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기도 혁신학교 배움중심수업의 효과 분석 : 중학교 미술과 중심으로 = The Effect Analysis of Class Based Learning of Innovation School, Gyeonggi-do - Focused on Art Class in Middle schoo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5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교 미술과에 대한 수업만족도, 수업태도, 수업인식, 목표달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S중학교를 대상으로 2019년 9월2일부터 9월30일까지(총4주간) 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만족도는 배움 기간에 따른 즐거움과 미술시간증가 요인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태도는 배움 기간에 따른 질의응답과 자기주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인식은 배움 기간에 따른 배움, 응용, 미술적 사고에서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에 대한 목표달성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중학교 미술과 배움중심수업은 수업만족도, 수업태도, 수업인식 변화 및 미술과 목표를 달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배움중심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교육효과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학생을 위한 미술교육을 하기 위해서 배움의 과정에 중심을 두고 수업을 설계하고, 교과목별 수업에서 학생의 배움은 무엇이어야 하는지 고찰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는 새롭게 발전된 수업의 재구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에 기초자료로 제공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교 미술과에 대한 수업만족도, 수업태도, 수업인식, 목표달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교 미술과에 대한 수업만족도, 수업태도, 수업인식, 목표달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S중학교를 대상으로 2019년 9월2일부터 9월30일까지(총4주간) 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만족도는 배움 기간에 따른 즐거움과 미술시간증가 요인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태도는 배움 기간에 따른 질의응답과 자기주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인식은 배움 기간에 따른 배움, 응용, 미술적 사고에서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에 대한 목표달성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중학교 미술과 배움중심수업은 수업만족도, 수업태도, 수업인식 변화 및 미술과 목표를 달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배움중심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교육효과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학생을 위한 미술교육을 하기 위해서 배움의 과정에 중심을 두고 수업을 설계하고, 교과목별 수업에서 학생의 배움은 무엇이어야 하는지 고찰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는 새롭게 발전된 수업의 재구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에 기초자료로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atisfaction of class, c attitude, recognition, and achievement in art class centered on learning in middle school from Gyeonggi-do, called innovation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investigation, 304 students were surveyed at S middle school in Gyeonggi-do from 2, September to 30, September, 2019.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First, the class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joy of learning and the factors of art class time increase. Second, the class attitud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question-and-answer and self-directed participation in class depending on the period of learning. Third, Class recognition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application, and artistic thinking over the period of learning. Fourth, achievement in art class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all factors. In sum,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learning-oriented art cla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class satisfaction, attitude, changes in class recognition, and art and goals ultimat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on the classes of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art education for student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urse of learning and to consider what students should learn in each subject.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ongoing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of newly developed clas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atisfaction of class, c attitude, recognition, and achievement in art class centered on learning in middle school from Gyeonggi-do, called innovation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investigation, 304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atisfaction of class, c attitude, recognition, and achievement in art class centered on learning in middle school from Gyeonggi-do, called innovation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investigation, 304 students were surveyed at S middle school in Gyeonggi-do from 2, September to 30, September, 2019.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First, the class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joy of learning and the factors of art class time increase. Second, the class attitud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question-and-answer and self-directed participation in class depending on the period of learning. Third, Class recognition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application, and artistic thinking over the period of learning. Fourth, achievement in art class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all factors. In sum,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learning-oriented art cla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class satisfaction, attitude, changes in class recognition, and art and goals ultimat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on the classes of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art education for student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urse of learning and to consider what students should learn in each subject.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ongoing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of newly developed clas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순아, "혁신학교의 교육효과 분석: 경기도 혁신학교의 계층 간 학력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8 (28): 57-86, 2018

      2 박세진, "혁신학교가 중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혁신학교의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8 (28): 57-86, 2018

      3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기본문서"

      4 박율미, "중학교의 배움중심 미술교육 방법 프로그램 개발 연구-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5 오정민, "중학교 수학과 배움중심수업의 효과 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6 강창연, "중학교 국어과 배움중심수업의 인식과 적용 실태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장혜원, "예비교사의 배움의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65-889, 2018

      8 엄스람, "배움중심수업이 수학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2학년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단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양병석, "배움중심수업의 학습습관, 태도 및 자아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 물리영역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7

      10 경기도교육청, "배움중심수업 함께하기2(장학자료)"

      1 원순아, "혁신학교의 교육효과 분석: 경기도 혁신학교의 계층 간 학력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8 (28): 57-86, 2018

      2 박세진, "혁신학교가 중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혁신학교의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8 (28): 57-86, 2018

      3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기본문서"

      4 박율미, "중학교의 배움중심 미술교육 방법 프로그램 개발 연구-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5 오정민, "중학교 수학과 배움중심수업의 효과 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6 강창연, "중학교 국어과 배움중심수업의 인식과 적용 실태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장혜원, "예비교사의 배움의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65-889, 2018

      8 엄스람, "배움중심수업이 수학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2학년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단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양병석, "배움중심수업의 학습습관, 태도 및 자아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 물리영역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7

      10 경기도교육청, "배움중심수업 함께하기2(장학자료)"

      11 경기도교육청, "배움중심수업 2.0의 이해와 실천"

      12 이광현, "배움의 공동체 운동을 통한 수학에 대한 학생의 실태 조사 연구 : 수학 10-가의 복소수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정장윤, "배움 중심 수업에서 쓰기활동이 서술형 평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4 김현민, "독서를 활용한 배움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수학·과학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5 경기도교육청, "나누며 함께하는 배움중심수업(장학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