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동구 가죽패션 사회적경제 클러스터’ 사례를 통해 본 구성원들의 실천공동체 경험 분석 =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Communities of Practice - the case study of the Socia Economy cluster of Leather Fashion in Gangdong-g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8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formation process of social economy Community of Leather Fashion in Gangdong-gu with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of Practice(CoP) and aims to propose an alternative for the start-up strategy of Social Economy focused on establishment in Korea.
      After the IMF bailout financing, Social Economy has been driven by government and considered an effective policy to resolve the unemployment and job creation. There are certain connections between social economy(participation and mutual cooperation) and CoP(interrelationship and interaction).
      Gangdong-gu’s leather fashion start-up social economy cluster has been active in earnest since 2017 after preparation period from 2014 to 2016. There are three key elements (domain, community, and practice) in CoP and each element can be referred to Gangong-gu. In terms of domain, there are common interest in the Gangdong-gu area and leather fashion. In terms of community, there are growth with relationship and their mutual learning becomes a learning community over time. And in terms of practice, there are reliable information and network, share knowledge, solve problems, and generate new knowledge resources.
      The domain, community and practice reviewed in the Gangdong-gu case were respectively related with the public purposes of the social economy, independent and democratic operations, and priority given to people not capital. Above all, It means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social economy is more essential because social economy works as its success principle for the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through not its value but the experience of the CoP.
      This study shows that the CoP based social economy could be strategically activated by building CoP before startup, by promoting community with a coordinator suitable for the business sector and by planning each stages of startup. Although there are aspects that reflect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leather fashion, strategic model to foster a CoP based social economy that can combine people with similar problems in the same field and build a community where knowledge is shared and created should be consider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formation process of social economy Community of Leather Fashion in Gangdong-gu with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of Practice(CoP) and aims to propose an alternative for the start-up strategy of Social Economy focused...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formation process of social economy Community of Leather Fashion in Gangdong-gu with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of Practice(CoP) and aims to propose an alternative for the start-up strategy of Social Economy focused on establishment in Korea.
      After the IMF bailout financing, Social Economy has been driven by government and considered an effective policy to resolve the unemployment and job creation. There are certain connections between social economy(participation and mutual cooperation) and CoP(interrelationship and interaction).
      Gangdong-gu’s leather fashion start-up social economy cluster has been active in earnest since 2017 after preparation period from 2014 to 2016. There are three key elements (domain, community, and practice) in CoP and each element can be referred to Gangong-gu. In terms of domain, there are common interest in the Gangdong-gu area and leather fashion. In terms of community, there are growth with relationship and their mutual learning becomes a learning community over time. And in terms of practice, there are reliable information and network, share knowledge, solve problems, and generate new knowledge resources.
      The domain, community and practice reviewed in the Gangdong-gu case were respectively related with the public purposes of the social economy, independent and democratic operations, and priority given to people not capital. Above all, It means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social economy is more essential because social economy works as its success principle for the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through not its value but the experience of the CoP.
      This study shows that the CoP based social economy could be strategically activated by building CoP before startup, by promoting community with a coordinator suitable for the business sector and by planning each stages of startup. Although there are aspects that reflect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leather fashion, strategic model to foster a CoP based social economy that can combine people with similar problems in the same field and build a community where knowledge is shared and created should be conside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강동구 가죽패션 경제공동체 형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사회적경제 창업 과정에서 실천공동체(CoP)적 성장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설립 위주 일변도의 국내 사회 적경제 창업 전략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동안 한국의 사회적경제는 IMF 이후 실업과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주도의 방 안으로서 설립위주의 정책으로 흘러왔다. 사회적경제는 지역주민을 비롯한 당사자의 참여와 상호협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구성원 간의 관계맺음과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실천 공동체의 학습과 실천이 연계점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2014년~2016년 준비기를 거쳐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강동구의 가죽패 션창업 사회적경제 클러스터는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협업 모델로 실천공동체 경험으로 해석 하자면 첫째, 도메인 차원에서 ▲지역에 대한 관심과 ▲가죽패션업에 대한 관심이 주효했으 며 둘째, 커뮤니티 차원에서는 ▲관계를 통한 성장과 ▲일과 배움이 동시에 일어나는 특성을 보였고 마지막으로 프랙티스 차원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네트워크 구축 ▲협업을 통한 새로운 노하우가 형성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실천공동체 경험으로 해석한 강동 구 사례에서의 도메인은 사회적경제의 공익적 목적과 연계되고, 강동구 커뮤니티의 특성은 독립적이고 민주적인 운영을 시사하며, 결과로서의 프랙티스는 이윤 창출보다 사람들에게 주 어진 우선권을 더 중시한다. 이는 강동구 가죽패션 사회적경제의 운영원리가 실천공동체 경 험을 통해 가치에 대한 당위를 넘어 사회적경제 성공원리를 제시했다는 차원에서 더 본질적 인 측면이 있다.
      실천공동체적 원리를 적용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은 첫째 ▲창업에 앞서 실천공동체적 모임 형성, 둘째 ▲업종에 맞는 커뮤니티 코디네이터를 통한 촉진, 셋째 ▲실천공동체를 통한 단계별 창업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가죽패션이라는 제조업 특성이 강하게 반영된 측면이 있으나 플랫폼 노동과 1인 메이커스가 점점 늘어나는 상황에서 동일한 업종의 비슷한 문제의식을 느끼는 당사자들을 묶어주고 배움을 기반으로 한 자발적 공동체 형성, 지식의 공유를 통한 혁신의 가능성을 구체적인 현장사례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사회적경제 현장에 실효성 있는 지원정책 수립이 이루어지길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강동구 가죽패션 경제공동체 형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사회적경제 창업 과정에서 실천공동체(CoP)적 성장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설립 위주 일변도의 국내 사회 적경...

      본 연구는 강동구 가죽패션 경제공동체 형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사회적경제 창업 과정에서 실천공동체(CoP)적 성장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설립 위주 일변도의 국내 사회 적경제 창업 전략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동안 한국의 사회적경제는 IMF 이후 실업과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주도의 방 안으로서 설립위주의 정책으로 흘러왔다. 사회적경제는 지역주민을 비롯한 당사자의 참여와 상호협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구성원 간의 관계맺음과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실천 공동체의 학습과 실천이 연계점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2014년~2016년 준비기를 거쳐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강동구의 가죽패 션창업 사회적경제 클러스터는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협업 모델로 실천공동체 경험으로 해석 하자면 첫째, 도메인 차원에서 ▲지역에 대한 관심과 ▲가죽패션업에 대한 관심이 주효했으 며 둘째, 커뮤니티 차원에서는 ▲관계를 통한 성장과 ▲일과 배움이 동시에 일어나는 특성을 보였고 마지막으로 프랙티스 차원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네트워크 구축 ▲협업을 통한 새로운 노하우가 형성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실천공동체 경험으로 해석한 강동 구 사례에서의 도메인은 사회적경제의 공익적 목적과 연계되고, 강동구 커뮤니티의 특성은 독립적이고 민주적인 운영을 시사하며, 결과로서의 프랙티스는 이윤 창출보다 사람들에게 주 어진 우선권을 더 중시한다. 이는 강동구 가죽패션 사회적경제의 운영원리가 실천공동체 경 험을 통해 가치에 대한 당위를 넘어 사회적경제 성공원리를 제시했다는 차원에서 더 본질적 인 측면이 있다.
      실천공동체적 원리를 적용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은 첫째 ▲창업에 앞서 실천공동체적 모임 형성, 둘째 ▲업종에 맞는 커뮤니티 코디네이터를 통한 촉진, 셋째 ▲실천공동체를 통한 단계별 창업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가죽패션이라는 제조업 특성이 강하게 반영된 측면이 있으나 플랫폼 노동과 1인 메이커스가 점점 늘어나는 상황에서 동일한 업종의 비슷한 문제의식을 느끼는 당사자들을 묶어주고 배움을 기반으로 한 자발적 공동체 형성, 지식의 공유를 통한 혁신의 가능성을 구체적인 현장사례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사회적경제 현장에 실효성 있는 지원정책 수립이 이루어지길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지수,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산업경영연구소 40 (40): 235-259, 2017

      2 "협동조합"

      3 우미숙, "프리랜서협동조합의 유형별 특성 분석" 한국협동조합학회 36 (36): 1-19, 2018

      4 조성남, "질적연구방법과 실제" 그린 2011

      5 주옥채, "지역사회의 주민 자생적 CoP의 형성과정 연구 -장흥학당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4 (24): 1-26, 2012

      6 오단이, "지역 사회적경제 생태계 실상과 고찰 : 동작구를 중심으로" 국제개발연구소 7 (7): 1-26, 2017

      7 최미나, "지식창출 및 공유전략으로서의 실행공동체 (CoP: Communities of Practice) 발전과정에 관한 사례연구지식창출 및 공유전략으로서의 실행공동체(CoP: Communities of Practice) 발전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177-208, 2003

      8 박소희, "지식창출 과정으로서 기업입문교육의 의례에 관한 사례연구 : C사의 신입사원 직무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9 김윤희, "지식의 공유 및 창조의 장으로서 기업의 웹 활용 현황 분석" 5 (5): 63-81, 2003

      10 강황선, "정부조직 CoP 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H.P. 분석을 통한 상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9 (19): 107-135, 2009

      1 윤지수,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산업경영연구소 40 (40): 235-259, 2017

      2 "협동조합"

      3 우미숙, "프리랜서협동조합의 유형별 특성 분석" 한국협동조합학회 36 (36): 1-19, 2018

      4 조성남, "질적연구방법과 실제" 그린 2011

      5 주옥채, "지역사회의 주민 자생적 CoP의 형성과정 연구 -장흥학당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4 (24): 1-26, 2012

      6 오단이, "지역 사회적경제 생태계 실상과 고찰 : 동작구를 중심으로" 국제개발연구소 7 (7): 1-26, 2017

      7 최미나, "지식창출 및 공유전략으로서의 실행공동체 (CoP: Communities of Practice) 발전과정에 관한 사례연구지식창출 및 공유전략으로서의 실행공동체(CoP: Communities of Practice) 발전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177-208, 2003

      8 박소희, "지식창출 과정으로서 기업입문교육의 의례에 관한 사례연구 : C사의 신입사원 직무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9 김윤희, "지식의 공유 및 창조의 장으로서 기업의 웹 활용 현황 분석" 5 (5): 63-81, 2003

      10 강황선, "정부조직 CoP 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H.P. 분석을 통한 상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9 (19): 107-135, 2009

      11 이자성, "일본 사회적기업의 중간지원조직 특징 및 시사점" 산업경영연구소 41 (41): 71-96, 2018

      12 정관영, "이제는 사회적경제다" 공동체 2013

      13 이재희,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에서의 “일”의 방식: 그들은 어떻게 사회적 가치를 실천해 나가고 있는가?"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 (20): 239-273, 2018

      14 방유성, "응용 및 사례 : 성공적 지식경영을 위한 CoP 운영전략 : S 사의 지식경영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1 (1): 127-137, 2000

      15 김형미, "안심을 엮어내는 실천공동체:코프 아이치의 주민복지활동" 한국협동조합학회 34 (34): 117-141, 2016

      16 Wenger, E., "실천공동체: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학지사 2007

      17 유영만, "실천공동체(CoP: Community of Practices) 성과 평가기준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0 (10): 5-34, 2004

      18 이준석, "실천공동체(CoP) 학습경험에서 나타난 구성원들의 실천(praxis) 형성과정"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135-156, 2017

      19 박혜영, "성공적 지식경영을 위한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의 효과적 구성을 위한 연구" 4 (4): 53-71, 2002

      20 일자리위원회,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21 송원근, "사회적경제 교육의 인식 수준과 성과 분석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적경제 연계과정 교육 사례 -" 산업경영연구소 39 (39): 251-275, 2016

      22 장원봉, "사회적 경제와 한국시민사회의 과제 ;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의 대안적 개념화: 쟁점과 과제" 5 (5): 11-43, 2007

      23 백희원, "사회복지기관과 사회적기업 간 협력을 통한 가치네트워크 구축- 길음지역 사례연구" 서울연구원 17 (17): 97-117, 2016

      24 "법제처"

      25 이영만, "배움의 공동체의 인식론적 배경탐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183-209, 2010

      26 정연경, "마을공동체와 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운영과정의 쟁점과 과제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31 (31): 127-152, 2018

      27 엄한진, "대안운동으로서의 강원지역 사회적 경제-‘연대의 경제’론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04) : 358-392, 2014

      28 이재열, "네트워크 사회의 등장은 공유경제를 촉진시키나" 4 : 5-47, 2016

      29 김도헌, "교사들의 지식공유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네트워크 기반 실천공동체의 발달과정: 인디스쿨 사례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30, 2008

      30 Karl Polanyi, "거대한 전환: 우리 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도서출판 길 2009

      31 이홍재, "개인동기 및 조직후원 요인이 CoP 참여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385-405, 2013

      32 천은겸, "‘실행공동체’ 관점에서 과학교실문화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131-142, 2015

      33 Lesser, E., "Communities of practice,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knowledge" 1 (1): 3-10, 1999

      34 전수환, "CoP에서의 지식공유행위에 대한 영향요인:Triandis 모형을 근간으로" 한국경영학회 34 (34): 1667-1692, 2005

      35 Wenger, E., "COP 혁명" 도서출판 물푸레 2004

      36 통계청, "2019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2019

      37 기획재정부, "2019년 예산안"

      38 통계청, "2019년 2월 고용동향" 2019

      39 서울가죽패션창업 지원센터, "2017년 강동구 사회적경제 특구 본사업 1년차 결과 보고"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86 0.915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