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차산성 발굴성과 및 목간 소개 = The introduction of excavation result and wooden tablets in Achasan for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3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result of excavation surveys for four times in order to obtain data for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Achasan fortress, various kinds of relics and artifacts were confirmed in three cultural layers including the walls.
      Drainage facilities were confirmed on the fortress walls, and hypocaust, waterway and masonry facility were surveyed on the first cultural layer. In the 2nd cultural layer, waterways, masonry facilities and work facilities were confirmed, and catchment site are located in the 3rd cultural layer. Various types of earthenware, tiles, iron and wooden tools were excavated. Among the wooden tools, there are five presumed to be wood tablets. In one, you can see the traces of the letters, but the exact details are unknown. Other inscribed roof-tiles, which can estimate the fortress, and lotus design roof-end tiles corresponding to Goguryeo, were also excavated.
      This survey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identify the exact nature of the Achasan fortress, along with the archaeological evidence already identified.
      번역하기

      As a result of excavation surveys for four times in order to obtain data for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Achasan fortress, various kinds of relics and artifacts were confirmed in three cultural layers including the walls. Drainage facilities were ...

      As a result of excavation surveys for four times in order to obtain data for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Achasan fortress, various kinds of relics and artifacts were confirmed in three cultural layers including the walls.
      Drainage facilities were confirmed on the fortress walls, and hypocaust, waterway and masonry facility were surveyed on the first cultural layer. In the 2nd cultural layer, waterways, masonry facilities and work facilities were confirmed, and catchment site are located in the 3rd cultural layer. Various types of earthenware, tiles, iron and wooden tools were excavated. Among the wooden tools, there are five presumed to be wood tablets. In one, you can see the traces of the letters, but the exact details are unknown. Other inscribed roof-tiles, which can estimate the fortress, and lotus design roof-end tiles corresponding to Goguryeo, were also excavated.
      This survey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identify the exact nature of the Achasan fortress, along with the archaeological evidence already identif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아차산성의 복원 및 정비를 위한 자료 획득을 목적으로 총 4차에 걸쳐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벽을 비롯한 3개의 문화층에서 여러 종류의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었다. 체성부에서는 배수시설이 확인되었고, 1문화층에서는 구들과 수로, 석축시설, 2문화층에서는 수로와 석축시설, 작업시설, 3문화층에서는 집수시설 조사되었다. 유물로는 다양한 형태의 토기류, 기와류, 철기류, 목기류가 출토되었다. 목기들 가운데 목간으로 추정되는 것은 5점으로 1점에서 묵서의 흔적이 보이지만 정확하게 내용을 알 수는 없다. 그 외 산성의 성격을 추정할 수 있는 명문기와와 고구려에 해당하는 연화문와당도 출토되었다. 이러한 조사성과는 기존에 확인된 고고학적인 증거와 더불어 아차산성의 정확한 성격을 규명하는데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아차산성의 복원 및 정비를 위한 자료 획득을 목적으로 총 4차에 걸쳐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벽을 비롯한 3개의 문화층에서 여러 종류의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었다. 체성부에서는 배수...

      아차산성의 복원 및 정비를 위한 자료 획득을 목적으로 총 4차에 걸쳐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벽을 비롯한 3개의 문화층에서 여러 종류의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었다. 체성부에서는 배수시설이 확인되었고, 1문화층에서는 구들과 수로, 석축시설, 2문화층에서는 수로와 석축시설, 작업시설, 3문화층에서는 집수시설 조사되었다. 유물로는 다양한 형태의 토기류, 기와류, 철기류, 목기류가 출토되었다. 목기들 가운데 목간으로 추정되는 것은 5점으로 1점에서 묵서의 흔적이 보이지만 정확하게 내용을 알 수는 없다. 그 외 산성의 성격을 추정할 수 있는 명문기와와 고구려에 해당하는 연화문와당도 출토되었다. 이러한 조사성과는 기존에 확인된 고고학적인 증거와 더불어 아차산성의 정확한 성격을 규명하는데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재)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온달산성-2015발굴조사 보고서" 2017

      2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아차산성-시굴조사보고서" 2000

      3 광진구·한강문화재연구원, "아차산성 종합정비계획" 2013

      1 (재)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온달산성-2015발굴조사 보고서" 2017

      2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아차산성-시굴조사보고서" 2000

      3 광진구·한강문화재연구원, "아차산성 종합정비계획"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