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2위 성자 하나님, 위격적 연합의 주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6012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학과 , 2015. 2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72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문병호

      • 소장기관
        • 총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김요셉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직신학
      지도교수: 문병호

      본 연구의 주제는 제2위 성자 하나님,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다.
      본 논문은 제2위 성자 하나님이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신 것을 고찰하여서 그분이 누구이신가와 그 분이 신성에 따라서 행하신 일도 인성에 따라서 행하신 일도 그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라는 것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개혁 신학자들의 삼위일체와 기독론 부분을 중심으로 개혁 신학자들이 제2위 성자 하나님을 위격적 연합의 주체로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 지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칼빈의 작품들, 어거스틴의 작품들, 바빙크의 개혁 교의학, 뚤레틴의 변증신학강요, 찰스 핫지의 조직신학, 헤페의 정통 교의학과 학술지 논문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위 성자 하나님이 누구신지에 대해서 밝히기 위하여 아버지와 동일본질이시며 만세전에 아버지로부터 나신 분이시라는 관점에서 동일본질과 자성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를 밝히기 위하여 제2위 성자 하나님이 인성과 연합하셨지만 그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시라는 관점에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과 위격적 연합가운데서의 신인양성의 교통, 비하의 상태 그리고 승귀의 상태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위 성자 하나님은 성부와 동일본질이심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칼빈, 어거스틴, 니케아 신경과 칼케돈 신경 등에서 성부 성자 성령이 한 분이시며 동일한 본질이심을 밝히고 있다.
      둘째, 제2위 성자 하나님은 만세전에 성부로부터 나셨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칼빈은 성자가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는 것은 말씀이 만세전에 성부에게서 나셨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바빙크는 영원한 나심이 영적이고 신적인 것이라서 구분이나 분리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어거스틴은 영원한 나심을 순수하게 관계적이라고 밝히고 있다. 니케야 신경은 영원한 나심이 아버지에게 출생하신 독생자이심을 밝히고 있다.
      셋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제2위 성자 하나님이심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위 성자 하나님이 때가 차매 인간의 전 본성을 취하셨고 자신의 위격에 인성을 연합시키셨다고 보았다. 반면 루터란은 성육신 때 인성이 신성을 취한다고 보았다.
      넷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를 통한 신인양성의 교통임을 알 수 있었다. 양성의 교통은 속성교통, 사역의 교통, 은사의 교통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또한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루터란 처럼 양성이 자체적으로 교통하는 것이 아니라 양성이 위격 안에서 교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비하의 상태에서 참 하나님이시며 참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알 수 있었다. 왜냐하면 율법의 순종은 한 인간의 순종이 아니라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순종이시며 십자가에서 죽으심도 인성에 따라서 참 하나님이시며 참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죽으셨기 때문이었다.
      여섯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승귀의 상태에서 참 하나님이며 참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알 수 있었다. 왜냐하면 부활에서도 그 주체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하신 것이며 승천, 재위 재림에서도 그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이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루터란은 예수님께서 승귀의 상태 때 비하의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은 신성을 다시 사용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루터란은 위격적 연합교리에서 인성이 주체가 도기 때문에 승천에서도 편재성을 인성에 돌린다. 그리스도의 재위에서 개혁주의는 인격이 주체가 되지만은 루터란은 인격이 아니라 인성이 주체가 된다. 루터란이 주장하는 그리스도의 인성은 모든 곳에 편재하시는 인성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의의 또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신 제2위 성자 하나님은 성육신 이후로 항상 신인양성의 위격연합가운데 계시다는 것이다. 율법의 순종, 십자가의 죽으심, 지옥강하, 부활, 승천, 재위, 재림은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이시므로 이 모든 것이 참된 의미가 있다. 즉 비하의 상태에서나 승귀의 상태에서나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인성도 아니고 신성도 아니다. 오직 그 분, 예수 그리스도가 주체이시다. 율법의 순종도 십자기의 죽음도 부활 재림 승천 재위 재림도 위격적 연합의 주체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는 점이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김요셉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직신학 지도교수: 문병호 본 연구의 주제는 제...

      국문초록

      김요셉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직신학
      지도교수: 문병호

      본 연구의 주제는 제2위 성자 하나님,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다.
      본 논문은 제2위 성자 하나님이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신 것을 고찰하여서 그분이 누구이신가와 그 분이 신성에 따라서 행하신 일도 인성에 따라서 행하신 일도 그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라는 것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개혁 신학자들의 삼위일체와 기독론 부분을 중심으로 개혁 신학자들이 제2위 성자 하나님을 위격적 연합의 주체로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 지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칼빈의 작품들, 어거스틴의 작품들, 바빙크의 개혁 교의학, 뚤레틴의 변증신학강요, 찰스 핫지의 조직신학, 헤페의 정통 교의학과 학술지 논문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위 성자 하나님이 누구신지에 대해서 밝히기 위하여 아버지와 동일본질이시며 만세전에 아버지로부터 나신 분이시라는 관점에서 동일본질과 자성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를 밝히기 위하여 제2위 성자 하나님이 인성과 연합하셨지만 그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시라는 관점에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과 위격적 연합가운데서의 신인양성의 교통, 비하의 상태 그리고 승귀의 상태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위 성자 하나님은 성부와 동일본질이심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칼빈, 어거스틴, 니케아 신경과 칼케돈 신경 등에서 성부 성자 성령이 한 분이시며 동일한 본질이심을 밝히고 있다.
      둘째, 제2위 성자 하나님은 만세전에 성부로부터 나셨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칼빈은 성자가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는 것은 말씀이 만세전에 성부에게서 나셨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바빙크는 영원한 나심이 영적이고 신적인 것이라서 구분이나 분리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어거스틴은 영원한 나심을 순수하게 관계적이라고 밝히고 있다. 니케야 신경은 영원한 나심이 아버지에게 출생하신 독생자이심을 밝히고 있다.
      셋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제2위 성자 하나님이심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위 성자 하나님이 때가 차매 인간의 전 본성을 취하셨고 자신의 위격에 인성을 연합시키셨다고 보았다. 반면 루터란은 성육신 때 인성이 신성을 취한다고 보았다.
      넷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를 통한 신인양성의 교통임을 알 수 있었다. 양성의 교통은 속성교통, 사역의 교통, 은사의 교통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또한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루터란 처럼 양성이 자체적으로 교통하는 것이 아니라 양성이 위격 안에서 교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비하의 상태에서 참 하나님이시며 참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알 수 있었다. 왜냐하면 율법의 순종은 한 인간의 순종이 아니라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순종이시며 십자가에서 죽으심도 인성에 따라서 참 하나님이시며 참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죽으셨기 때문이었다.
      여섯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승귀의 상태에서 참 하나님이며 참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알 수 있었다. 왜냐하면 부활에서도 그 주체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하신 것이며 승천, 재위 재림에서도 그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이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루터란은 예수님께서 승귀의 상태 때 비하의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은 신성을 다시 사용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루터란은 위격적 연합교리에서 인성이 주체가 도기 때문에 승천에서도 편재성을 인성에 돌린다. 그리스도의 재위에서 개혁주의는 인격이 주체가 되지만은 루터란은 인격이 아니라 인성이 주체가 된다. 루터란이 주장하는 그리스도의 인성은 모든 곳에 편재하시는 인성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의의 또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신 제2위 성자 하나님은 성육신 이후로 항상 신인양성의 위격연합가운데 계시다는 것이다. 율법의 순종, 십자가의 죽으심, 지옥강하, 부활, 승천, 재위, 재림은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이시므로 이 모든 것이 참된 의미가 있다. 즉 비하의 상태에서나 승귀의 상태에서나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인성도 아니고 신성도 아니다. 오직 그 분, 예수 그리스도가 주체이시다. 율법의 순종도 십자기의 죽음도 부활 재림 승천 재위 재림도 위격적 연합의 주체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God the Son, the Second Person,
      the Subject of the Hypostatic Union

      Kim, Joseph
      The Department of Systematic Theology
      The Graduate School, Chongshin University
      Supervisor: Prof. Dr. Moon, Byung-Ho


      The theme of this research is God the Son, the Second Person,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This thesis has its purpose to identify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of the Triune God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and thereby to illuminate who he is and to explain that Jesus Christ is the subject of all His works not only according to his divinity but also according to his humanity.
      The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Reformed theologians understood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focusing on their doctrine of the Trinity of God and Christoloy. Specifically speaking, the examination was made focused on the works of Calvin and of St. Augustine, Reformed Dogmatics of Bavinck, Institutes of Elenctic Theology of Turretin, Systematic Theology of Charles Hodge, and Reformed Dogmatic of Heppe and the articles of theological journals.
      The structure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ly, it was composed in the perspectives of his consubstantiality and sonship that to identify who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is, he is consubstantial with the nature of God the Father and is begotten before the world began. Secondly, it was structured from the perspective that Jesus Christ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though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united himself with human nature. Specifically it was knitted in the hypostatic union of both divinity and humanity, the communication of divinity and humanity in the hypostatic union, the state of humiliation and the state of exalt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writer could know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of God is consubstantial with the Father. For specifically Calvin, Augustine, Nicene Creed and Chalcedonian Creed, etc. identify that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re one God and the same substance.
      Secondly, it was found out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is begotten from God the Father before the world began. Specifically Calvin elucidated that God the Son is named the Son of God because the Word is begotten from the Father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Bavinck asserts that the eternal generation is spiritual and divine, therefore, there is no distinction or separation. Augustine explicated the eternal generation as being purely relational. Nicene Creed described the eternal generation is to be the only begotten Son from God the Father.
      Thirdly, it could be known that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is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Specifically looking into i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assumed the whole human nature in the fullness of time and he unified humanity to His hypostasis. On the other hand, Lutherans regarded that human nature took divine nature in the time of his incarnation.
      Fourthly,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the communication of the two natures of divinity and humanity through the subject of the hypostatic un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natures could be revealed through that of attributes, of office, and of honor. In addition,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rather than in the viewpoint of Lutherans. it could be known that both natures were not communicated for themselves, but in the hypostasis.
      Fifthly, it could be known that the subject of the hypostatic union is Jesus Christ who is true God and true Man in the state of humiliation. For the obedience of law was not that of a human being but of Jesus Christ who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and even death on the Cross was that of Jesus Christ who is true God and true Man according to His human nature.
      Sixthly, the writer could know that in the state of exaltation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is Jesus Christ who is true God and true Man. That is because Jesus Christ as the subject rose from the dead in the time of resurrection, and the subject was Jesus Christ even in times of ascension, reign, and the Second Coming. However, Lutheran was saying that Jesus used His deity again in the time of exaltation which was not used in the state of humiliation.
      Lutheran attributes omnipresence to the human nature in ascension because it is the subject in the doctrine of hypostatic union. In the reign of Christ, according to Reformers His Person is the subject, but according to Lutherans His humanity is the subject. We can know that the humanity of Christ, asserted by Lutherans, is omnipresent in all things and everywhere.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r implicatio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of the Triune God is always in the hypostatic union of both divine and human natures since His incarnation. Because the obedience of law, death on the cross, descension into hell, resurrection, ascension, reign and the Second Coming were done in the hypostatic union of both divine nature and human nature, all of these things have true meanings. That is to say, either in the state of humiliation or in the state of exaltation,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is Jesus Christ.
      That is neither His human nature nor his divine nature. Only He, Jesus Christ is the subject. The obedience to commandments, the death on the Cross, the resurrection, the ascension, the reign and even the Second Coming are all alluding to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번역하기

      ABSTRACT God the Son, the Second Person, the Subject of the Hypostatic Union Kim, Joseph The Department of Systematic Theology The ...

      ABSTRACT

      God the Son, the Second Person,
      the Subject of the Hypostatic Union

      Kim, Joseph
      The Department of Systematic Theology
      The Graduate School, Chongshin University
      Supervisor: Prof. Dr. Moon, Byung-Ho


      The theme of this research is God the Son, the Second Person,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This thesis has its purpose to identify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of the Triune God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and thereby to illuminate who he is and to explain that Jesus Christ is the subject of all His works not only according to his divinity but also according to his humanity.
      The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Reformed theologians understood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focusing on their doctrine of the Trinity of God and Christoloy. Specifically speaking, the examination was made focused on the works of Calvin and of St. Augustine, Reformed Dogmatics of Bavinck, Institutes of Elenctic Theology of Turretin, Systematic Theology of Charles Hodge, and Reformed Dogmatic of Heppe and the articles of theological journals.
      The structure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ly, it was composed in the perspectives of his consubstantiality and sonship that to identify who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is, he is consubstantial with the nature of God the Father and is begotten before the world began. Secondly, it was structured from the perspective that Jesus Christ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though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united himself with human nature. Specifically it was knitted in the hypostatic union of both divinity and humanity, the communication of divinity and humanity in the hypostatic union, the state of humiliation and the state of exalt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writer could know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of God is consubstantial with the Father. For specifically Calvin, Augustine, Nicene Creed and Chalcedonian Creed, etc. identify that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re one God and the same substance.
      Secondly, it was found out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is begotten from God the Father before the world began. Specifically Calvin elucidated that God the Son is named the Son of God because the Word is begotten from the Father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Bavinck asserts that the eternal generation is spiritual and divine, therefore, there is no distinction or separation. Augustine explicated the eternal generation as being purely relational. Nicene Creed described the eternal generation is to be the only begotten Son from God the Father.
      Thirdly, it could be known that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is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Specifically looking into i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assumed the whole human nature in the fullness of time and he unified humanity to His hypostasis. On the other hand, Lutherans regarded that human nature took divine nature in the time of his incarnation.
      Fourthly,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the communication of the two natures of divinity and humanity through the subject of the hypostatic un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natures could be revealed through that of attributes, of office, and of honor. In addition,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rather than in the viewpoint of Lutherans. it could be known that both natures were not communicated for themselves, but in the hypostasis.
      Fifthly, it could be known that the subject of the hypostatic union is Jesus Christ who is true God and true Man in the state of humiliation. For the obedience of law was not that of a human being but of Jesus Christ who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and even death on the Cross was that of Jesus Christ who is true God and true Man according to His human nature.
      Sixthly, the writer could know that in the state of exaltation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is Jesus Christ who is true God and true Man. That is because Jesus Christ as the subject rose from the dead in the time of resurrection, and the subject was Jesus Christ even in times of ascension, reign, and the Second Coming. However, Lutheran was saying that Jesus used His deity again in the time of exaltation which was not used in the state of humiliation.
      Lutheran attributes omnipresence to the human nature in ascension because it is the subject in the doctrine of hypostatic union. In the reign of Christ, according to Reformers His Person is the subject, but according to Lutherans His humanity is the subject. We can know that the humanity of Christ, asserted by Lutherans, is omnipresent in all things and everywhere.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r implicatio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of the Triune God is always in the hypostatic union of both divine and human natures since His incarnation. Because the obedience of law, death on the cross, descension into hell, resurrection, ascension, reign and the Second Coming were done in the hypostatic union of both divine nature and human nature, all of these things have true meanings. That is to say, either in the state of humiliation or in the state of exaltation,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is Jesus Christ.
      That is neither His human nature nor his divine nature. Only He, Jesus Christ is the subject. The obedience to commandments, the death on the Cross, the resurrection, the ascension, the reign and even the Second Coming are all alluding to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동기와 목적. .................................................. 1
      • 1.2. 연구방법과 범위 ................................................... 4
      • 2. 제2위 성자 하나님의 위격 ........................................... 6
      • 2.1. 동일본질(ὁμοούσιος τῷ πατρὶ) ............................... 6
      • 1. 서론 ........................................................................1
      • 1.1. 연구동기와 목적. .................................................. 1
      • 1.2. 연구방법과 범위 ................................................... 4
      • 2. 제2위 성자 하나님의 위격 ........................................... 6
      • 2.1. 동일본질(ὁμοούσιος τῷ πατρὶ) ............................... 6
      • 2.2. 자성(filiatio, υίοτης)...............................................10
      • 3. 위격적 연합(unio hypostatica)의 주체 .........................15
      • 3.1 성육신: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 .................................15
      • 3.1.1. 동정녀 탄생 ........................................................16
      • 3.1.2. 비하의 주체 ........................................................22
      • 3.1.3. 위격적 연합의 비밀 ..............................................26
      • 3.2. 위격적 연합 가운데에서의 신인 양성의 교통 ................27
      • 3.2.1. 속성교통 ............................................................28
      • 3.2.2. 사역의 교통 ........................................................32
      • 3.2.3. 은사의 교통 ........................................................34
      • 3.2.4. 루터란 속성교통론 비판 ........................................35
      • 3.2.5. 소위 초 칼빈주의 .................................................36
      • 3.3. 비하의 상태(status humiliationis) .............................38
      • 3.3.1. 율법의 순종 ........................................................38
      • 3.3.2. 십자가에서 죽으심 ...............................................41
      • 3.3.3. 지옥강하 ............................................................43
      • 3.4. 승귀의 상태(status exaltationis) ...............................46
      • 3.4.1. 부활 ..................................................................47
      • 3.4.2. 승천 ..................................................................49
      • 3.4.4. 재위 ..................................................................52
      • 3.4.4. 재림 ..................................................................55
      • Ⅳ. 결론 .....................................................................58
      • 참고문헌 ....................................................................62
      • 영문초록.....................................................................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