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아름, "함안 성산산성의 수목환경 연구, 함안 성산산성 고대환경복원연구 결과보고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2
2 이주헌, "함안 성산산성 부엽층과 출토유물의 검토" 한국목간학회 (14) : 51-74, 2015
3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보고서Ⅵ" 2017
4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함안 남문외고분군 11호분" 2017
5 차용걸, "한국축성사연구 -고대산성의 성립과 발건" 2016
6 전남문화재연구원, "장성 진원성" 2018
7 朴鍾益, "신라 석축산성의 입지와 기단보축 검토" 영남고고학회 (63) : 163-187, 2012
8 박종익, "성곽유적을 통해 본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 (5) : 2005
9 권순강, "석축 산성의 계곡부 체성과 못(池)에 관한 연구 - 거창 거열성과 함안 성산산성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7-22, 2011
10 정인태, "삼국~통일신라시대 산성 집수지에 관한 연구 : 백제·신라산성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1 정아름, "함안 성산산성의 수목환경 연구, 함안 성산산성 고대환경복원연구 결과보고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2
2 이주헌, "함안 성산산성 부엽층과 출토유물의 검토" 한국목간학회 (14) : 51-74, 2015
3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보고서Ⅵ" 2017
4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함안 남문외고분군 11호분" 2017
5 차용걸, "한국축성사연구 -고대산성의 성립과 발건" 2016
6 전남문화재연구원, "장성 진원성" 2018
7 朴鍾益, "신라 석축산성의 입지와 기단보축 검토" 영남고고학회 (63) : 163-187, 2012
8 박종익, "성곽유적을 통해 본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 (5) : 2005
9 권순강, "석축 산성의 계곡부 체성과 못(池)에 관한 연구 - 거창 거열성과 함안 성산산성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7-22, 2011
10 정인태, "삼국~통일신라시대 산성 집수지에 관한 연구 : 백제·신라산성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11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김해 양동산성 동문지·양평 도곡리 유적" 2013
12 안성현, "경남지역 고대 석축산성 축조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성곽학회 11 : 2007
13 정인태, "가야지역 고분과 고대 산성의 관계 검토 -경남·고령지역 대형 봉토분과 석축산성을 중심으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8) : 147-175, 2011
14 정인태, "가야고분 축조기법 검토"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7
15 大東文化財硏究院, "高靈 主山城Ⅰ" 2014
16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新羅王京-發掘調査報告書Ⅰ(本文)" 2002
17 백승옥, "安羅高堂會議’의 성격과 安羅國의 위상" 함안군·함안문화원 2004
18 이춘선, "Ⅳ. 고찰 - 2. 함안 성산산성 출토 토기에 대한 고찰,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보고서Ⅵ"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7
19 백승충, "6세기 전반의 백제의 가야진출과정"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31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