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 여성 평생교육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Tasks of Lifelong Educ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8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plan to satisfy the basic education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roug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a secondary data analysis method was used through previous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literature research on relevant laws, and policy report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re suggested as follows :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of wom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he basis in guaranteeing the right to educ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Second, gender-sensitive statistic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ird, when establishing a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by local governments, facilities,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s independent policy target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plan to satisfy the basic education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roug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To...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plan to satisfy the basic education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roug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a secondary data analysis method was used through previous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literature research on relevant laws, and policy report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re suggested as follows :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of wom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he basis in guaranteeing the right to educ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Second, gender-sensitive statistic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ird, when establishing a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by local governments, facilities,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s independent policy targe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장애여성 평생교육의 특성과 현황을 통해 장애여성의 교육기본권 충족을 위한 평생교육 지원방안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여성 평생교육 관련 선행연구와 관련 법,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보고서 등의 문헌연구와 장애실태조사, 장애인평생교육 실태조사, 장애인 삶 패널조사 등을 통한 2차 자료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여성 평생교육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여성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장애여성이 갖는 환경적 특성과 다양성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여성의 현실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성인지적 통계가 필요하다. 셋째, 지방자치단체나 기초자치단체의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 체제를 수립할 때 장애여성을 독립적 정책대상으로 삼고 시설이나 프로그램, 지원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장애여성 평생교육의 특성과 현황을 통해 장애여성의 교육기본권 충족을 위한 평생교육 지원방안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여성 평생교육 관련 선행연구와 관련...

      본 논문은 장애여성 평생교육의 특성과 현황을 통해 장애여성의 교육기본권 충족을 위한 평생교육 지원방안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여성 평생교육 관련 선행연구와 관련 법,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보고서 등의 문헌연구와 장애실태조사, 장애인평생교육 실태조사, 장애인 삶 패널조사 등을 통한 2차 자료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여성 평생교육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여성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장애여성이 갖는 환경적 특성과 다양성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여성의 현실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성인지적 통계가 필요하다. 셋째, 지방자치단체나 기초자치단체의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 체제를 수립할 때 장애여성을 독립적 정책대상으로 삼고 시설이나 프로그램, 지원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주영, "한국여성장애인분야 연구동향 분석 -1981년~2011년의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7-48, 2012

      2 강현주 ; 현영섭 ; 최지수, "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정책 동향 분석: 최근 40년간 중앙정부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5 (15): 25-59, 2019

      3 박주영, "청년층 여성장애인 고용특성과 취업 영향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8 (28): 37-65, 2018

      4 김종천, "지체장애 성인문해학습자의 성장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6 (6): 25-55, 2020

      5 간기현 ; 김경희 ; 조상미, "장애인의 사회적자본 형성능력은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성별(gender)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1 (31): 149-173, 2021

      6 신숙경, "장애여성의 영역별 관련 연구 동향: 1999~2020년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31 (31): 91-112, 2021

      7 최현주 ; 김두영 ; 김호연, "시각장애성인을 위한 무용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6 (36): 1-24, 2020

      8 최선경, "성인지적 관점의 지역사회 여성장애인 디지털정보격차 현황과 역량강화기반 정보화교육 지원 방안" 한국정보통신학회 24 (24): 655-661, 2020

      9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30"

      10 "https://gsis.kwdi.re.kr/kr/introduce/introduce.html"

      1 박주영, "한국여성장애인분야 연구동향 분석 -1981년~2011년의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7-48, 2012

      2 강현주 ; 현영섭 ; 최지수, "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정책 동향 분석: 최근 40년간 중앙정부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5 (15): 25-59, 2019

      3 박주영, "청년층 여성장애인 고용특성과 취업 영향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8 (28): 37-65, 2018

      4 김종천, "지체장애 성인문해학습자의 성장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6 (6): 25-55, 2020

      5 간기현 ; 김경희 ; 조상미, "장애인의 사회적자본 형성능력은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성별(gender)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1 (31): 149-173, 2021

      6 신숙경, "장애여성의 영역별 관련 연구 동향: 1999~2020년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31 (31): 91-112, 2021

      7 최현주 ; 김두영 ; 김호연, "시각장애성인을 위한 무용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6 (36): 1-24, 2020

      8 최선경, "성인지적 관점의 지역사회 여성장애인 디지털정보격차 현황과 역량강화기반 정보화교육 지원 방안" 한국정보통신학회 24 (24): 655-661, 2020

      9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30"

      10 "https://gsis.kwdi.re.kr/kr/introduce/introduce.html"

      11 "The 5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2018~2022)" Ministry of Education 1-71, 2018

      12 Promo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Promo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2020 implementation plan" Ministry of Education 1-16, 2020

      13 J. S. Whang, "National strategic research project through smart city development trends and issues"

      14 "Ministry of Education, 4th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Basic Plan"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1-58, 2018

      15 "Lifelong Education Act Article 5, Article 9 5, Article 9 6, Article 19 2, Article 20 2"

      16 Yang Sook-mi, "Development and research on support projects for empowerment of women with disabiliti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275, 2015

      17 "Articles 33 and 34 of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Remedy for Rights"

      18 "Article 7 of the Welfare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19 "Article 5 of the Special Education Act for the Disabled, etc"

      20 "2021 Annual Special Education Report" Ministry of Education 1-410, 2021

      21 "2020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1-439, 2020

      22 Kim Seong-hee, "2020 Disability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748, 2020

      23 "2019 Disability Discrimination Prevention Policy Monitoring Result Report"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1-337,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