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가운전자들의 라디오 프로그램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 직장인 청취자들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899777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84.5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대전

      • 형태사항

        116 p: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한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마정미
        참고문헌: p. 106

      • 소장기관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문명에서 가장 오래된 매체 중 하나인 라디오는 1920년 미국에서 정규방송이 송출된 지 100년이라는 세월이 흐른 지금의 초고속 인터넷 시대에도 가장 주목받는 매체로 여전히 대중의 곁에 남아있다. 수많은 현대적 매체 사이에서 지금까지 친숙한 매체로 인식되고 있는 이유는 바로 라디오가 가진 오래되고 따뜻한 정감 때문일 것이다. 또한 미디어가 급속도로 발달하고 뉴미디어가 계속 등장하는 시대 사람들은 새로운 매체에 적응하기 위해서 학습과 적응시간이 필요하지만, 라디오는 굳이 힘들게 쫓아가지 않아도 접할 수 있는 쉬운 매체이기 때문이다.
      라디오는 불특정 다수의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는 매체지만 개인은 자신만의 공간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바로 라디오를 통해서 휴식을 취하고 친근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라디오 매체만의 특징으로 지금까지 수많은 위기 속에서도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왔지만, 앞으로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욱 다양한 매체들이 생겨나고 수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이 더욱 복잡하게 바뀌게 된다면 당연히 청취 층이 확보된다는 보장을 하기는 힘들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냉정하게 라디오 매체를 분석하여, 라디오 매체만의 경쟁력이 무엇인지 알아내고, 수용자가 원하는 바를 정확히 찾아내어 걸맞는 컨텐츠를 개발한다면, 수용자가 외면하지 않는 매체로 더 나아가서는 제 2의 전성기를 누릴 수 있는 자료의 초석으로 삼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매체가 다양해지고 자동차가 점점 증가하면서 새로운 라디오 청취계층으로 형성된 출·퇴근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첫째, 응답자들의 매체에 대한 일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중 57.5%가 출·퇴근 시 라디오 매체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라디오 매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호도는 낮지만 카세트테이프나 CD, 휴대용 MP3를 선호한 운전자가 31.8%로 나타나, 음악을 들으면서 편하게 운전을 하고 싶은 직장인들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대인 젊은 연령층에서는 라디오 매체와 휴대용 MP3의 선호도가 비슷하게 나타나 지금까지는 뉴 미디어 속에서도 라디오 매체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지금의 20대가 30대, 40대, 50대가 되는 미래에는 선호도가 바뀔 수 있음을 인식하고 지금부터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대전지역 직장인들은 자동차에서 라디오를 듣는 경우가 84.7%로 상당히 높게 조사되었다. 이를 통하여 DMB-TV 보급률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동 중에는 영상매체보다는 음성매체가 적합한 매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알 수 있었고, 사라질 위기에 놓였었던 라디오가 자동차의 증가로 새로운 자리를 찾게 되었음이 나타났다.
      운전 시 라디오 방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69.1%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음에 따라 운전 중 라디오가 가장 친숙한 매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알 수 있었다. 다만, 젊은 연령층보다 40대 이상에서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 젊은 연령층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청취 연령층을 다양하게 확보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대전지역 직장인 청취자들의 라디오 청취행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청취시간에 대한 조사 결과 조사대상자들은 하루 평균 1시간미만 라디오를 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대전지역 직장인들은 주로 출·퇴근시간만 자동차에서 라디오를 듣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반면 50대 이상은 라디오 청취시간이 2시간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청취시간은 고졸학력이 2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청취시간대에 대한 응답에서는 대부분 아침 출근시간인 아침 7시에서 9시가 42%로 라디오를 가장 많이 청취한다고 대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정오부터 오후 3시에 라디오를 청취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는데, 직장인들도 외근을 하거나 업무를 보기 위해 자동차로 이동하면서 라디오를 듣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라디오 프로그램 선택방법에 대한 조사에서 연령이나 학력과 상관없이 대부분의 청취자들은 자신이 즐겨듣는 프로그램을 능동적으로 선별하여 청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청취하는 원인을 조사하기위해 라디오 프로그램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가 운전자들은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라디오를 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디오 프로그램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에 대해 앞서 설명한 유익한 내용에 이어 선곡, 진행자, 재미있는 이야기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타인의 권유나 방송사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50대 이상은 방송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여, 선호하는 방송사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대전지역 직장인들은 음악 프로그램 유형을 즐겨 듣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연령과 교차 분석한 결과 젊은 연령일수록 오락프로그램을 선호했으며 시사-정치는 선호하지 않았고 나이가 많은 세대일수록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 높은 연령층일수록 정치에 관심이 많고 참여도 또한 높은 현재의 사회적 현상과도 통하였다.
      선호하는 음악유형은 45.4%가 최신가요를 선호했다.
      셋째, 라디오 매체를 선호하는 자가운전자들의 청취동기에 대해 조사하였다.
      성별에 따른 라디오 청취 동기는 6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남성은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여성은 보통이하의 점수를 보였고,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대전지역 소식을 알기 위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여성은 보통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운전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어서는 남성과 여성이 보통수준의 점수를 보였으나 남성이 약간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한편, 다른 사람과의 대화거리를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이 보통수준이하의 점수를 보였으나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에 따른 청취동기 비교에서는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서 청취한다고 응답한 연령대는 40대와 50대가 높은 점수가 나타났고, 이중 40대 청취자들은 다른 연령대보다 생활정보/시사정보를 얻기 위해 주로 라디오를 청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전지역 소식을 알기 위해서 방송을 듣는 청취자도 40대 이상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방송이 친구처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면에서도 연령이 많을수록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청취동기 비교에서는 고졸은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서에서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대졸은 보통, 대학원 졸은 보통이하의 점수를 보였고, 세상 돌아가는 소식을 알기 위해서는 고졸과 대졸, 대학원졸 모두가 높은 점수를 보였다. 특히, 고졸이 대졸이나 대학원 졸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운전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서도 모든 학력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대학원 졸이 고졸이나 대졸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기 위해서는 고졸과 대졸이 보통이상이며, 고졸이 대졸보다 약간 높은 점수였다. 대학원 졸은 보통이하의 점수로 나타났다. 방송이 친구처럼 느껴지기 때문에는 고졸은 보통 이상이었지만, 대졸과 대학원졸은 보통이하로 조사되었다. 나의 정서와 맞기 때문에는 고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대졸은 보통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원 졸은 보통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어서는 고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고, 대졸은 보통보다 약간 높게, 대학원 졸은 보통의. 한편, 다른 사람과의 대화거리를 위해서는 대졸과 대학원 졸은 보통수준이하의 점수를 보였으나 대졸이 대학원졸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고졸은 보통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직업별 청취동기를 비교한 결과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서 라디오를 청취한다고 응답한 직업군은 자영업, 유통업, 농어업, 운수업을 포함한 기타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공무원 및 회사원은 보통수준, 언론사 및 전문직은 보통이하의 점수를 보임으로서 운전을 많이 하는 직업군에서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 라디오를 주로 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악을 듣기위해서는 대부분이 아주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중에서 언론사 및 전문직의 직업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기타, 공무원 및 회사원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의 지루함에 대해서는 규칙적인 출퇴근시간에 라디오를 청취하는 직업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대전지역 자가운전자들의 라디오 매체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만족도는 20대, 30대, 40대는 50~60% 가량이 라디오 매체의 내용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 반면, 50대 이상에서는 만족하는 응답자가 5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적인 만족도는 상당히 낮게 조사되어, 많은 청취자들은 자신들이 원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어쩔 수 없이 청취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출·퇴근 시 자주 듣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건의사항에 대한 결과가 상당히 중요하며, 응답자의 44.3%가 음악 방송 량이 더 많았으며, 22.9%가 뉴스를 많이 제공했으면, 13.1%가 교통정보를 많이 제공했으면 에 응답했다.
      결론적으로 많은 직장인들은 출·퇴근 시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면서 기분 좋게 일터로 또는 집으로 향하길 원하며, 바쁜 현대사회 라디오를 통한 정보습득 욕구를 충족시키기를 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라디오를 통해 가장 청취하고 싶은 내용 역시 음악이 43.1%로 가장 높았고, 20.9%가 뉴스, 15.7%가 교양정보를 청취하고 싶어 했으며, 이는 프로그램에 대한 건의사항과 어느 정도 일맥상통 한다.
      한가지 더 결과를 추가하자면,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기술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전반적인 라디오 청취행태 및 운전자 청취행태 조사결과와 본 연구에서 조사한 대전지역 출·퇴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라디오 청취행태에서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먼저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적인 라디오 청취시간은 1시간 30분정도로 조사되었으나, 대전지역 직장인들은 1시간미만 또는 30분미만 청취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와 청취시간이 타 지역에 비해 상당히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체로 대전 시내 운행거리 소요시간을 넘지 않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라디오를 청취하는 시간이 짧은 만큼, 방송국에서는 방송제작시 짧은 시간 내 청취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프로그램 선택 시 고려 사항에 대해 운전자들은 어떤 내용이 방송 되는가가 가장 중요한 선택 요인으로 응답했지만, 대전지역 직장인들은 음악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체로 운전자들은 라디오를 청취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라디오 청취를 통하여 정보를 얻고, 지식을 얻는 경우가 많아, 내용면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직장인들은 짧은 시간 청취하기 때문에 방송내용 보다는 음악을 들으면서 편하게 운전하고 싶은 욕구를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국 프로그램 편성 시 청취대상을 명확하게 구분해야 할 것이다. 설문 조사 결과 연령이나 직업군 학력에 따라 청취행태에 차이가 나는 상당히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고 연령층이나 직업에 따라 각각의 청취층의 수용욕구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하여, 채널 및 프로그램을 특성화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제작진은 지역의 특징을 잘 분석하여 지역에 맞는 아이템 개발과 프로그램을 제작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청취대상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편성 및 제작을 해 왔다면, 앞으로는 프로그램 간의 차별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프로그램을 제작해야 되며 수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현대문명에서 가장 오래된 매체 중 하나인 라디오는 1920년 미국에서 정규방송이 송출된 지 100년이라는 세월이 흐른 지금의 초고속 인터넷 시대에도 가장 주목받는 매체로 여전히 대중의 곁...

      현대문명에서 가장 오래된 매체 중 하나인 라디오는 1920년 미국에서 정규방송이 송출된 지 100년이라는 세월이 흐른 지금의 초고속 인터넷 시대에도 가장 주목받는 매체로 여전히 대중의 곁에 남아있다. 수많은 현대적 매체 사이에서 지금까지 친숙한 매체로 인식되고 있는 이유는 바로 라디오가 가진 오래되고 따뜻한 정감 때문일 것이다. 또한 미디어가 급속도로 발달하고 뉴미디어가 계속 등장하는 시대 사람들은 새로운 매체에 적응하기 위해서 학습과 적응시간이 필요하지만, 라디오는 굳이 힘들게 쫓아가지 않아도 접할 수 있는 쉬운 매체이기 때문이다.
      라디오는 불특정 다수의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는 매체지만 개인은 자신만의 공간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바로 라디오를 통해서 휴식을 취하고 친근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라디오 매체만의 특징으로 지금까지 수많은 위기 속에서도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왔지만, 앞으로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욱 다양한 매체들이 생겨나고 수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이 더욱 복잡하게 바뀌게 된다면 당연히 청취 층이 확보된다는 보장을 하기는 힘들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냉정하게 라디오 매체를 분석하여, 라디오 매체만의 경쟁력이 무엇인지 알아내고, 수용자가 원하는 바를 정확히 찾아내어 걸맞는 컨텐츠를 개발한다면, 수용자가 외면하지 않는 매체로 더 나아가서는 제 2의 전성기를 누릴 수 있는 자료의 초석으로 삼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매체가 다양해지고 자동차가 점점 증가하면서 새로운 라디오 청취계층으로 형성된 출·퇴근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첫째, 응답자들의 매체에 대한 일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중 57.5%가 출·퇴근 시 라디오 매체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라디오 매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호도는 낮지만 카세트테이프나 CD, 휴대용 MP3를 선호한 운전자가 31.8%로 나타나, 음악을 들으면서 편하게 운전을 하고 싶은 직장인들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대인 젊은 연령층에서는 라디오 매체와 휴대용 MP3의 선호도가 비슷하게 나타나 지금까지는 뉴 미디어 속에서도 라디오 매체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지금의 20대가 30대, 40대, 50대가 되는 미래에는 선호도가 바뀔 수 있음을 인식하고 지금부터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대전지역 직장인들은 자동차에서 라디오를 듣는 경우가 84.7%로 상당히 높게 조사되었다. 이를 통하여 DMB-TV 보급률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동 중에는 영상매체보다는 음성매체가 적합한 매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알 수 있었고, 사라질 위기에 놓였었던 라디오가 자동차의 증가로 새로운 자리를 찾게 되었음이 나타났다.
      운전 시 라디오 방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69.1%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음에 따라 운전 중 라디오가 가장 친숙한 매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알 수 있었다. 다만, 젊은 연령층보다 40대 이상에서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 젊은 연령층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청취 연령층을 다양하게 확보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대전지역 직장인 청취자들의 라디오 청취행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청취시간에 대한 조사 결과 조사대상자들은 하루 평균 1시간미만 라디오를 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대전지역 직장인들은 주로 출·퇴근시간만 자동차에서 라디오를 듣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반면 50대 이상은 라디오 청취시간이 2시간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청취시간은 고졸학력이 2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청취시간대에 대한 응답에서는 대부분 아침 출근시간인 아침 7시에서 9시가 42%로 라디오를 가장 많이 청취한다고 대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정오부터 오후 3시에 라디오를 청취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는데, 직장인들도 외근을 하거나 업무를 보기 위해 자동차로 이동하면서 라디오를 듣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라디오 프로그램 선택방법에 대한 조사에서 연령이나 학력과 상관없이 대부분의 청취자들은 자신이 즐겨듣는 프로그램을 능동적으로 선별하여 청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청취하는 원인을 조사하기위해 라디오 프로그램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가 운전자들은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라디오를 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디오 프로그램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에 대해 앞서 설명한 유익한 내용에 이어 선곡, 진행자, 재미있는 이야기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타인의 권유나 방송사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50대 이상은 방송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여, 선호하는 방송사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대전지역 직장인들은 음악 프로그램 유형을 즐겨 듣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연령과 교차 분석한 결과 젊은 연령일수록 오락프로그램을 선호했으며 시사-정치는 선호하지 않았고 나이가 많은 세대일수록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 높은 연령층일수록 정치에 관심이 많고 참여도 또한 높은 현재의 사회적 현상과도 통하였다.
      선호하는 음악유형은 45.4%가 최신가요를 선호했다.
      셋째, 라디오 매체를 선호하는 자가운전자들의 청취동기에 대해 조사하였다.
      성별에 따른 라디오 청취 동기는 6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남성은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여성은 보통이하의 점수를 보였고,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대전지역 소식을 알기 위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여성은 보통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운전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어서는 남성과 여성이 보통수준의 점수를 보였으나 남성이 약간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한편, 다른 사람과의 대화거리를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이 보통수준이하의 점수를 보였으나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에 따른 청취동기 비교에서는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서 청취한다고 응답한 연령대는 40대와 50대가 높은 점수가 나타났고, 이중 40대 청취자들은 다른 연령대보다 생활정보/시사정보를 얻기 위해 주로 라디오를 청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전지역 소식을 알기 위해서 방송을 듣는 청취자도 40대 이상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방송이 친구처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면에서도 연령이 많을수록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청취동기 비교에서는 고졸은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서에서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대졸은 보통, 대학원 졸은 보통이하의 점수를 보였고, 세상 돌아가는 소식을 알기 위해서는 고졸과 대졸, 대학원졸 모두가 높은 점수를 보였다. 특히, 고졸이 대졸이나 대학원 졸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운전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서도 모든 학력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대학원 졸이 고졸이나 대졸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기 위해서는 고졸과 대졸이 보통이상이며, 고졸이 대졸보다 약간 높은 점수였다. 대학원 졸은 보통이하의 점수로 나타났다. 방송이 친구처럼 느껴지기 때문에는 고졸은 보통 이상이었지만, 대졸과 대학원졸은 보통이하로 조사되었다. 나의 정서와 맞기 때문에는 고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대졸은 보통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원 졸은 보통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어서는 고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고, 대졸은 보통보다 약간 높게, 대학원 졸은 보통의. 한편, 다른 사람과의 대화거리를 위해서는 대졸과 대학원 졸은 보통수준이하의 점수를 보였으나 대졸이 대학원졸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고졸은 보통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직업별 청취동기를 비교한 결과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서 라디오를 청취한다고 응답한 직업군은 자영업, 유통업, 농어업, 운수업을 포함한 기타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공무원 및 회사원은 보통수준, 언론사 및 전문직은 보통이하의 점수를 보임으로서 운전을 많이 하는 직업군에서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 라디오를 주로 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악을 듣기위해서는 대부분이 아주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중에서 언론사 및 전문직의 직업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기타, 공무원 및 회사원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의 지루함에 대해서는 규칙적인 출퇴근시간에 라디오를 청취하는 직업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대전지역 자가운전자들의 라디오 매체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만족도는 20대, 30대, 40대는 50~60% 가량이 라디오 매체의 내용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 반면, 50대 이상에서는 만족하는 응답자가 5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적인 만족도는 상당히 낮게 조사되어, 많은 청취자들은 자신들이 원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어쩔 수 없이 청취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출·퇴근 시 자주 듣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건의사항에 대한 결과가 상당히 중요하며, 응답자의 44.3%가 음악 방송 량이 더 많았으며, 22.9%가 뉴스를 많이 제공했으면, 13.1%가 교통정보를 많이 제공했으면 에 응답했다.
      결론적으로 많은 직장인들은 출·퇴근 시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면서 기분 좋게 일터로 또는 집으로 향하길 원하며, 바쁜 현대사회 라디오를 통한 정보습득 욕구를 충족시키기를 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라디오를 통해 가장 청취하고 싶은 내용 역시 음악이 43.1%로 가장 높았고, 20.9%가 뉴스, 15.7%가 교양정보를 청취하고 싶어 했으며, 이는 프로그램에 대한 건의사항과 어느 정도 일맥상통 한다.
      한가지 더 결과를 추가하자면,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기술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전반적인 라디오 청취행태 및 운전자 청취행태 조사결과와 본 연구에서 조사한 대전지역 출·퇴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라디오 청취행태에서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먼저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적인 라디오 청취시간은 1시간 30분정도로 조사되었으나, 대전지역 직장인들은 1시간미만 또는 30분미만 청취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와 청취시간이 타 지역에 비해 상당히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체로 대전 시내 운행거리 소요시간을 넘지 않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라디오를 청취하는 시간이 짧은 만큼, 방송국에서는 방송제작시 짧은 시간 내 청취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프로그램 선택 시 고려 사항에 대해 운전자들은 어떤 내용이 방송 되는가가 가장 중요한 선택 요인으로 응답했지만, 대전지역 직장인들은 음악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체로 운전자들은 라디오를 청취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라디오 청취를 통하여 정보를 얻고, 지식을 얻는 경우가 많아, 내용면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직장인들은 짧은 시간 청취하기 때문에 방송내용 보다는 음악을 들으면서 편하게 운전하고 싶은 욕구를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국 프로그램 편성 시 청취대상을 명확하게 구분해야 할 것이다. 설문 조사 결과 연령이나 직업군 학력에 따라 청취행태에 차이가 나는 상당히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고 연령층이나 직업에 따라 각각의 청취층의 수용욕구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하여, 채널 및 프로그램을 특성화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제작진은 지역의 특징을 잘 분석하여 지역에 맞는 아이템 개발과 프로그램을 제작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청취대상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편성 및 제작을 해 왔다면, 앞으로는 프로그램 간의 차별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프로그램을 제작해야 되며 수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adio-broadcast has come to be in its 2nd flourishing stage due to the amazing rate of increase of public vehicles. However there's not enough studies on radio-broadcast because radio programs, in view of economics, are normally less profitable compared to many other broadcasting media. Except a functional addition of providing the traffic information to listeners, no other notable changes in program has happened to radio-broadcast itself, which means its basic frame is almost same as that of 70 or 80's. Especially the regional broadcast needed to focus on the listener's specific favorites or demands, it actually did not, though. However, in fact, listeners has been changing more and more positively. And that, how to change the radio channel is getting much easier than ever. Therefore, radio-broadcast must meet these urgent requirements and must go with the change of the contemporaries. Therefore, finding the potential demands of listeners has to be done, most of all. And that, in-depth analysis for finding out the listeners' accurate requests must be carried out and they also must be considered sequentially in making programs. Many research results commonly show most commuters select a radio as their the most favorite media because it's easier medium to follow or catch, while driving though, than any other popular ones such as mobile TV, MP3 players and so on. This study regards the driving commuter group as the representative of today's specific 'trend-movers group', which were selected as sample group of this research. From 2009. Oct. 15 to Oct. 21, through Daeduk Research Institute, Govermental departments, schools, banks, insurance companies, press centers, corporations and hospitals, this survey was performed and its results were treated statistically by SPSS software. At last, definite and meaningful results are obtained, which are as such that: each different listers-group has each different favorites and demands. So the ultimate bottom line of this study through the survey is, radio program must be made considering the specific needs of the specified listener group which can be identified from the other different groups. And also the differentiated demand specific to each different regional area must also be taken into account when making programs.
      번역하기

      Radio-broadcast has come to be in its 2nd flourishing stage due to the amazing rate of increase of public vehicles. However there's not enough studies on radio-broadcast because radio programs, in view of economics, are normally less profitable compar...

      Radio-broadcast has come to be in its 2nd flourishing stage due to the amazing rate of increase of public vehicles. However there's not enough studies on radio-broadcast because radio programs, in view of economics, are normally less profitable compared to many other broadcasting media. Except a functional addition of providing the traffic information to listeners, no other notable changes in program has happened to radio-broadcast itself, which means its basic frame is almost same as that of 70 or 80's. Especially the regional broadcast needed to focus on the listener's specific favorites or demands, it actually did not, though. However, in fact, listeners has been changing more and more positively. And that, how to change the radio channel is getting much easier than ever. Therefore, radio-broadcast must meet these urgent requirements and must go with the change of the contemporaries. Therefore, finding the potential demands of listeners has to be done, most of all. And that, in-depth analysis for finding out the listeners' accurate requests must be carried out and they also must be considered sequentially in making programs. Many research results commonly show most commuters select a radio as their the most favorite media because it's easier medium to follow or catch, while driving though, than any other popular ones such as mobile TV, MP3 players and so on. This study regards the driving commuter group as the representative of today's specific 'trend-movers group', which were selected as sample group of this research. From 2009. Oct. 15 to Oct. 21, through Daeduk Research Institute, Govermental departments, schools, banks, insurance companies, press centers, corporations and hospitals, this survey was performed and its results were treated statistically by SPSS software. At last, definite and meaningful results are obtained, which are as such that: each different listers-group has each different favorites and demands. So the ultimate bottom line of this study through the survey is, radio program must be made considering the specific needs of the specified listener group which can be identified from the other different groups. And also the differentiated demand specific to each different regional area must also be taken into account when making progr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의 제기 1
      • 제2절 연구 목적 및 의의 3
      •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문헌 고찰 6
      • 제1절 라디오 매체 현황과 특성 6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의 제기 1
      • 제2절 연구 목적 및 의의 3
      •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문헌 고찰 6
      • 제1절 라디오 매체 현황과 특성 6
      • 1. 라디오 방송의 현황 6
      • 2. 라디오의 특성 9
      • 3. 라디오 방송 청취 행태의 특성 11
      • 4. 운전자 방송 청취 행태의 특성 15
      • 제2절 대전지역 라디오 매체 현황 17
      • 1. 대전지역 라디오 방송의 현황 17
      • 2. 대전지역 라디오 매체 현황 18
      • 제3절 이용과 충족이론 고찰 19
      • 1. 이용과 충족이론 개념 19
      • 2. 라디오 매체의 이용패턴 선행연구 23
      • 제3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30
      • 제1절 연구문제 30
      • 제2절 연구방법 31
      • 1. 조사대상 및 절차 31
      • 2. 설문지구성과 타당도 32
      • 제4장 분석 결과 34
      • 제1절 응답자의 속성 34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34
      • 2. 대전지역 자가운전자들의 운전 중 매체 선호도 36
      • 3. 대전지역 직장인들의 라디오 청취장소 40
      • 4. 운전 시 라디오 방송의 필요성 42
      • 제2절 대전지역 직장인 청취자들의 라디오 청취행태 47
      • 1. 청취시간에 대한 분석 47
      • 2. 청취시간대에 대한 분석 52
      • 3. 라디오 프로그램 선택방법에 대한 분석 57
      • 4. 라디오 프로그램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 분석 61
      • 5. 즐겨 듣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유형 65
      • 6. 출·퇴근 시 청취하는 프로그램의 음악 유형 69
      • 제3절 대전지역 자가운전자들의 라디오 청취 동기 72
      • 1. 성별에 따른 청취동기 비교 74
      • 2. 연령별 청취동기 비교 76
      • 3. 학력에 따른 청취동기 비교 80
      • 4. 직업별 청취동기 비교 82
      • 제4절 대전지역 자가운전자들의 라디오 매체 만족도 87
      • 1. 성별과 매체 만족도와의 관계 88
      • 2. 연령과 라디오 매체 만족도와의 관계 89
      • 3. 학력과 라디오 매체 만족도와의 관계 90
      • 제5절 대전지역 자가운전자들이 원하는 제작방향 91
      • 1.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건의사항 91
      • 2. 라디오를 통해 가장 청취하고 싶은 내용 94
      • 제5장 결론 및 제언 98
      • 제1절 연구 요약 및 결론 98
      • 제2절 연구 한계와 제언 104
      • 참고문헌 106
      • 부록 110
      • ABSTRACT 1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