경태, "화교(華僑)`에서 `화인(華人)`으로- 식민시기와 냉전시기 인도네시아의 화인 정책" 다문화통합연구소 2 (2): 33-61, 2009

      2 최승현, "현대 중국 교민정책에 대한 小考" 한국중국문화학회 (16) : 189-214, 2003

      3 임채완, "한국 화교의 역할과 발전방향"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34, 2006

      4 전형권, "초국가주의 관점에서 본 화교 디아스포라와 네트워크" 대한정치학회 13 (13): 95-125, 2005

      5 "중국화교사무판공실"

      6 임채완, "재외한인과 글로벌 네트워크" 한울아카데미 2006

      7 윤인진, "인도네시아의 민족관계: 화교를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45 (45): 227-274, 2002

      8 홍재현, "인도네시아 화교사회 형성과 반화교폭동에 대한 연구" 중국인문학회 (47) : 401-419, 2011

      9 정재각, "이주정책론" 인간사랑 2010

      10 전형권, "우즈베키스탄의 민족정책과 고려인 디아스포라 정체성 - 고려인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1 (21): 351-380, 2006

      11 고광신, "국내거주 고려인의 심리·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회사회사업학회 (15) : 45-84, 2011

      12 홍봉선, "결혼이주여성 지역사회적응 척도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부산복지개발원 2012

      13 崔承现, "韩国华侨史研究" 香港社会科学出版社有限公司 2003

      14 廖建裕, "现阶段的印尼华族研究" 新加坡教育出版社 1978

      15 李卓辉, "大江浩海印华风雨: 印华先辈建设印尼血泪历程" 联通书局出版社 2013

      16 耿红卫, "印度尼西亚华文教育的历史沿革与现状" 5 (5): 67-73, 2007

      17 陈燕南, "印度尼西亚华人及其经济地位" (191) : 73-76, 2013

      18 丁丽兴, "从被动适应到主动融入:印度尼西亚华侨华人社团的历史演进" 24-27, 2009

      19 梁英明, "从中华学堂到三与学校——论印度尼西亚现代华文学校的发展与演变" (2) : 1-12, 2013

      20 Gorden, M. M., "Assimlation in America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n Cultur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7 0.629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