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김정은 독재체제에서의 우상화- 김정일·김정은 우상화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Idolization under the North Korean Dictatorship Kim, Jung-Un -Centered around the Analysis of Idolization under Kim Jung il and Kim Jung Un Regi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06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im family’s dictatorship in North Korea has transmitted by third-generation hereditary succession over last 70 years. Kim family has established and maintained their regime by hereditary which is distorted, faked and coerced idolization rather than by traditional, charismatic, rational authority and legitimacy. Idolization could impact not only on internal ruling regime of North Korea, but on national security and reunification policy of Republic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idolization campaigns of Kim Jung Il and Kim Jung Un regime and to examine the limitation of reality of idolization. This paper will also prospect new aspects of idolization of Kim Jong Un regime and derive the frame of reference for the recognition of North Korean idol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North Korea has developed their idolization by multiple interactions these three factors for idolization 1. Justification of ruling by characterized charismatic leadership 2. Institutionalization of idolization policy and 3. Socialization by cramming indoctrination to establish and keep dictatorship and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as well. Different types of idolization method of Kim Jung Il and Kim Jung Un regime includes idolizing Kim’s family, building symbolic icons, education and learning, even publications and creation of cultural arts. However, North Korean idolization policy has reached its limits because the regime has failed to have traditional authority, charismatic authority and rational authority in the sense of meaning and they just have focused on distorted, faked and coercive idolization policy.
      The new North Korean dictator Kim Jung Un has developed idolization mainly with his political achievements on the basis of his 70 years of paternal idolization context. His efforts to build up idolization by his political achievements may lead to win charismatic authority and legitimacy of his rule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it may cause wasting of efforts and extra resources, civil mobilization and coercive socialization may have relevant to failures as ruling strategy by raising awareness of resistance of people. Moreover, North Korea has a few flexible political options to South Korea either provocation and creating tensions or offering a big deal. Finally, in order to resolve theses problems, we need to keep an eye on the situations of North Korea precisely and prepare for possible development into instability of North Korean regime.
      번역하기

      The Kim family’s dictatorship in North Korea has transmitted by third-generation hereditary succession over last 70 years. Kim family has established and maintained their regime by hereditary which is distorted, faked and coerced idolization rather ...

      The Kim family’s dictatorship in North Korea has transmitted by third-generation hereditary succession over last 70 years. Kim family has established and maintained their regime by hereditary which is distorted, faked and coerced idolization rather than by traditional, charismatic, rational authority and legitimacy. Idolization could impact not only on internal ruling regime of North Korea, but on national security and reunification policy of Republic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idolization campaigns of Kim Jung Il and Kim Jung Un regime and to examine the limitation of reality of idolization. This paper will also prospect new aspects of idolization of Kim Jong Un regime and derive the frame of reference for the recognition of North Korean idol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North Korea has developed their idolization by multiple interactions these three factors for idolization 1. Justification of ruling by characterized charismatic leadership 2. Institutionalization of idolization policy and 3. Socialization by cramming indoctrination to establish and keep dictatorship and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as well. Different types of idolization method of Kim Jung Il and Kim Jung Un regime includes idolizing Kim’s family, building symbolic icons, education and learning, even publications and creation of cultural arts. However, North Korean idolization policy has reached its limits because the regime has failed to have traditional authority, charismatic authority and rational authority in the sense of meaning and they just have focused on distorted, faked and coercive idolization policy.
      The new North Korean dictator Kim Jung Un has developed idolization mainly with his political achievements on the basis of his 70 years of paternal idolization context. His efforts to build up idolization by his political achievements may lead to win charismatic authority and legitimacy of his rule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it may cause wasting of efforts and extra resources, civil mobilization and coercive socialization may have relevant to failures as ruling strategy by raising awareness of resistance of people. Moreover, North Korea has a few flexible political options to South Korea either provocation and creating tensions or offering a big deal. Finally, in order to resolve theses problems, we need to keep an eye on the situations of North Korea precisely and prepare for possible development into instability of North Korean reg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 독재체제는 70여 년간 3대에 걸쳐 김씨 혈족에 의해 세습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김씨 혈족은 북한체제를 지배할 전통적·카리스마적·합리적 권위와 정당성보다는 왜곡 날조된 우상화와 강압을 통해 권력을 구축·유지하여 세습해 왔다. 북한의 우상화는 북한체제 통치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안보와 통일에도 큰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글은 김정일과 김정은 우상화 사례를 비교하여 우상화의 실체와 한계를 분석하고, 김정은 우상화 전개방향 전망과 우상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위한 논리적 준거를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도출된 내용으로는 북한의 독재권력 구축·유지 및 세습을 위해 ① 카리스마 리더십 부각을 통한 지배의 정당화 ② 우상화 정책의 제도화 ③ 주입과 세뇌를 통한 사회화라는 3대 우상화 요소를 상호 복합적으로 작동시켜 왔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김정일과 김정은은 가계우상화, 상징물, 교육과 학습, 출판물 및 문화예술창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우상화를 전개해 왔다는 사실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북한 김정은 체제는 순수한 의미에서 전통적 권위, 카리스마적 권위, 합리적 권위를 확보하지 못하고 조작과 날조를 통한 강요된 우상화로 우상화 정책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김정은은 70여 년 간 지속되어 온 우상화의 맥을 이어가면서 김정은식 치적 쌓기를 통한 우상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치적 쌓기 우상화도 단기적으로는 카리스마 권위 확보와 지배에 대한 정당성을 인정받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많은 예산과 노력의 낭비로 이어지고, 주민동원과 강압적인 사회화로 주민의 불만과 저항의식을 고취시키게 되어 통치전략으로써 실패로 나아갈 수 있는 개연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우상화 통치전략의 효과를 제고하고 실패를 만회할 방법으로 그 관심과 국면전환을 위해 대남도발 및 긴장 조성 혹은 통 큰 제의가 있을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김정은 체제가 불안정 상황으로 발전할 개연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주지하여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번역하기

      북한 독재체제는 70여 년간 3대에 걸쳐 김씨 혈족에 의해 세습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김씨 혈족은 북한체제를 지배할 전통적·카리스마적·합리적 권위와 정당성보다는 왜곡 날조된 우상화�...

      북한 독재체제는 70여 년간 3대에 걸쳐 김씨 혈족에 의해 세습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김씨 혈족은 북한체제를 지배할 전통적·카리스마적·합리적 권위와 정당성보다는 왜곡 날조된 우상화와 강압을 통해 권력을 구축·유지하여 세습해 왔다. 북한의 우상화는 북한체제 통치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안보와 통일에도 큰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글은 김정일과 김정은 우상화 사례를 비교하여 우상화의 실체와 한계를 분석하고, 김정은 우상화 전개방향 전망과 우상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위한 논리적 준거를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도출된 내용으로는 북한의 독재권력 구축·유지 및 세습을 위해 ① 카리스마 리더십 부각을 통한 지배의 정당화 ② 우상화 정책의 제도화 ③ 주입과 세뇌를 통한 사회화라는 3대 우상화 요소를 상호 복합적으로 작동시켜 왔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김정일과 김정은은 가계우상화, 상징물, 교육과 학습, 출판물 및 문화예술창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우상화를 전개해 왔다는 사실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북한 김정은 체제는 순수한 의미에서 전통적 권위, 카리스마적 권위, 합리적 권위를 확보하지 못하고 조작과 날조를 통한 강요된 우상화로 우상화 정책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김정은은 70여 년 간 지속되어 온 우상화의 맥을 이어가면서 김정은식 치적 쌓기를 통한 우상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치적 쌓기 우상화도 단기적으로는 카리스마 권위 확보와 지배에 대한 정당성을 인정받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많은 예산과 노력의 낭비로 이어지고, 주민동원과 강압적인 사회화로 주민의 불만과 저항의식을 고취시키게 되어 통치전략으로써 실패로 나아갈 수 있는 개연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우상화 통치전략의 효과를 제고하고 실패를 만회할 방법으로 그 관심과 국면전환을 위해 대남도발 및 긴장 조성 혹은 통 큰 제의가 있을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김정은 체제가 불안정 상황으로 발전할 개연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주지하여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데스몬드 길포릴, "카리스마 심리전술" 북이십일 200

      2 합참본부, "최근 북한정세 분석" 합참본부 1998

      3 "중앙일보"

      4 "조선중앙통신"

      5 김기도, "정치선전과 심리전략" 도서출판 나남 1989

      6 좋은 벗들 북한연구소, "오늘의 북한, 북한의 내일" 정토출판 2006

      7 남진우, "사회주의교육학" 조선노동당출판사 1991

      8 조용관, "북한체제 특이성의 역사 문화적 가능조건에 관한 연구" 6 (6): 2002

      9 김연수, "북한정세전망과 대응방향" (66) : 2012

      10 고성호, "북한이해 2010" 통일부 통일연구원 2010

      1 데스몬드 길포릴, "카리스마 심리전술" 북이십일 200

      2 합참본부, "최근 북한정세 분석" 합참본부 1998

      3 "중앙일보"

      4 "조선중앙통신"

      5 김기도, "정치선전과 심리전략" 도서출판 나남 1989

      6 좋은 벗들 북한연구소, "오늘의 북한, 북한의 내일" 정토출판 2006

      7 남진우, "사회주의교육학" 조선노동당출판사 1991

      8 조용관, "북한체제 특이성의 역사 문화적 가능조건에 관한 연구" 6 (6): 2002

      9 김연수, "북한정세전망과 대응방향" (66) : 2012

      10 고성호, "북한이해 2010" 통일부 통일연구원 2010

      11 김동성, "북한의 통일전선 전략전술과 대남 정치심리전"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 (20): 307-348, 2013

      12 최세경, "북한의 대남 통일전선전략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13 이윤규, "북한의 대남 심리전 연구 : 대남전단 분석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0

      14 이진희, "북한 우상화 전략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2012

      15 전호훤, "북한 어디로 가나(북한 정권의 속성과 대남정책의 실상)" 선한약속 2011

      16 이성민, "북한 김정은의 등장과 한국의 안보" 한남대학교 국방전략대학원 2012

      17 M. Weber, "막스베버 전집" 까치 1991

      18 "로동신문"

      19 서재진, "또 하나의 북한사회" 나남출판사 1995

      20 이윤규, "들리지 않던 총성 종이폭탄" 지식더미 2010

      21 "동아일보"

      22 탁진, "김정일 지도자, 제2부" 평양출판사 1994

      23 송경호, "김정일 정권의 대남전략 양상" 치안정책연구소 2005

      24 통일원, "김정일 우상화 사례집" 통일원 정보분석실 1992

      25 이석수, "김정 정권의 정치적 안정성과 정책방향" 안보문제연구소 (74) : 2012

      26 막스 베버, "경제와 사회" 문학과 지성사; 1997

      27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

      28 L. S. Vygotsky, "Thought and Language" M. I. T. Press 30-35, 1974

      29 서재진, "7⋅1조치 이후 북한의 체제 변화" 통일연구원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전략연구
      외국어명 : STRATEGIC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9 0.847 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