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축조기법의 특징 = A Study on the techniques and methods for the construction of Sungsan mountain fortress in Ham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3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man Sungsan mountain fortress was built over three periods.
      Period 1 is the stage of building mountain fortress infrastructure and major facilities, which is the organic horizon and the underdrain, the wall, the strengthened structures, the gate, the receiving reservoir.
      The organic horizon is a purpose of build a fortress wall in valley.
      Also It is a facility that a drainage of fortress and protecting fortress wall.
      period 2 rebuilds up the receiving reservoir, the wall, the gate, the strengthened structures. period 3 rebuilds up the the wall.
      In the 15th century, Sungsan Seowon was built, losting the function of mountain fortress.
      Sung-san mountain fortress was built in the late 6th century by Silla.
      The main reason is that Silla controls Baekje and Wae, after occupied Haman area.
      번역하기

      Haman Sungsan mountain fortress was built over three periods. Period 1 is the stage of building mountain fortress infrastructure and major facilities, which is the organic horizon and the underdrain, the wall, the strengthened structures, the gate, t...

      Haman Sungsan mountain fortress was built over three periods.
      Period 1 is the stage of building mountain fortress infrastructure and major facilities, which is the organic horizon and the underdrain, the wall, the strengthened structures, the gate, the receiving reservoir.
      The organic horizon is a purpose of build a fortress wall in valley.
      Also It is a facility that a drainage of fortress and protecting fortress wall.
      period 2 rebuilds up the receiving reservoir, the wall, the gate, the strengthened structures. period 3 rebuilds up the the wall.
      In the 15th century, Sungsan Seowon was built, losting the function of mountain fortress.
      Sung-san mountain fortress was built in the late 6th century by Silla.
      The main reason is that Silla controls Baekje and Wae, after occupied Haman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함안 성산산성은 총 3기에 걸쳐 축조·활용되었는데, 1기는 부엽층, 1호 맹암거 등 산성의 기반시설과 함께 성벽, 내·외벽 보축, 문지, 1호 집수지 등 주요 시설을 축조하는 단계이다. 또 산성을 활용하면서 1호 수혈유구, 2호 맹암거 등을 조성하였다. 성벽과 보축, 문지의 구조와 축조기법을 통해 신라의 축성술이 확인되며, 계곡부에 성벽을 쌓기 위해 부엽층을 먼저 조성하고 성벽 활용 단계에 배수와 성벽 보호를 위해 부엽층, 맹암거 등 기반시설을 마련하였음이 확인되었다.
      2기는 집수지가 대대적으로 개축되며 이와 함께 성벽과 문지, 보축도 다시 쌓아 산성을 활용하는 시기이다. 2호 집수지에서 출토된 진단구를 통해 8세기대로 볼 수 있다. 3기는 동성벽의 2차 개축 단계로 기저부에서 출토되는 기와를 통해 9세기대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성산서원터가 성 내 건립되는 등 15세기를 전후로 산성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성산산성의 초축 시기는 산성 기반시설인 부엽층에서 출토된 토기류와 기년명 목간,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결과 등을 통해 6세기 후반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배경에는 신라가 함안지역을 복속한 이후 왜의 침입을 대비함과 동시에 백제를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신라의 함안지역 통치를 위한 행정적인 기능도 수행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번역하기

      함안 성산산성은 총 3기에 걸쳐 축조·활용되었는데, 1기는 부엽층, 1호 맹암거 등 산성의 기반시설과 함께 성벽, 내·외벽 보축, 문지, 1호 집수지 등 주요 시설을 축조하는 단계이다. 또 산성�...

      함안 성산산성은 총 3기에 걸쳐 축조·활용되었는데, 1기는 부엽층, 1호 맹암거 등 산성의 기반시설과 함께 성벽, 내·외벽 보축, 문지, 1호 집수지 등 주요 시설을 축조하는 단계이다. 또 산성을 활용하면서 1호 수혈유구, 2호 맹암거 등을 조성하였다. 성벽과 보축, 문지의 구조와 축조기법을 통해 신라의 축성술이 확인되며, 계곡부에 성벽을 쌓기 위해 부엽층을 먼저 조성하고 성벽 활용 단계에 배수와 성벽 보호를 위해 부엽층, 맹암거 등 기반시설을 마련하였음이 확인되었다.
      2기는 집수지가 대대적으로 개축되며 이와 함께 성벽과 문지, 보축도 다시 쌓아 산성을 활용하는 시기이다. 2호 집수지에서 출토된 진단구를 통해 8세기대로 볼 수 있다. 3기는 동성벽의 2차 개축 단계로 기저부에서 출토되는 기와를 통해 9세기대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성산서원터가 성 내 건립되는 등 15세기를 전후로 산성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성산산성의 초축 시기는 산성 기반시설인 부엽층에서 출토된 토기류와 기년명 목간,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결과 등을 통해 6세기 후반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배경에는 신라가 함안지역을 복속한 이후 왜의 침입을 대비함과 동시에 백제를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신라의 함안지역 통치를 위한 행정적인 기능도 수행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아름, "함안 성산산성의 수목환경 연구, 함안 성산산성 고대환경복원연구 결과보고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2

      2 이주헌, "함안 성산산성 부엽층과 출토유물의 검토" 한국목간학회 (14) : 51-74, 2015

      3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보고서Ⅵ" 2017

      4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함안 남문외고분군 11호분" 2017

      5 차용걸, "한국축성사연구 -고대산성의 성립과 발건" 2016

      6 전남문화재연구원, "장성 진원성" 2018

      7 朴鍾益, "신라 석축산성의 입지와 기단보축 검토" 영남고고학회 (63) : 163-187, 2012

      8 박종익, "성곽유적을 통해 본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 (5) : 2005

      9 권순강, "석축 산성의 계곡부 체성과 못(池)에 관한 연구 - 거창 거열성과 함안 성산산성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7-22, 2011

      10 정인태, "삼국~통일신라시대 산성 집수지에 관한 연구 : 백제·신라산성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1 정아름, "함안 성산산성의 수목환경 연구, 함안 성산산성 고대환경복원연구 결과보고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2

      2 이주헌, "함안 성산산성 부엽층과 출토유물의 검토" 한국목간학회 (14) : 51-74, 2015

      3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보고서Ⅵ" 2017

      4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함안 남문외고분군 11호분" 2017

      5 차용걸, "한국축성사연구 -고대산성의 성립과 발건" 2016

      6 전남문화재연구원, "장성 진원성" 2018

      7 朴鍾益, "신라 석축산성의 입지와 기단보축 검토" 영남고고학회 (63) : 163-187, 2012

      8 박종익, "성곽유적을 통해 본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 (5) : 2005

      9 권순강, "석축 산성의 계곡부 체성과 못(池)에 관한 연구 - 거창 거열성과 함안 성산산성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7-22, 2011

      10 정인태, "삼국~통일신라시대 산성 집수지에 관한 연구 : 백제·신라산성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11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김해 양동산성 동문지·양평 도곡리 유적" 2013

      12 안성현, "경남지역 고대 석축산성 축조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성곽학회 11 : 2007

      13 정인태, "가야지역 고분과 고대 산성의 관계 검토 -경남·고령지역 대형 봉토분과 석축산성을 중심으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8) : 147-175, 2011

      14 정인태, "가야고분 축조기법 검토"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7

      15 大東文化財硏究院, "高靈 主山城Ⅰ" 2014

      16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新羅王京-發掘調査報告書Ⅰ(本文)" 2002

      17 백승옥, "安羅高堂會議’의 성격과 安羅國의 위상" 함안군·함안문화원 2004

      18 이춘선, "Ⅳ. 고찰 - 2. 함안 성산산성 출토 토기에 대한 고찰,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보고서Ⅵ"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7

      19 백승충, "6세기 전반의 백제의 가야진출과정"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31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