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삶의 현상은 무엇인가? 이야기란 무엇인가? 이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과 리쾨르의 이야기 개념을 통해 이 두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현존재의 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0052
2005
Korean
1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41-168(2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의 삶의 현상은 무엇인가? 이야기란 무엇인가? 이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과 리쾨르의 이야기 개념을 통해 이 두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현존재의 존...
인간의 삶의 현상은 무엇인가? 이야기란 무엇인가? 이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과 리쾨르의 이야기 개념을 통해 이 두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현존재의 존재는 염려이다. 하이데거는 인간의 삶의 현상을 염려라고 표현한다. 이것은 인간의 거기에 있음(Dasein)이 실존이라는 말이다. 그리고 실존의 의미는 그의 “존재해야 함”에 있다. 실존으로서의 인간 존재는 앞서 결단함을 통해 본래적 삶을 살 수 있다. 특히 인간 현존재는 죽음에로 미리 앞서 달려가 볼 수 있는데 이 점에서 인간은 시간적 존재로서 폭로된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시간성을 염려의 존재론적 의미로서 분석한다. 인간은 시간의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시간의식은 (인간)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드러나게 마련이다. 그래서 리쾨르는 「시간과 이야기」에서 인간은 물리적 시간이 아닌 이야기된 시간을 산다고 주장하였다. 인간은 시간 속에 살며,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자신의 삶의 이야기는 바로 자신의 삶의 텍스트가 된다. 이러한 인간 현존재의 삶의 이야기 만들기 혹은 쓰기는 다름 아닌 「자기의 해석학」이다. 자기의 해석학의 최종목표는 자기-이해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being of Dasein in M. Heidegger and the narrative in P. Ricoeur. According to Heidegger, the being of Dasein is Care(Sorge). Heidegger expressed the characteristic of human life as Care. This means that the way of b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being of Dasein in M. Heidegger and the narrative in P. Ricoeur. According to Heidegger, the being of Dasein is Care(Sorge). Heidegger expressed the characteristic of human life as Care. This means that the way of being of Dasein is existence. And the meaning of existence lies in its “to be.” Also human as existence can anticipates toward death. At this point, human are disclosed as temporal being. And so, Heidegger analyzed temporality as the ontological meaning of care. These temporality of human life is expressed through his or her narrative. Therefore, in his book, Time and narrative, Ricoeur argued that human live not physical time, but narratived time. While human can live in time, he or she makes narrative of their own life. The narrative of one's life becomes the text of his or her life. The intention of these two actions is hermeneutics of the self. The final destination of hermeneutics of the self is self- understanding.
참고문헌 (Reference)
1 "현상학의 근본문제들" 1994
2 김재철, "하이데거의 종교현상학"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집 : 2000
3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 서광사 2003
4 "하이데거의 實存과 言語" 문예 1992
5 _, "하이데거의 存在와 現象" 문예 1992
6 Pggeler Otto, "하이데거 사유의 길" 1993
7 윤성우, "폴 리쾨르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4
8 "진정한 자아의 가면을 찾아서"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8집 : 2004
9 최성환, "죽음의 해석학: 사태(Tatsache, matter of fact)로서의 죽음" 중앙철학연구소 16 : 33-58, 2004
10 양명수, "인간의 자기 이해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66호) : 2005가을호
1 "현상학의 근본문제들" 1994
2 김재철, "하이데거의 종교현상학"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집 : 2000
3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 서광사 2003
4 "하이데거의 實存과 言語" 문예 1992
5 _, "하이데거의 存在와 現象" 문예 1992
6 Pggeler Otto, "하이데거 사유의 길" 1993
7 윤성우, "폴 리쾨르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4
8 "진정한 자아의 가면을 찾아서"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8집 : 2004
9 최성환, "죽음의 해석학: 사태(Tatsache, matter of fact)로서의 죽음" 중앙철학연구소 16 : 33-58, 2004
10 양명수, "인간의 자기 이해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66호) : 2005가을호
11 "상징, 은유 그리고 이야기" 문예출판사 2002
12 Kathleen BlameyDavid Pellaue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13 "Sein und Zeit: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14 "Phnomenologische Interpretationen zu Aristoteles" 1985
15 "Kant 윤리학에서 양심의 문제 :하이데거의 양심개념에 근거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8집 : 2004
16 "From Text to Acti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illi (illi): 1991
한국인의 유교적 마음의 구성에 대한 분석과 이에 기초한 청소년 예교육 모델 개발
아리스토텔레스의 『후분석론』 B권 8-10장에서의 논증과 정의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인식 비판과 종교생태학의 가능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철학탐구 -> 철학탐구 외국어명 : 미등록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37 | 0.9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