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목포의 海港性과 개항장 형성과정의 특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3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港口로서 목포는 흔히 1897년 일본인에 의해 강제 개항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는 인식이 일반화되어 있다. 반면 海港으로서 전통과 개항장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목포만의 특징은 주목 받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목포가 지닌 海港性을 검토하고, 목포 개항의 배경과 개항장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목포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길목에 위치한 海港으로서 역사적 기능을 해왔고, 그 명맥이 開港 직전까지 유지되고 있었다. 둘째, 목포가 開港場으로 선정된 배경에는 지리적 장점과 항구도시로서의 성장가능성이 작용했다. 셋째, 목포개항은 칙령개항, 각국 거류지의 설치, 개항 이전에 務安監理署와 木浦海關을 설치하였다는 점 등 이전 개항시기와 달라진 면모가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들을 근거로 목포는 수군진 시절부터 존재했던 해항성이 개항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통해 항구도시로 성장하게 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즉, 개항은 목포역사의 단절이 아니라 목포 해항성의 연속적인 측면이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번역하기

      港口로서 목포는 흔히 1897년 일본인에 의해 강제 개항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는 인식이 일반화되어 있다. 반면 海港으로서 전통과 개항장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목포만의 특징은 주목 받...

      港口로서 목포는 흔히 1897년 일본인에 의해 강제 개항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는 인식이 일반화되어 있다. 반면 海港으로서 전통과 개항장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목포만의 특징은 주목 받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목포가 지닌 海港性을 검토하고, 목포 개항의 배경과 개항장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목포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길목에 위치한 海港으로서 역사적 기능을 해왔고, 그 명맥이 開港 직전까지 유지되고 있었다. 둘째, 목포가 開港場으로 선정된 배경에는 지리적 장점과 항구도시로서의 성장가능성이 작용했다. 셋째, 목포개항은 칙령개항, 각국 거류지의 설치, 개항 이전에 務安監理署와 木浦海關을 설치하였다는 점 등 이전 개항시기와 달라진 면모가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들을 근거로 목포는 수군진 시절부터 존재했던 해항성이 개항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통해 항구도시로 성장하게 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즉, 개항은 목포역사의 단절이 아니라 목포 해항성의 연속적인 측면이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generally known that Mokpo as a port started its history with the forced open by Japanese in 1897. It, however, has not been remarked to the only feature of Mokpo revealed in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opening to a trade port and the tradition of a seaport as well. This study examined the seaport nature of Mokpo, and then looked into the features to be revealed in the background of Mokpo's opening port and its formative process of the opening to a trade por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to four parts as follows;
      First, Mokpo had a historical function as a seaport to be located in the key point to meet the river and the sea and also kept alive just before its opening. Second, it behaved to a geographical merit and a growth-possibility to a harbor city in the selected background of Mokpo to the opening to a trade port. Third, the Mokpo's opening port had a difference with other cases of opening in that the opening by Imperial order, the establishment of the foreign settlement, the establishment of Muan-gamiiseo(supervision office) and Mokpo Maritime Customs, etc.
      Based on these features, the study could make a conclusion that the seaport nature of Mokpo had existed from the naval forces of Joseon Dynasty, and this nature made Mokpo developed to a harbor city by a new aspect, the opening to a trade port. In other words, the study could figure out that the Mokpo's opening to a trade port was not be the discontinuance of its history but the continuous aspect of Mokpo's seaport nature.
      번역하기

      It has been generally known that Mokpo as a port started its history with the forced open by Japanese in 1897. It, however, has not been remarked to the only feature of Mokpo revealed in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opening to a trade port and the tra...

      It has been generally known that Mokpo as a port started its history with the forced open by Japanese in 1897. It, however, has not been remarked to the only feature of Mokpo revealed in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opening to a trade port and the tradition of a seaport as well. This study examined the seaport nature of Mokpo, and then looked into the features to be revealed in the background of Mokpo's opening port and its formative process of the opening to a trade por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to four parts as follows;
      First, Mokpo had a historical function as a seaport to be located in the key point to meet the river and the sea and also kept alive just before its opening. Second, it behaved to a geographical merit and a growth-possibility to a harbor city in the selected background of Mokpo to the opening to a trade port. Third, the Mokpo's opening port had a difference with other cases of opening in that the opening by Imperial order, the establishment of the foreign settlement, the establishment of Muan-gamiiseo(supervision office) and Mokpo Maritime Customs, etc.
      Based on these features, the study could make a conclusion that the seaport nature of Mokpo had existed from the naval forces of Joseon Dynasty, and this nature made Mokpo developed to a harbor city by a new aspect, the opening to a trade port. In other words, the study could figure out that the Mokpo's opening to a trade port was not be the discontinuance of its history but the continuous aspect of Mokpo's seaport n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목포의 海港性에 대한 검토
      • 3. 1897년 목포 개항의 배경
      • 4. 개항장 형성과정의 특징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목포의 海港性에 대한 검토
      • 3. 1897년 목포 개항의 배경
      • 4. 개항장 형성과정의 특징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철호, "한말(1897~1910) 목포 개항과 무역구조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 교 1988

      2 목포노회사편찬위원회, "한국남장로교선교회목포선교부보고서(1895~1911)" 1997

      3 "주한일본공사관기록(1~28권)" 국사편찬위원회

      4 "조선왕조실록"

      5 최성환, "목포의 역사와 이야기 100선" 목포시 2009

      6 고석규, "근대도시 목포의 역사 공간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7 최석환, "국역 조선토목사업지(1906~1928)" 1998

      8 하원호, "韓末 榮山江流域과 木浦의 상품무역" 고려사학회 (23) : 237-267, 2006

      9 이승익, "開港을 前後한 木浦의 景觀 및 機能變化" 공주대학교 1992

      10 "總關去函"

      1 한철호, "한말(1897~1910) 목포 개항과 무역구조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 교 1988

      2 목포노회사편찬위원회, "한국남장로교선교회목포선교부보고서(1895~1911)" 1997

      3 "주한일본공사관기록(1~28권)" 국사편찬위원회

      4 "조선왕조실록"

      5 최성환, "목포의 역사와 이야기 100선" 목포시 2009

      6 고석규, "근대도시 목포의 역사 공간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7 최석환, "국역 조선토목사업지(1906~1928)" 1998

      8 하원호, "韓末 榮山江流域과 木浦의 상품무역" 고려사학회 (23) : 237-267, 2006

      9 이승익, "開港을 前後한 木浦의 景觀 및 機能變化" 공주대학교 1992

      10 "總關去函"

      11 목포백년회, "木浦開港百年史" 木浦百年會 1997

      12 배종무, "木浦開港史 硏究" 도서출판 느티나무 1994

      13 木浦誌編纂委員會, "木浦誌" 1914

      14 김정섭, "木浦誌" 목포문화원 1991

      15 배종무, "木浦租界에 관한 고찰" 건국대학교 1981

      16 木浦府史編纂委員會, "木浦府史" 木浦府 1930

      17 양상호, "木浦各國共同居留地의 都市空間의 形成過程에 관한 考察" 4 (4): 1995

      18 손정목, "日帝强占期 都市化過程硏究" 일지사 1996

      19 박찬승, "務安報牒" 목포문화원 2000

      20 "全羅道關草"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36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