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羅ㆍ唐연합군’ 용어와 고구려의 천하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346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고대한ㆍ일 양국의 국명관련 사료를 분석하면서, ‘나ㆍ당연합군’ 용어의 유래와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사상적인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삼국사기』 에는 국명을 자...

      본고에서는 고대한ㆍ일 양국의 국명관련 사료를 분석하면서, ‘나ㆍ당연합군’ 용어의 유래와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사상적인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삼국사기』 에는 국명을 자칭하는 기술법과 축약하여 타칭하는 기술법이 있는 것을 알았다. 전자의 경우, 자국의 우월성이 내포되어 있는 반면, 후자와 같이 뒤의 글자를 축약하여 타징하는 표기법에는 적대적이고 비하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대의 삼국시기에는 자국을 약칭하는 용례를 발견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표기법은 『삼국사기』를 편찬한 시기인 고려시대의 기술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상대 국명의 뒤 글자를 추출하여 타칭하는 처음 용례는 광개토왕비문에서 찾을 수 있다. 그 사상적인 배경에는 4ㆍ5 세기대의 고구려의 주면 국가에 대한 천하관이 내포되고 있다는 것이다. 7세기대에 이르러 신라가 이를 계승해 고구려와 백제를 ‘려’와 ‘제’로서 약칭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현행 한국의 『국사』 교과서에서 아무런 의문이나 의심도 없이 타국을 비하하는 의미를 가진 역사교육용어를 가르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어떤지에 대한 역사적인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지금까지 ‘나ㆍ당연합군’ 이라고 하는 용어가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역사적인 근거를 가진 용어라는 생각에서 그리고 이 용어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인 의미의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용되어 왔다. 그 결과, 이 문제는 고대사에 한정하여 사용하였던 것이 아니고 중세ㆍ근세ㆍ근대ㆍ현대에 이르기까지 확대, 재생산되어 왔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문제점을 간과함으로서 국명에 관한 역사용어가 ‘나말려초’, ‘여몽’, ‘여말선초’, ‘일선’, ‘만선’ 등과 같이 축약된 ‘중화식민용어’가 한국사의 학술ㆍ역사교육용어로서 사용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나' 약칭 용어의 용례
      • 3. 고대 삼국의 약칭 국명과 중국사서
      • 4. 광개토왕 비문과 축약 국명
      • 【국문초록】
      • 1. 서론
      • 2. '나' 약칭 용어의 용례
      • 3. 고대 삼국의 약칭 국명과 중국사서
      • 4. 광개토왕 비문과 축약 국명
      • 5. 결론
      • 참고문헌
      • 【日文抄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효운, "전근대 한일관계사 학술용어 표준화 연구 - 한 · 일역사교과서 고대사 용어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20) : 469-501, 2009

      2 유우창, "대외관계로 본 가라국의 발전-5세기대를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16) : 173-204, 2005

      3 양정현, "국사 교과서 고대사 서술에서 민족·국가 인식의 변천" 한국고대사학회 (52) : 117-154, 2008

      4 왕건군, "광개토왕비연구" 역민사 1985

      5 김태식, "광개토왕릉비문의 임나라라와 ‘安羅人戍兵’" 6 : 1996

      6 이도학, "광개토왕능비문의 사상적 배경, In 고구려 광개토왕비문 연구 -광개토왕릉비분을 통한 고구려사-" 서경문화사 2006

      7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국사" (주)두산 2008

      8 "資治通鑑"

      9 "舊唐書"

      10 "日本書紀"

      1 정효운, "전근대 한일관계사 학술용어 표준화 연구 - 한 · 일역사교과서 고대사 용어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20) : 469-501, 2009

      2 유우창, "대외관계로 본 가라국의 발전-5세기대를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16) : 173-204, 2005

      3 양정현, "국사 교과서 고대사 서술에서 민족·국가 인식의 변천" 한국고대사학회 (52) : 117-154, 2008

      4 왕건군, "광개토왕비연구" 역민사 1985

      5 김태식, "광개토왕릉비문의 임나라라와 ‘安羅人戍兵’" 6 : 1996

      6 이도학, "광개토왕능비문의 사상적 배경, In 고구려 광개토왕비문 연구 -광개토왕릉비분을 통한 고구려사-" 서경문화사 2006

      7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국사" (주)두산 2008

      8 "資治通鑑"

      9 "舊唐書"

      10 "日本書紀"

      11 靑木美智男, "日本史 B 改訂版" 三省堂 2008

      12 "新唐書"

      13 西尾 幹二, "新しい歴史教科書" 扶桑社 2001

      14 백승옥, "廣開土王陵碑文의 建碑目的과 加耶關係記事의 해석" 한국상고사학회 42 : 35-56, 2003

      15 武田幸男, "四~五世紀の朝鮮諸國, In 高句麗史と東アジア" 岩波書店 1989

      16 "唐會要"

      17 "古事記"

      18 "三國史記"

      19 노태돈, "5세기 금석문에 보이는 고구려인의 천하관" 19 : 1988

      20 양기석, "4-5C 고구려 왕자의 천하관" 11 :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