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법원 ‘사진저작권(圖片著作權) 트롤’에 대한 인식조사연구 :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ourt on picture copyright troll in the related court ca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2630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2020. 8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86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 수록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이재진
        참고문헌: p. 64-68

      • UCI식별코드

        I804:11062-000000113806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9년 4월 10일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vent Horizon Telescope) 계획의 연구 성과인 블랙홀 사진이 중국의 비주얼 차이나 사진회사에 의해 저작권이 등록된 소위 ‘블랙홀 사건’이 발생하여 중국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이 사건 이후 비주얼 차이나가 부당하게 인터넷에 저작권이 없는 사진을 자사의 판권 데이터베이스에 수록하는 행위, 그리고 지난 10년간에 비주얼 차이나 그룹이 미국 게티이미지(Getty Images)의 지사의 자격으로서 ‘확인수권서’라는 증명서를 통해 총 4만여 건의 소송을 제기한 사실도 언론에 의해 밝혀졌다. 더욱 대중을 놀라게 하는 것은 이 소송들의 승소율이 무려 96% 이상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비주얼 차이나가 소송 배상액으로 이익을 창출한다는 사회적인 의심과 비난이 이어지면서 세간에는 ‘사진판권’과 ‘비주얼 차이나’가 뜨거운 화제가 되었다.
      이 논문은 비주얼 차이나를 비롯한 사진회사들이 중국에서 사진저작권 소송을 대량 제기함으로써 배상금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현상에 주목하고, 특허분야에서 공격적인 소송을 일삼는 패이턴트 트롤 개념과 비교하여 비슷한 성격을 지닌 사진회사들을 ‘사진저작권 트롤(picture copyright troll)’이라고 지칭하고 논의하였다. 아울러 사진저작권 트롤이 원고로서 제기한 소송 79개를 수집하여 판권소유와 소송제기자격을 증명하기 위해 재판에서 제출된 증거에 대한 법원의 인식을 지적성과이론의 틀 안에서 분석·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관련한 증거물을 코딩을 정리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법원이 증거를 통해 사진저작권 트롤을 인식할 때 법적 근거에 있어서 어떠한 법규에 의해 판결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동시에 현행 저작권법 규정 가운데 판권소유를 인정하는 데에 있어 모호하고 실제 적용에 있어서도 일관성이 부족한 점들을 발견하여 논의·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번역하기

      2019년 4월 10일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vent Horizon Telescope) 계획의 연구 성과인 블랙홀 사진이 중국의 비주얼 차이나 사진회사에 의해 저작권이 등록된 소위 ‘블랙홀 사건’이 발생하여 중...

      2019년 4월 10일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vent Horizon Telescope) 계획의 연구 성과인 블랙홀 사진이 중국의 비주얼 차이나 사진회사에 의해 저작권이 등록된 소위 ‘블랙홀 사건’이 발생하여 중국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이 사건 이후 비주얼 차이나가 부당하게 인터넷에 저작권이 없는 사진을 자사의 판권 데이터베이스에 수록하는 행위, 그리고 지난 10년간에 비주얼 차이나 그룹이 미국 게티이미지(Getty Images)의 지사의 자격으로서 ‘확인수권서’라는 증명서를 통해 총 4만여 건의 소송을 제기한 사실도 언론에 의해 밝혀졌다. 더욱 대중을 놀라게 하는 것은 이 소송들의 승소율이 무려 96% 이상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비주얼 차이나가 소송 배상액으로 이익을 창출한다는 사회적인 의심과 비난이 이어지면서 세간에는 ‘사진판권’과 ‘비주얼 차이나’가 뜨거운 화제가 되었다.
      이 논문은 비주얼 차이나를 비롯한 사진회사들이 중국에서 사진저작권 소송을 대량 제기함으로써 배상금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현상에 주목하고, 특허분야에서 공격적인 소송을 일삼는 패이턴트 트롤 개념과 비교하여 비슷한 성격을 지닌 사진회사들을 ‘사진저작권 트롤(picture copyright troll)’이라고 지칭하고 논의하였다. 아울러 사진저작권 트롤이 원고로서 제기한 소송 79개를 수집하여 판권소유와 소송제기자격을 증명하기 위해 재판에서 제출된 증거에 대한 법원의 인식을 지적성과이론의 틀 안에서 분석·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관련한 증거물을 코딩을 정리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법원이 증거를 통해 사진저작권 트롤을 인식할 때 법적 근거에 있어서 어떠한 법규에 의해 판결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동시에 현행 저작권법 규정 가운데 판권소유를 인정하는 데에 있어 모호하고 실제 적용에 있어서도 일관성이 부족한 점들을 발견하여 논의·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April 10, 2019, the “Black Hole Event”, which refers to black hole picture, is the outcome the Event Horizon Telescope project, took place in China. The copyright is registered by Visual China and commercially sold by a Chinese company. Since the beginning of this case, Visual China has largely collected uncopyrighted pictures on the internet into its own copyright library, which was disclosed afterwards. Visual China has initiated more than 40,000 lawsuits through the authorization letter issued by Getty Images, Inc. company based in the United States over the last decade. Public opinion on Visual China's aggressive copyright protection commercial litigation criticism also followed. What is even more surprising is that these lawsuits have a winning rate of more than 96%. Suddenly, picture copyright and Visual China became a hot topic.
      Therefore, this paper starts with a large number of picture copyright lawsuits in China, represented by Visual China,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compensation, and compares it with the concept of “patent troll”, which often carries out aggressive lawsuits in the patent field, which is called “picture copyright troll”. At the same time, 79 lawsuits brought by picture copyright troll as the plaintiff were collected, and evidence proving the ownership of copyright and the suitability of the plaintiff is analyzed. Specifically speaking, it is to collate elevant evidence in precedents by the coding method. On this basis, the legal basis of the court's decision is analyzed. In addition, this paper also intends to find out the existing ambiguity of copyright law and the lack of coherence in its practical application.
      번역하기

      On April 10, 2019, the “Black Hole Event”, which refers to black hole picture, is the outcome the Event Horizon Telescope project, took place in China. The copyright is registered by Visual China and commercially sold by a Chinese company. Since t...

      On April 10, 2019, the “Black Hole Event”, which refers to black hole picture, is the outcome the Event Horizon Telescope project, took place in China. The copyright is registered by Visual China and commercially sold by a Chinese company. Since the beginning of this case, Visual China has largely collected uncopyrighted pictures on the internet into its own copyright library, which was disclosed afterwards. Visual China has initiated more than 40,000 lawsuits through the authorization letter issued by Getty Images, Inc. company based in the United States over the last decade. Public opinion on Visual China's aggressive copyright protection commercial litigation criticism also followed. What is even more surprising is that these lawsuits have a winning rate of more than 96%. Suddenly, picture copyright and Visual China became a hot topic.
      Therefore, this paper starts with a large number of picture copyright lawsuits in China, represented by Visual China,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compensation, and compares it with the concept of “patent troll”, which often carries out aggressive lawsuits in the patent field, which is called “picture copyright troll”. At the same time, 79 lawsuits brought by picture copyright troll as the plaintiff were collected, and evidence proving the ownership of copyright and the suitability of the plaintiff is analyzed. Specifically speaking, it is to collate elevant evidence in precedents by the coding method. On this basis, the legal basis of the court's decision is analyzed. In addition, this paper also intends to find out the existing ambiguity of copyright law and the lack of coherence in its practical appli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제1절 문제의 제기...........................................................................................................................1
      • 제2절 연구의 필요성........................................................................................................................2
      • 제3절 연구의 목적...........................................................................................................................4
      • 제4절 논문의 구성...........................................................................................................................5
      • 제1장 서론
      • 제1절 문제의 제기...........................................................................................................................1
      • 제2절 연구의 필요성........................................................................................................................2
      • 제3절 연구의 목적...........................................................................................................................4
      • 제4절 논문의 구성...........................................................................................................................5
      • 제2장 이론적 논의
      • 제1절 중국의 사진저작권..................................................................................................................6
      • 1. 저작권법 제정의 이론적 기반 – 지적성과이론...................................................................................6
      • 2. 사진저작권 침해 및 주요 사유........................................................................................................9
      • 3. 사진저작권 침해에 대한 보호.......................................................................................................11
      • 제2절 지적재산권 영역에서의 충돌...................................................................................................13
      • 1. 패이턴트 트롤의 개념과 성격.......................................................................................................13
      • 2. 사진저작권 트롤........................................................................................................................15
      • (1) 사진저작권 트롤의 탄생과 연혁...................................................................................................15
      • (2) 사진저작권 트롤과 패이턴트 트롤의 유사성...................................................................................23
      • 제3절 사진저작권 트롤에 대한 논의..................................................................................................26
      • 1. 판권 취득 문제...........................................................................................................................26
      • 2. 소송제기자격 문제......................................................................................................................33
      • 제3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제1절 연구문제..............................................................................................................................38
      • 제2절 연구방법..............................................................................................................................40
      • 1. 연구대상...................................................................................................................................40
      • 2. 분석방법...................................................................................................................................44
      • 제4장 연구 결과
      • 제1절 사진저작권 트롤 소송의 전체적인 판결 상황..............................................................................45
      • 제2절 소송 제기 자격에 대한 법원의 인식..........................................................................................49
      • 1. 확인수권서................................................................................................................................49
      • 2. 사진작가 증명............................................................................................................................53
      • 제3절 판권 소유 증명에 대한 법원의 인식..........................................................................................54
      • 1. 워터마크 및 웹사이트 공증서.......................................................................................................54
      • 2. 저작권등록증명서 및 사진의 원판.................................................................................................56
      • 제5장 결론
      • 제1절 결론 및 논의.........................................................................................................................58
      • 제2절 연구의 제한점.......................................................................................................................61
      • 참고문헌.......................................................................................................................................64
      • <부록 1>.......................................................................................................................................69
      • Abstract.......................................................................................................................................82
      • 감사의 글.......................................................................................................................................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