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S(한국산업 규격)의 3단계분류체계를 활용한 건자재 표준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 by the Use of Three-tier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03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1990s, we have achieved a certain level of success in standardization of design, construction, and material on housing and public buildings with the national-level promotion. A practical connecting device that can synthesize all the serial proce...

      Since 1990s, we have achieved a certain level of success in standardization of design, construction, and material on housing and public buildings with the national-level promotion. A practical connecting device that can synthesize all the serial processes is required to maximize the effect of construction material standardization. However, desired outcome of the standardization is not achieved yet because these serial standards and notification practices are decided by each part of the process and some are congested. In this study, we aim to improve a general organizational system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tool for the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moving from a conventional idea that the standard is only for the material and components producers to a concept that can also be shared by the designers and construction workers. To achieve this, we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in the perspective of three-tier classification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기술품질원, "건축물 부품 표준화 연구(창의 표준화)"

      2 국립기술품질원, "건자재 제품규격 정비방안 연구"

      3 국립기술품질원, "건자재 KS 구성체계 정비 및 활용방안 연구"

      4 AS-1234, "Recommendation for coordinated preferred dimensions in building"

      5 AS-1224, "Preferred sizes of building components (Metric Units)"

      6 ISO(국제표준규격) 1040, "Building construction -Modular coordination (Multimodules for horizontal coordination dimensions)"

      7 ISO(국제표준규격) 1006, "Building construction -Modular coordination (Basic module)"

      1 국립기술품질원, "건축물 부품 표준화 연구(창의 표준화)"

      2 국립기술품질원, "건자재 제품규격 정비방안 연구"

      3 국립기술품질원, "건자재 KS 구성체계 정비 및 활용방안 연구"

      4 AS-1234, "Recommendation for coordinated preferred dimensions in building"

      5 AS-1224, "Preferred sizes of building components (Metric Units)"

      6 ISO(국제표준규격) 1040, "Building construction -Modular coordination (Multimodules for horizontal coordination dimensions)"

      7 ISO(국제표준규격) 1006, "Building construction -Modular coordination (Basic modul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7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