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판테놀 함유 젤네일 제형의 물리적 특성 = Physical Properties of Gel Nail Formulations Containing Panthen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93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성 베이스 젤에 판테놀을 첨가한 UV/LED 경화성 젤 제형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여, 기능성 젤네일 제조 시 최적의 활성 성분 함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판테놀 농도가 증가할수록 젤의 퍼짐성은 증가하였으며, 점도는 1% 농도에서 감소한 다음 3% 농도에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 판테놀 제형은 가장 적합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냈다. 판테놀 농도가 높을수록 경화 시간이 증가하였으며, 1% 농도에서는 안정적인 경화 시간과 경도가 관찰되었다. 반면, 3% 농도에서는 과경화로 인해 경도와 표면 광택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방수 실험에서도 1% 판테놀 농도가 가장 우수한 방수 성능을 보였으며, 3% 농도에서는 방수성이 상당히 감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판테놀 1%가 퍼짐성, 점도, 경화시간, 경도, 광택 및 방수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의 균형을 유지하는 최적 농도임이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판테놀의 방출 특성과 손톱 건강 개선 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성 베이스 젤에 판테놀을 첨가한 UV/LED 경화성 젤 제형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여, 기능성 젤네일 제조 시 최적의 활성 성분 함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판테놀 농도...

      본 연구는 기성 베이스 젤에 판테놀을 첨가한 UV/LED 경화성 젤 제형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여, 기능성 젤네일 제조 시 최적의 활성 성분 함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판테놀 농도가 증가할수록 젤의 퍼짐성은 증가하였으며, 점도는 1% 농도에서 감소한 다음 3% 농도에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 판테놀 제형은 가장 적합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냈다. 판테놀 농도가 높을수록 경화 시간이 증가하였으며, 1% 농도에서는 안정적인 경화 시간과 경도가 관찰되었다. 반면, 3% 농도에서는 과경화로 인해 경도와 표면 광택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방수 실험에서도 1% 판테놀 농도가 가장 우수한 방수 성능을 보였으며, 3% 농도에서는 방수성이 상당히 감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판테놀 1%가 퍼짐성, 점도, 경화시간, 경도, 광택 및 방수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의 균형을 유지하는 최적 농도임이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판테놀의 방출 특성과 손톱 건강 개선 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hysical properties and water resistance of UV/LED-curable gel formulations were tested by adding panthenol to a commercial base gel to find the best concent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for functional gel nail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panthenol concentration increased, the gel's spreadability improved,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Viscosity decreased at 1% panthenol compared to the control but increased again at 3% panthenol. Curing tim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panthenol concentrations, while hardness decreased. Both the control and P1 (1% panthenol) exhibited fast and stable curing behavior, maintaining consistent hardness despite prolonged curing times. In contrast, P3 (3% panthenol) showed reduced hardness as curing time increased. Gloss measurements indicated that P1 achieved the highest gloss level, followed by the control and P3, suggesting that a moderate panthenol concentration (1%) optimizes surface gloss. Water resistance tests revealed that higher panthenol concentrations led to increased water absorption and reduced waterproofing performance due to increased gel weigh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1% panthenol provides an optimal balance of key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spreadability, viscosity, curing time, hardness, gloss, and water resistance, making it suitable for functional gel nail formulations. This study offer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dvanced gel nail materials containing panthenol.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gel nail formulation,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 of panthenol concentration on the release effect of the gel formulation in the future.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he nutrient releas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nail health benefits of panthenol-containing gel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and multifunctional gel nail products.
      번역하기

      The physical properties and water resistance of UV/LED-curable gel formulations were tested by adding panthenol to a commercial base gel to find the best concent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for functional gel nail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

      The physical properties and water resistance of UV/LED-curable gel formulations were tested by adding panthenol to a commercial base gel to find the best concent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for functional gel nail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panthenol concentration increased, the gel's spreadability improved,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Viscosity decreased at 1% panthenol compared to the control but increased again at 3% panthenol. Curing tim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panthenol concentrations, while hardness decreased. Both the control and P1 (1% panthenol) exhibited fast and stable curing behavior, maintaining consistent hardness despite prolonged curing times. In contrast, P3 (3% panthenol) showed reduced hardness as curing time increased. Gloss measurements indicated that P1 achieved the highest gloss level, followed by the control and P3, suggesting that a moderate panthenol concentration (1%) optimizes surface gloss. Water resistance tests revealed that higher panthenol concentrations led to increased water absorption and reduced waterproofing performance due to increased gel weigh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1% panthenol provides an optimal balance of key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spreadability, viscosity, curing time, hardness, gloss, and water resistance, making it suitable for functional gel nail formulations. This study offer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dvanced gel nail materials containing panthenol.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gel nail formulation,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 of panthenol concentration on the release effect of the gel formulation in the future.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he nutrient releas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nail health benefits of panthenol-containing gel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and multifunctional gel nail produc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