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의 비만도, 양육형태, 직업유형이 자녀의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arents BMI, Styles, and Job Pattern on the Child BM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6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MI of parents, form of parenting and job pattern on children BMI. The subject of the study is 5259 elementary school(boys: 2673, girls: 2586) volunteered in. All subjects were examined relevance among BMI of parents, form of parenting, job pattern on children BMI.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l BMI, form of parenting according to children BMI. While,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 in parents job pattern according to Children BMI. According to this result, child obesity is caused by not only genetic factors, but by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respect, relevant policy and health system must be suppor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MI of parents, form of parenting and job pattern on children BMI. The subject of the study is 5259 elementary school(boys: 2673, girls: 2586) volunteered in. All subjects were examined relevanc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MI of parents, form of parenting and job pattern on children BMI. The subject of the study is 5259 elementary school(boys: 2673, girls: 2586) volunteered in. All subjects were examined relevance among BMI of parents, form of parenting, job pattern on children BMI.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l BMI, form of parenting according to children BMI. While,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 in parents job pattern according to Children BMI. According to this result, child obesity is caused by not only genetic factors, but by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respect, relevant policy and health system must be suppor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수민, "한국 청소년에서 과체중과 사회 경제적 요인과의 관계: 2007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가정의학회 31 (31): 703-710, 2010

      2 이종렬,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 실태 및 관련요인 -대구시 일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35-54, 2004

      3 김현아, "정상체중군과 비만군 아동의 가족요인과 식습관, 사회인지적 요인 비교" 한국아동간호학회 10 (10): 300-310, 2004

      4 최은진, "아동의 신체적 건강상태와 정책과제" 220 (220): 37-46, 2015

      5 신영희, "아동비만에 관한 고찰" 한국아동간호학회 11 (11): 240-245, 2005

      6 노은이, "아동·청소년 비만예방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서울연구원 6-, 2013

      7 동아닷컴, "아동 고혈압 환자 급증, 소아비만이 성인보다 위험한 이유는?"

      8 강윤주, "서울시내 초중고 학생들의 최근 18년간(1979-1996)비만도 변화추이 및 비만아증가양상" 30 (30): 829-839, 1997

      9 정충환, "부모의 식습관이 아동의 식습관과 비만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이민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린이 비만의 연관성"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1

      1 임수민, "한국 청소년에서 과체중과 사회 경제적 요인과의 관계: 2007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가정의학회 31 (31): 703-710, 2010

      2 이종렬,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 실태 및 관련요인 -대구시 일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35-54, 2004

      3 김현아, "정상체중군과 비만군 아동의 가족요인과 식습관, 사회인지적 요인 비교" 한국아동간호학회 10 (10): 300-310, 2004

      4 최은진, "아동의 신체적 건강상태와 정책과제" 220 (220): 37-46, 2015

      5 신영희, "아동비만에 관한 고찰" 한국아동간호학회 11 (11): 240-245, 2005

      6 노은이, "아동·청소년 비만예방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서울연구원 6-, 2013

      7 동아닷컴, "아동 고혈압 환자 급증, 소아비만이 성인보다 위험한 이유는?"

      8 강윤주, "서울시내 초중고 학생들의 최근 18년간(1979-1996)비만도 변화추이 및 비만아증가양상" 30 (30): 829-839, 1997

      9 정충환, "부모의 식습관이 아동의 식습관과 비만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이민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린이 비만의 연관성"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1

      11 장한별,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 (가구 월수입, 부모 교육수준)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체중 및 식습관, 식사 질과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44 (44): 416-427, 2011

      12 이원균, "부모의 비만과 자녀의 비만 및 체력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3 오형연, "부모의 비만과 자녀운동에 대한 관심이 자녀의 운동습관과 비만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4 김영림, "부모의 비만, 섭식 요인, 활동성 요인, 가족관계 및 우울에 따른 비만아동의 분류" 20 (20): 489-507, 2001

      15 정영진, "대전시내 일부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의비만실태 및 생활습관과 부모의 특성과의 관련성" 33 (33): 421-428, 2000

      16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2005) 검진조사" 보건복지부 2005

      17 김은경, "강릉과 서울의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비만발생에 관한 연구" 34 (34): 198-212, 2001

      18 Hodge, E. A., "primer on early childhood obesity and parental influence" 29 (29): 13-16, 2003

      19 Garn, S. M., "Two decade following of fatness in early childhood" 139 : 181-185, 1985

      20 Gibson, L. Y, "The role of family and maternal factors in childhood obesity" 186 (186): 591-595, 2007

      21 Shrewbury V, "Socioeconomic Status and Adiposity in Childhood: A Systematic Review of Crosssectional Studies. 1990-2005" 16 (16): 275-284, 2008

      22 Ruxton. C. H.,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pattern in Edinburgh school children" 47 (47): 341-349, 1996

      23 Ogden CL,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1994-2004" 295 : 1549-1555, 2004

      24 Chung, Y. J, "Prevalence of obesity, living habits and parents characteristics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boys in Taejon city" 33 (33): 421-428, 2000

      25 Ruxton, C., "Obesity in children" 18 (18): 47-52, 2004

      26 Wylie R., "Obesity in childhood : An overview" 17 : 632-635, 2005

      27 Dietz, W. H., "Nutrition and obesity" 525-535, 1987

      28 Keane, E., "Measured Parental Weight Status and Familial Socio-Economic Status Correlates with Childhood Overweight and Obesity at Age 9" 7 (7): 2012

      29 Yoshioka, M., "Long- period accelerometer monitoring shows the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overweight and obesity" 29 (29): 502-508, 2005

      30 Story, M., "Current perspective on adolescent obesity" 6 : 51-60, 1991

      31 보건복지부, "1998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 보건복지부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육발달 -> 한국발육발달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5-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 ->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95 0.8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