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도시가 공공공간의 사회적 형평성이 어느 정도 구현되어 있는가에 대한 현황 조사 및 인식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다. 둘째, 공공공간의 사회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8723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도시가 공공공간의 사회적 형평성이 어느 정도 구현되어 있는가에 대한 현황 조사 및 인식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다. 둘째, 공공공간의 사회적...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도시가 공공공간의 사회적 형평성이 어느 정도 구현되어 있는가에 대한 현황 조사 및 인식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다. 둘째, 공공공간의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기준마련을 위한 사회적 인식의 조사이다. 셋째, 공공공간의 사회적 형평성을 구현하기 위한 법과 제도적인 측면의 분석이다. 넷째, 공공공간의 사회적 형평성을 공간 디자인으로 구현해 나가기 위한 공간특성에 대한 파악이다. 다섯째, 공공공간의 사회적 형평성을 진단하고 분석하기 위한 평가의 틀로서 평가지표의 객관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공공공간의 사회적 형평성에 관련된 기존연구 및 문헌에 대한 조사를 실시, 국내외 공공공간의 사회적 형평성 구축과 관련된 법과 정책과 같은 제도적 요인에 대한 내용을 자료조사 및 전문가 인터뷰, 관찰조사 및 계획자료 등을 통해 파악하고 현황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 자료조사 및 현황조사의 결과를 정리하여 기본적인 조사지표를 수립, 수립된 평가지표를 통해 수도권 주요 공공공간에 대한 사회적 형평성의 현황과 문제점을 평가,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최종적인 사회적 형평성 지표를 수정하고, 도시 공간에서의 공정한 공간이용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정리한 후 이를 반영한 공간계획 및 조성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정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