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문헌 속 제주도 돌문화 내용 분석과 특징 = The Analysi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Culture of Jeju Island seen in Old Litera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7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lassified the stone cultures of Jeju Island seen in old literatures into government-led stone culture and inhabitant-led stone culture,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government-led stone culture mainly consist of defensive facilities(e.g. Up-seong(castle of town), Jin-seong(castle of military camp), Yeon-dea(heights to send the signal of smoke), Hwanhea-Jangseong(coastal fortress)), Jatseong(stonewall for government-installed ranches), and Dolharubang(standing stone statue). This was confirmed in 16 literatures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se literatures, defensive facilities were the most abundant. The contents of inhabitant-led stone culture mainly consist of Stone walls(e.g. Batdam(dry field wall), Wondam(intertidal stone fish trap), Sandam(tomb-surrounding stone wall), Jipdam(stonewall for fence)) and Mudle(stone piles). This was confirmed in 21 literatures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mpared to various types of stone culture, most of these stone walls have been identifi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led stone culture seen in old literatures are as follows: The time and background of the stone walling, and the related figures are clearly recorded together with the location, scale and facility status; defensive facilities and Jatseong showed the changes over time. These are all greatly contributed to designating a lot of government-led stone culture as cultural asset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inhabitant-led stone culture seen in old literatures are as follows: the origin of the 1230s Batdam became an important clue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aspect of Jeju Island at that time, and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seen in the records showed that the stone cultures of Jeju Island have been a landscape representing this island over a long period of time. Moreover, the records made in 1939 on various types of stone wall, stone mining, stone walling and repair cost becam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at the time of stone walls.
      번역하기

      This study classified the stone cultures of Jeju Island seen in old literatures into government-led stone culture and inhabitant-led stone culture,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

      This study classified the stone cultures of Jeju Island seen in old literatures into government-led stone culture and inhabitant-led stone culture,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government-led stone culture mainly consist of defensive facilities(e.g. Up-seong(castle of town), Jin-seong(castle of military camp), Yeon-dea(heights to send the signal of smoke), Hwanhea-Jangseong(coastal fortress)), Jatseong(stonewall for government-installed ranches), and Dolharubang(standing stone statue). This was confirmed in 16 literatures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se literatures, defensive facilities were the most abundant. The contents of inhabitant-led stone culture mainly consist of Stone walls(e.g. Batdam(dry field wall), Wondam(intertidal stone fish trap), Sandam(tomb-surrounding stone wall), Jipdam(stonewall for fence)) and Mudle(stone piles). This was confirmed in 21 literatures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mpared to various types of stone culture, most of these stone walls have been identifi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led stone culture seen in old literatures are as follows: The time and background of the stone walling, and the related figures are clearly recorded together with the location, scale and facility status; defensive facilities and Jatseong showed the changes over time. These are all greatly contributed to designating a lot of government-led stone culture as cultural asset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inhabitant-led stone culture seen in old literatures are as follows: the origin of the 1230s Batdam became an important clue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aspect of Jeju Island at that time, and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seen in the records showed that the stone cultures of Jeju Island have been a landscape representing this island over a long period of time. Moreover, the records made in 1939 on various types of stone wall, stone mining, stone walling and repair cost becam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at the time of stone wal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고문헌 속 제주도 돌문화에 대한 내용을 관 주도형과 주민 주도형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 주도형 돌문화는 방어유적(읍성, 진성, 연대, 환해장성)과 잣성, 돌하르방에 대한 내용이 확인되는데 이는 조선왕조실록 외 16개의 문헌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문헌에서는 방어유적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이 확인되었다. 한편, 주민 주도형 돌문화는 주로 돌담(밭담, 원담, 산담, 집담)과 머들에 대한 내용이 확인되는데 이는 조선왕조실록 외 21개의 문헌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돌문화는 다양한 종류에 비해서 대부분 돌담과 관련된 내용만 확인되고 있었다. 둘째, 문헌 속 관 주도형 돌문화의 특징으로는 돌문화의 유래인 축조 시기, 배경, 관련 인물과 함께 위치, 규모, 시설현황 등이 비교적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또한 방어유적과 잣성은 시기에 따른 변화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는데 이 내용들은 현재 많은 돌문화가 문화재로 지정됨에 있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문헌 속 주민 주도형 돌문화의 특징으로 1230년대 밭담의 유래는 당시 제주도의 사회상을 재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었고, 지리적 환경은 제주도 돌문화가 오랜 기간 제주를 대표하는 경관임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1939년 다양한 돌담의 축조 규모, 돌 채취, 보수비용에 대한 기록은 당시 돌담과 관련된 점을 조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로 작용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고문헌 속 제주도 돌문화에 대한 내용을 관 주도형과 주민 주도형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 주도형 돌문화는 방어유적(읍성, 진...

      본 논문에서는 고문헌 속 제주도 돌문화에 대한 내용을 관 주도형과 주민 주도형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 주도형 돌문화는 방어유적(읍성, 진성, 연대, 환해장성)과 잣성, 돌하르방에 대한 내용이 확인되는데 이는 조선왕조실록 외 16개의 문헌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문헌에서는 방어유적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이 확인되었다. 한편, 주민 주도형 돌문화는 주로 돌담(밭담, 원담, 산담, 집담)과 머들에 대한 내용이 확인되는데 이는 조선왕조실록 외 21개의 문헌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돌문화는 다양한 종류에 비해서 대부분 돌담과 관련된 내용만 확인되고 있었다. 둘째, 문헌 속 관 주도형 돌문화의 특징으로는 돌문화의 유래인 축조 시기, 배경, 관련 인물과 함께 위치, 규모, 시설현황 등이 비교적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또한 방어유적과 잣성은 시기에 따른 변화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는데 이 내용들은 현재 많은 돌문화가 문화재로 지정됨에 있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문헌 속 주민 주도형 돌문화의 특징으로 1230년대 밭담의 유래는 당시 제주도의 사회상을 재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었고, 지리적 환경은 제주도 돌문화가 오랜 기간 제주를 대표하는 경관임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1939년 다양한 돌담의 축조 규모, 돌 채취, 보수비용에 대한 기록은 당시 돌담과 관련된 점을 조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로 작용하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주특별자치도, "화산섬, 제주문화재탐방"

      2 "한국지리지총서 읍지 육 제주도"

      3 오상학, "한국지리지 제주특별자치도 - 역사와 문화"

      4 정광중, "한국지리지 제주특별자치도"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12

      5 손영식, "한국의석조문화 – 그 아름다움의 절정" 다른세상 2004

      6 이원조, "탐라지 초본"

      7 남만리, "탐라지"

      8 이원진, "탐라지"

      9 "탐라방영총람"

      10 김석익, "탐라기년"

      1 제주특별자치도, "화산섬, 제주문화재탐방"

      2 "한국지리지총서 읍지 육 제주도"

      3 오상학, "한국지리지 제주특별자치도 - 역사와 문화"

      4 정광중, "한국지리지 제주특별자치도"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12

      5 손영식, "한국의석조문화 – 그 아름다움의 절정" 다른세상 2004

      6 이원조, "탐라지 초본"

      7 남만리, "탐라지"

      8 이원진, "탐라지"

      9 "탐라방영총람"

      10 김석익, "탐라기년"

      11 이응호, "탐라국서"

      12 H. Lautensach, "코리아(Korea)" 믿음사 1998

      13 이익태, "지영록"

      14 담수계, "증보 탐라지"

      15 윤시동, "증보 탐라지"

      16 "조선왕조실록"

      17 강만익, "조선시대 제주도 잣성(牆垣)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35) : 205-246, 2009

      18 김명철, "조선시대 제주도 관방시설의 연구 : 읍성, 진성과 봉수, 연대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9 김정, "제주풍토록"

      20 이건, "제주풍토기"

      21 김의근, "제주지역 돌문화의 관광자원화 방안 연구" 33 : 111-124, 2008

      22 송성대, "제주인의 海民情神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파피루스 1998

      23 제주돌문화공원, "제주의 수문장 돌하르방" 이지콤 2007

      24 김봉옥, "제주의 방어유적" 제주도 1996

      25 김유정, "제주의 무덤"

      26 김유정, "제주의 돌문화" 서귀포문화원 2012

      27 이윤형, "제주의 돌문화"

      28 고성보, "제주의 돌담" 제주대학교출판부 2009

      29 이덕희, "제주의 도대불" 가시아히 1997

      30 "제주읍지"

      31 "제주병제봉대총록"

      32 강연실, "제주문화상징물의 가치와 문화콘텐츠화 방안 : 돌문화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8

      33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문화상징"

      34 강창언, "제주도의 환해장성 연구" 11 : 107-146, 1991

      35 金宗錫,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石)문화 : 생활용구, 방어시설 및 사회적 기능체로서의 용도를 중심으로"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36 김형남, "제주도 마을의 돌문화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1 (11): 25-36, 2009

      37 조환진, "제주도 돌담의 지역별 특성과 축조방식"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38 강성기, "제주도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에 대한 연구" 제주대학교 2016

      39 강창화, "제주도 고인돌"

      40 이청규, "제주도 고고학연구" 서울대학교 1995

      41 "제주대정정의읍지"

      42 "제주계록"

      43 황시권, "제주 돌하르방의 종합적 연구" 명지대학교 2015

      44 한국조경신문, "제주 돌문화, 세계문화유산적 가치 충분"

      45 정광중, "제주 돌담의 가치와 돌담 속 숨겨진 선조들의 지혜 찾기" 48 : 177-203, 2017

      46 강정효, "제주 거욱대" 도서출판 각 2008

      47 정광중, "장소자산으로서 제주 돌담의 가치와 활용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 16 (16): 99-117, 2013

      48 이행, "신중동국여지승람"

      49 김윤식, "속음청사"

      50 정광중, "북촌리 주민들의 거주환경에 따른 돌문화 관련자원의 형성과 배경" 한국사진지리학회 18 (18): 7-26, 2008

      51 이형상, "남환박물"

      52 김성구, "남천록"

      53 이증, "남사일록"

      54 김상헌, "남사록"

      55 임제, "남명소승"

      56 김일우, "고려시대 탐라사 연구" 신서원 2008

      57 임진강, "계층적 분석기법(AHP)에 의한 제주 돌문화경관자원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5 (45): 16-27, 2017

      58 제주특별자치도, "개정증보 제주어사전" 일신옵셋인쇄사 2009

      59 김정선, "翁仲石: 돌하르방에 대한 고찰" 탐라문화연구원 (33) : 199-244, 2008

      60 善生永助, "濟州道生活狀態調査" 제주시 우당도서관 2002

      61 桝田一二, "濟州道の 地理的 硏究(1930年代의 地理․人口․産業․出稼 狀況 等)" 제주시 우당도서관 2005

      62 上田耕一郞, "濟州島の 經濟" 제주시 우당도서관 1999

      63 "朝鮮王朝實錄"

      64 橋 昇, "朝鮮半島の農法と農民" 농촌진흥청 2008

      65 藤島亥治郞, "朝鮮と 建築"

      66 梶山淺次郞, "朝鮮 第160號, 濟州島 紀行" 제주발전연구원 2010

      67 W.F. Sands, "The Amazons(제주도 여자들 - 구한말 불어, 영어 문헌 속 제주도(1893~1913))" 제주시우당도서관 2015

      68 S. Genthe, "Korea-Reiseschilderungen(독일인 겐테가 본 신선한 나라 조선 1901)" 책과 함께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ju Studies -> Society for Jeju Studies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