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석(韓晉錫, 1833~1908)은 자 경삼(景三), 호 송은, 본관은 청주이다. 아버지 영교(永敎)와 어머니 인동장씨(仁同張氏) 사이에서 1833년(순조 33) 8월 12일에 태어났다. 42세 때 김제에서 완주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2232
-
1915년
-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진석(韓晉錫, 1833~1908)은 자 경삼(景三), 호 송은, 본관은 청주이다. 아버지 영교(永敎)와 어머니 인동장씨(仁同張氏) 사이에서 1833년(순조 33) 8월 12일에 태어났다. 42세 때 김제에서 완주군 ...
한진석(韓晉錫, 1833~1908)은 자 경삼(景三), 호 송은, 본관은 청주이다. 아버지 영교(永敎)와 어머니 인동장씨(仁同張氏) 사이에서 1833년(순조 33) 8월 12일에 태어났다. 42세 때 김제에서 완주군 비봉면 대치리(大峙里)로 이사했다. 증조 용덕(用德), 할아버지 명이(明履)는 모두 조봉대부동몽교관(朝奉大夫童蒙敎官)의 증직을 받았고, 생부인 봉교(鳳敎)는 자헌대부호조판서(資憲大夫戶曹判書)의 증직을 받았다. 생부 봉교는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병인양요 때에 의사(義士)를 모집한 공으로 증직을 받았다. 한진석은 뒤에 숙부인 영교의 양자로 갔다. 부친 영교는 성균생원으로 동몽교관에 증직되었다. 한진석은 1886년(고종 23)에 장릉참봉(莊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1908년 5월 1일 77세에 사망하였다. 문집으로 『송은집』이 있다.
『송은집』은 5권 2책의 목활자본이다. 내용은 시(詩), 사(詞), 서(書), 서(序), 기(記), 제문(祭文), 축문(祝文), 부록(附錄) 등이다. 권1은 시 오언절구가 5편, 오언 율시가 13편, 고시 3편, 칠언절구 15편, 칠언율시 126편, 권2는 시 칠언 율시 153편, 고시 3편, 사(詞), 권3은 서 43편, 권4는 서(書), 권5는 서(序), 제문(祭文), 부록 등이다. 서는 김성근(金聲根)이, 발은 학수(學洙, 1915), 외조카 송무헌(宋舜憲, 1914)이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