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과업의 배경 □ 김해시 지역경제 위기감 고조 ㅇ (열악한 기업 및 산업구조) 김해시 소재 기업 중, 영세기업 및 소기업이 전체의 98.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저부가가치 중심의 산업구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 과업의 배경 □ 김해시 지역경제 위기감 고조 ㅇ (열악한 기업 및 산업구조) 김해시 소재 기업 중, 영세기업 및 소기업이 전체의 98.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저부가가치 중심의 산업구조 ...
(1) 과업의 배경
□ 김해시 지역경제 위기감 고조
ㅇ (열악한 기업 및 산업구조) 김해시 소재 기업 중, 영세기업 및 소기업이 전체의 98.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저부가가치 중심의 산업구조
ㅇ (제조업 마이너스 성장과 수출둔화) 2010년대 이전의 제조업 총생산 증가율은 10%대를 웃돌았으나 최근에는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 중이며 수출성장 둔화 현상이 지속되는 양상
ㅇ (청년 이탈 가속화) 지역경제 기여도가 높은 생산가능인구의 증가 폭 감소와 함께 청년층의 유출이 두드러지면서 역내 고용구조는 고령자 일자리 증가, 청년층 및 생산인구 일자리 감소 현상 발현
ㅇ (초(超)저성장 경제 진입) 경남 내 18개 시군 중에서 창원에 이어 제2의 경제 규모를 보이고 있으나, 최근에는 0%대의 지역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여 김해경제의 불안정성 고조
□ 최근 김해시 경제 위기의 주요 요인은 주력산업의 성장침체 및 제조업 비교우위 산업 출현의 부재에 기인한 결과
ㅇ 김해시의 제조업 중 특화도가 높은 산업은 대부분 저부가가치 업종(고무 플라스틱 및 금속가공 등)으로 인해 산업 성장에 한계
ㅇ 역내 산업구조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특성을 보이며, 이는 기존의 주력산업 및 신규 산업에 대한 비중 변화가 없는 것을 의미하고 산업고도화 진행이 지연되고 있음을 함의
□ 김해시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산업의 발굴 및 육성을 통한 미래먹거리(미래전략)산업 발굴·육성이 요구되는 시점
(2) 과업의 목적
□ 김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2Track 발전전략 도모
ㅇ 본 과업은 김해지역 경제 및 산업의 실태분석을 통해 디지털 전환 및 기후 위기 대응 등 글로벌 산업·경제 여건 변화에 대비하는 것이 주요 목적
ㅇ 산업별 정책과제를 발굴하여 김해지역의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할 수 있는 대안과 핵심 국책사업 등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
ㅇ 본 과업을 통해 ①기존산업 구조고도화 ②미래전략산업 발굴·육성 등 2Track 산업발전 전략을 기반으로 김해시 산업구조 개편 방안 제시
ㅇ (플랫폼 기반 지원체계 구축) 2Track 산업발전전략 지원체계를 통해 플랫폼 중심의 기존산업 구조고도화 및 미래전략산업의 지원체계 확립 방안을 마련
ㅇ 새롭게 수립된 김해시 미래전략산업 비전과 전략에 따라 혁신성장 주도산업의 중장기 육성 로드맵을 포함한 주요 정책과제와 산업육성을 위한 핵심 국책사업(프로젝트)을 제안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