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본 지역포괄지원센터 역할이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험제도에 주는 시사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542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와 일본의 노인문제는 고령사회라는 서로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노인 돌봄을 제도화 하여 대처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우리보다 앞서 노인 돌봄의 개...

      우리나라와 일본의 노인문제는 고령사회라는 서로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노인 돌봄을 제도화 하여 대처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우리보다 앞서 노인 돌봄의 개호보험을 실시하면서 이용 대상자와 보험재정의 급증 과정을 겪으면서 제도개정을 통해 네크워크 구축, 행정과 민간의 협력체계 강화, 지역주민과의 연대를 통해 예방과 종합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역포괄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제도 속 에서 케어매니지먼트를 실시하고 있다. 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7년차에 접어드는 우리나라 역시 일본과 유사한 문제를 보이고 있다. 이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모색하고자 한 일본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제도 운영에 주는 시사점으로 지역포괄센터와 유사한 노인성질환 예방사업의 전담과 예방급여 서비스의 체계적 실시가 필요함과 함께, 우리나라에 정착된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해 지역사회의 공식 ․ 비공식적 인 노인지원 자원의 네트워크 활용을 제언코자한다. 또한 일본이 지역포괄지원센터의 인력과 운영을 구성 한 주된 사유에서 보듯이 우리나라의 장기요양보험 급여지원에서도 케어매니저와 케어 매니지먼트의 적용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blems of the elderly in Korea and Japan showed a similar pattern of aging society, the two countries have a common ground to deal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Japan was conducted by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

      Problems of the elderly in Korea and Japan showed a similar pattern of aging society, the two countries have a common ground to deal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Japan was conducted by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ahead of our country. In particular, while in Japan ahead of us carry out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care of the process experienced a surge in insurance-financial and insurance users. Through this system revision to install the Local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for prevention and comprehensive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network building,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ystems strengthening ties with local residents and conducting care management in the system. Korea conducted seven years of long-term care insurance also showed a similar issue with Japan. In cases through the continuous and reliable operation of the insurance scheme in Japan who are looking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institutions operating in the country. And that raises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prevent the age-related disease prevention projects and payroll services to conduct a Comprehensive Community Support Center. It also wishes to suggest formal and informal support network resource utilization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through the local welfare council settled in the country through its implications. The main reason for this is also seen in Japan, configure the Comprehensive Community Support Center personnel operating in our country's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 assistance is needed to apply for care managers and care manag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개호보험 지역포괄센터와 노인장기요양보험
      • Ⅲ. 결론: 우리나라 장기요양 예방사업에 주는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 Ⅰ. 서 론
      • Ⅱ. 개호보험 지역포괄센터와 노인장기요양보험
      • Ⅲ. 결론: 우리나라 장기요양 예방사업에 주는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미야기 요코, "한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현황 비교와 시사점" 신라대학교 2015

      2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3 석재은, "한국 장기요양서비스의 복지혼합 : OECD 국가들과의 비교적 접근"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97-228, 2008

      4 강용규, "케어개론" 창지사 2006

      5 장창호, "지역포괄지원센터에 있어서 케어예방매니지먼트: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1 : 1-28, 2008

      6 보건복지부, "지역사회자원연계사업 안내"

      7 김경우, "지역사회복지론" 창지사 2011

      8 박용순,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06

      9 국민건강보험공단, "주요국 장기요양제도 비교연구" 국민건강보험 정책연구원 2012

      10 이호용, "주요국 장기요양제도 비교 연구"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2

      1 미야기 요코, "한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현황 비교와 시사점" 신라대학교 2015

      2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3 석재은, "한국 장기요양서비스의 복지혼합 : OECD 국가들과의 비교적 접근"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97-228, 2008

      4 강용규, "케어개론" 창지사 2006

      5 장창호, "지역포괄지원센터에 있어서 케어예방매니지먼트: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1 : 1-28, 2008

      6 보건복지부, "지역사회자원연계사업 안내"

      7 김경우, "지역사회복지론" 창지사 2011

      8 박용순,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06

      9 국민건강보험공단, "주요국 장기요양제도 비교연구" 국민건강보험 정책연구원 2012

      10 이호용, "주요국 장기요양제도 비교 연구"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2

      11 김지미, "장기요양서비스 제공체계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노인돌봄의 다원화와 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7 (17): 111-134, 2016

      12 김미숙, "일본의 케어매니지먼트 제도분석을 통한 한국 케어매니지먼트에의 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107-131, 2006

      13 김옥희, "일본의 지역포괄케어시스템에서의 케어매니저역할에 관한 연구복지 연계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2 (22): 191-225, 2006

      14 엄기옥, "일본의 수요자 중심 노인보건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2): 2006

      15 정해용, "일본의 고령자 지역케어시스템 동향" 2 : 164-183, 2009

      16 노진덕, "일본의 개호보험제도의 운용 현황과 시사점" 경인행정학회 8 (8): 83-98, 2008

      17 이원식, "일본의 개호보험제도 개혁과 서비스 공급 다원화에 관한 연구" 8 : 133-158, 2007

      18 조추용, "일본 지역포괄지원센터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22 (22): 1-41, 2012

      19 장병원, "일본 노인장기요양정책" 양서원 2008

      20 조추용,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평가와 논쟁" 경기개발연구원 11 (11): 179-206, 2009

      21 박승두,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시행과정과 시사점" 한국사회법학회 (10) : 157-200, 2008

      22 오세영, "일본 개호보험제도에서의 급여억제정책의 전개와 시사" 한국노인복지학회 (51) : 81-100, 2011

      23 은복주, "일본 개호보험의 개혁동향과 정책적 함의: 2차 개호보험 개혁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2 (12): 391-412, 2012

      24 조추용, "일본 개호보험의 개혁과 예방급여로서 지역포괄지원센터의 역할" 5 : 19-46, 2010

      25 김도훈, "일본 개호보험 5기 개혁동향과 시사점" 2 (2): 17-42, 2011

      26 우즈하시 타카후미, "일본 개호보험 2005년 개정" 12 : 289-306, 2005

      27 통계청,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2015

      28 이종복, "선진국의 케어복지실천" 신흥메드싸이언스 2004

      29 통계청, "사회통계조사: 노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조사" 2002

      30 김형식, "사회복지행정론" 양서원 2007

      31 김만두, "사례관리실천론" 홍익재 2002

      32 김영숙, "사례관리론" 교육과학사 2008

      33 오민수, "복지분야 민간자원연계체계에 관한 지역별 비교사례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8 (28): 195-229, 2014

      34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독거노인 돌봄 기본서비스 전수조사 통계. 취약노인지원시스템"

      35 국민건강보험공단, "니시자와 히데아키 ‘일본개호보험의 개혁동향 및 시사점’" 2012

      36 윤정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의 케어매니지먼트 기능 분석"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37 박용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사회복지서비스에 미칠영향 분석" 보건복지부 2007

      38 이광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정책과정의 이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사회복지서비스에 미칠 영향 분석" 공동체 2010

      39 장재혁,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이해" 들샘 2010

      40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주요통계"

      41 이광재, "노인요양보험제도의 이해" 공동체 2007

      42 김덕환, "노인복지와 공적요양보험" 신흥메드싸이언스 2005

      43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6

      44 김선자, "노인복지 정보지원 컨텐츠 및 전달체계 개발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7-208, 2006

      45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46 "네이버 국어사전"

      47 한국금융연구원, "고령화 진전에 따른 정책과제 보고서" 한국금융연구원 2010

      48 통계청, "고령자통계"

      49 유재남, "OECD 15개국 노인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성 평가" 한국노인복지학회 (53) : 313-334, 2011

      50 국민건강보험공단, "2014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51 국민건강보험, "2011년도 노인장기요양보험법 해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11-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5-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9 1.62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