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수학 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교사 지식의 다양한 범주들 중 하나인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에 대해 현재 교사들이 얼마나 알고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수학 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교사 지식의 다양한 범주들 중 하나인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에 대해 현재 교사들이 얼마나 알고 있는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수학 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교사 지식의 다양한 범주들 중 하나인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에 대해 현재 교사들이 얼마나 알고 있는 가를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수학과 교수·학습 이론과 관련한 27개의 문항을 자체 개발, 317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한 설문지 통계 분석 결과,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은 교사의 교직 경력 및 초등학교 교사 자격증의 등급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성별, 학위 여부와는 특별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과 연관된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교사 연수 및 학위 과정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e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was to explore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are applied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
The aim of the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was to explore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are applied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and their teaching experiences as well as the teacher certification level. However, there is a little affect of the teachers' gender and educational backgrounds on th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quantitative study may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which have a deep impa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승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조명한 PCK(내용 교수 지식)의 의미와 역할" 36 : 387-400, 2009
2 곽주철, "평면도형에 대한 교사의 PCK와 수업 실제의 비교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469-487, 2008
3 김민경, "패턴블록을 활용한 구체적 조작활동에 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125-141, 2005
4 심상길, "초등학교 기하에서 큐브를 활용한 조작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143-152, 2005
5 정호정, "초등학교 교사의 등호 개념에 관한 지식분석 사례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8 (18): 211-236, 2014
6 송영무, "초등학교 5,6학년특별보충반 학생들의 나눗셈 연산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265-280, 2005
7 이종욱, "초등교사의 분수 지식 실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67-85, 2005
8 서울교육연수원, "초등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과정 안내"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유치원 초등·특수학교 교사 임용시험"
10 방정숙,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에 대한 지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7 (47): 291-310, 2008
1 최승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조명한 PCK(내용 교수 지식)의 의미와 역할" 36 : 387-400, 2009
2 곽주철, "평면도형에 대한 교사의 PCK와 수업 실제의 비교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469-487, 2008
3 김민경, "패턴블록을 활용한 구체적 조작활동에 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125-141, 2005
4 심상길, "초등학교 기하에서 큐브를 활용한 조작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143-152, 2005
5 정호정, "초등학교 교사의 등호 개념에 관한 지식분석 사례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8 (18): 211-236, 2014
6 송영무, "초등학교 5,6학년특별보충반 학생들의 나눗셈 연산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265-280, 2005
7 이종욱, "초등교사의 분수 지식 실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67-85, 2005
8 서울교육연수원, "초등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과정 안내"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유치원 초등·특수학교 교사 임용시험"
10 방정숙,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에 대한 지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7 (47): 291-310, 2008
11 김민경, "영상적 표상이 포함된 비례 문제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비례적 사고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6 (46): 141-153, 2007
12 김익표, "안내된 재발명을 포함한 탐구-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9 (49): 223-246, 2010
13 고상숙, "수학화에 의한 동형지도에서 학생의 학습과정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159-168, 2005
14 김윤진, "수학화 경험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수학적 능력 및 수학화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5 (45): 345-364, 2006
15 조누리, "수학적 발문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PCK 비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7 (17): 39-65, 2013
16 하은영, "수학저널 쓰기를 활용한 수학학습 부진학생의 기하학적 사고 수준 변화 사례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1 (11): 147-164, 2009
17 김원경,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한국수학교육학회 45 (45): 381-406, 2006
18 신현용, "수학교사의 지식과 수업 실제와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 43 (43): 257-273, 2004
19 최승현,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범주화 - 세 명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489-514, 2008
20 이현숙,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지식(MKT)과 수업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21 송근영, "소수연산에 관한 예비초등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22 (22): 89-108, 2008
22 김방진, "소수 나눗셈에 대한 교사의 PCK와 실제 수업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5 (15): 533-557, 2011
23 서울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요강"
24 김수미, "범례 제시를 통한 도형 개념 지도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401-417, 2005
25 권민성, "미국의 선다형 문항 적용을 통한 우리나라 초등 교사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8 (48): 399-417, 2009
26 이환철, "동료를 지도하는 수학 학습 능력 우수 학생의 학습 과정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 12 (12): 177-191, 2010
27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
28 김수미, "Zoltan Dienes의 수학학습 6단계 이론의 재음미"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385-401, 2008
29 이종희, "Vygothsky 이론에 근거한 수학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측정 도구 개발" 11 (11): 89-102, 2005
30 Oonk, W., "Theory-enriched Practical Knowledge in Matheamtics Teacher Education" Leiden 2009
31 Dewey, J., "The relation of theory to practice in education 1" 1904
32 Kraemer, K. L, "Th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challenge: Survey Research Methods-Volume 3"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1
33 Klein, R.,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rational numbers" 3 : 144-152, 1997
34 Rice, J. K., "Teacher quality: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attributes" Economic Policy Institute 2003
35 Rivers, J. C., "Teacher quality" Stanford, CA 13-23, 2002
36 Mitchell, R.,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Numbers and Operations" 5 (5): 336-347, 2014
37 Kim, R.,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Boston College 2014
38 Park, K., "Reforms and issues in school mathematics in East Asia : Sharing and understanding mathematicse 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AACE 181-196, 2010
39 Park, K., "Reforms and issues in school mathematics in East Asia : Sharing and understanding mathematics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AACE 181-196, 2010
40 Hill, H. C., "Professional development standards and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104 : 345-363, 2004
41 Bass, H., "Mathematics, mathematicians and mathematics education" 42 (42): 417-430, 2005
42 Mason, J., "Mathematics education: Theory, practice & memories over 50 years" 3-9, 2010
43 Morris, A. K.,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in planning and evaluating instruction: What can preservice teachers learn?" 491-529, 2009
44 Shulman, L. S., "Knowledge and teaching :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57): 1-22, 1987
45 Scherer, P., "Inter-relating theory and practice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03-108, 2006
46 Ng, D., "Indonesian prim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geometry: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an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39 (39): 151-164, 2011
47 Carter, K.,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291-310, 1990
48 Fennema, E.,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Publishing 1992
49 Shulman, L. 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3-36, 1986
50 Kelly, K., "Good practice in the conduct and reporting of survey research" 15 : 261-266, 2003
51 Hill, H. C., "Effects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n student achievement" 42 (42): 371-406, 2005
52 Hill, H. C., "Developing measures of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105 : 11-30, 2004
53 Kulm, G., "Curriculum research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 national and crossnational studies" 41 (41): 709-715, 2009
54 Ball, D. L.,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59 (59): 389-407, 2008
55 Albert, L. R., "A hierarchy of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1 (1): 51-73, 2014
초등수학영재학급에서 교수자의 지도 목표와 학습자의 학습 목표 인식 간극 분석
한국과 미국(Harcourt Math)의 초등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 분수와 소수의 도입과 연산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9 | 1.328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