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사회인구학적 배경을 파악하여 아동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배경요인을 밝히기 위한 기초조사연구이다. 4, 5, 6학년의 남녀 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33417
2011
-
370
학술저널
5-23(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사회인구학적 배경을 파악하여 아동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배경요인을 밝히기 위한 기초조사연구이다. 4, 5, 6학년의 남녀 아...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사회인구학적 배경을 파악하여 아동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배경요인을 밝히기 위한 기초조사연구이다. 4, 5, 6학년의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222부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 본인의 주관적인 인식이 긍정적인 경우 즉, 건강하다고 지각하고, 학업성적이 좋다고 지각하고, 경제적으로 잘산다고 지각한 경우는 가족기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원이 다양하고 많은 확대가족의 경우 정서적 친밀감과 가족 결속력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긍정적인 사고와 가족 간의 다양한 정서적 관계가 가족기능을 좋게 한다고 볼 수 있다. 가족기능에 있어서 평균값에 의한 결과는 응집성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나 초등학생의 연령을 고려할 때 가족 간의 친밀성이나 정서적지지, 결속에 보다 민감하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정서적인 측면은 가족을 통해서만 충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아동에게 가족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가족기능의 차이를 통한 분석에서는 학년, 주관적 학업성적과 경제수준의 변인이 응집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적인 능력과 자신감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적응성은 주관적 건강상태, 거주지역, 가족유형 등의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아동이 건강하고 환경이 다양할수록 가족기능을 적응성과 융통성이 있는 체계로 보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유아 성폭력 예방 코칭프로그램이 성지식과 성폭력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