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가 저소득층 이용 아동들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보호요인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아동센터 내 구성원들 간에 지지적 관계를 형성하는 ‘배려공동체’ 형성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3324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가 저소득층 이용 아동들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보호요인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아동센터 내 구성원들 간에 지지적 관계를 형성하는 ‘배려공동체’ 형성 ...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가 저소득층 이용 아동들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보호요인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아동센터 내 구성원들 간에 지지적 관계를 형성하는 ‘배려공동체’ 형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래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배려공동체형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려공동체’의 이론적 모형을 마련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에서 배려공동체 형성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구안한다.
둘째,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문헌연구와 설문지조사, 사례운영형태 별 사례를 선정하며 센터의 운영 및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구성원과의 면담을 통해 지역아동센터 내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의 구조와 양상을 이해한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운영형태별 배려공동체형성 프로그램의 차시별 내용과 운영원리를 마련한다. 센터 교사용, 아동용(고학년과 저학년) 프로그램 내용을 구분하여 구성하며 배려공동체가 주체별로 단계적으로 확산되도록 구성한다.
넷째,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고 배려공동체가 어떠한 단계를 거쳐 형성 및 발전하는가를 알아보고 각 단계에서 주체들 간의 역동적 관계 및 영향요인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배려형성프로그램의 효과를 사례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프로그램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피드백을 실천과정을 통해 수집한다.
다섯째, 배려공동체 형성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배려공동체 형성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학업적 적응에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지를 측정한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