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12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예비교사 및 현직 교사들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신장은 가장 핵심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전미수학교사협의회나 우리나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수학교육에서 길러 주어야 할 것으로 창의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예비교사 55명이 2주 동안 실습을 하면서 지도교사나 예비교사들이 공개적으로 실시한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수학 수업 중 수학 창의성과 관련된 활동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관찰하고 기술한 것을 분석하여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학 수업에서 창의적인 활동, 대안적인 활동 등을 포함하여 이들이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의 요소로 주로 융통성과 독창성으로 보았고, 수학 수업에서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하는데 어려움을 있음을 보였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위해서는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 수학교과서의 개발, 그리고 수업에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자료를 개발과 함께 현직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예비교사 및 현직 교사들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신장...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예비교사 및 현직 교사들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신장은 가장 핵심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전미수학교사협의회나 우리나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수학교육에서 길러 주어야 할 것으로 창의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예비교사 55명이 2주 동안 실습을 하면서 지도교사나 예비교사들이 공개적으로 실시한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수학 수업 중 수학 창의성과 관련된 활동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관찰하고 기술한 것을 분석하여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학 수업에서 창의적인 활동, 대안적인 활동 등을 포함하여 이들이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의 요소로 주로 융통성과 독창성으로 보았고, 수학 수업에서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하는데 어려움을 있음을 보였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위해서는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 수학교과서의 개발, 그리고 수업에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자료를 개발과 함께 현직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reativity in Mathematic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and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report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in mathematics lessons from the perspectives of 55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55 mathematics lessons focusing on creativity in mathematics during their two-week-student-teaching period.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narrow perceptions on creativity in mathematics. Second, observational experiences of mathematics lessons led the preservice teachers to reconsideration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provided a various strategies to enhance students’creativity in mathematic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definitions and practice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econd, mathematics textbooks should include creativity in mathematics in a sophisticated manner. Third, creativity-rich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teachers. Finally, well-designed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necessar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reativity in Mathematic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which has been emp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reativity in Mathematic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and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report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in mathematics lessons from the perspectives of 55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55 mathematics lessons focusing on creativity in mathematics during their two-week-student-teaching period.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narrow perceptions on creativity in mathematics. Second, observational experiences of mathematics lessons led the preservice teachers to reconsideration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provided a various strategies to enhance students’creativity in mathematic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definitions and practice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econd, mathematics textbooks should include creativity in mathematics in a sophisticated manner. Third, creativity-rich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teachers. Finally, well-designed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necess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수학 창의성
      • 2. 수학 창의성의 하위 요소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수학 창의성
      • 2. 수학 창의성의 하위 요소
      • 3. 관련 선행 연구
      • Ⅲ. 연구 방법
      • 1. 연구참여자
      • 2. 자료수집 및 분석
      • Ⅳ. 분석 및 결과
      • 1. 예비교사들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정의
      • 2. 수학 수업 중 수학 창의성이 가미된 부분이라고 생각되는 부분과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강섭,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6학년군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의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245-259, 2011

      2 김진호, "학교수준에서의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논의 - 새로운 수학적 지식의 생성이란 관점에서 -" 교육과학연구소 34 (34): 149-165, 2003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수학 국정교과서 1-2학년군 1, 3" 천재교육 2014

      4 박만구, "초등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융합적 접근의 탐색 -한국 초등수학교과서와 미국 Investigations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52 (52): 247-270, 2013

      5 하수현, "창의성의 본질적 관점에서 본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551-568, 2013

      6 서동엽, "창의성의 관점에서 바라 본 수학교육과정" 3 (3): 159-166, 2009

      7 이강섭, "일반 창의성(도형)과 수학 창의성과의 관련 연구 : TTCT Figural A와 MCPSAT; A를 바탕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42 (42): 1-10, 2003

      8 황희숙, "유아교사의 창의성 수업 어려움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6 (26): 656-666, 2014

      9 조연순, "예비 초등교사가 발견한 학생 창의성의 특성 및 교사의 역할" 교육과학연구소 43 (43): 137-164, 2012

      10 이혜숙, "수학창의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 51 (51): 337-349, 2012

      1 이강섭,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6학년군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의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245-259, 2011

      2 김진호, "학교수준에서의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논의 - 새로운 수학적 지식의 생성이란 관점에서 -" 교육과학연구소 34 (34): 149-165, 2003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수학 국정교과서 1-2학년군 1, 3" 천재교육 2014

      4 박만구, "초등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융합적 접근의 탐색 -한국 초등수학교과서와 미국 Investigations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52 (52): 247-270, 2013

      5 하수현, "창의성의 본질적 관점에서 본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551-568, 2013

      6 서동엽, "창의성의 관점에서 바라 본 수학교육과정" 3 (3): 159-166, 2009

      7 이강섭, "일반 창의성(도형)과 수학 창의성과의 관련 연구 : TTCT Figural A와 MCPSAT; A를 바탕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42 (42): 1-10, 2003

      8 황희숙, "유아교사의 창의성 수업 어려움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6 (26): 656-666, 2014

      9 조연순, "예비 초등교사가 발견한 학생 창의성의 특성 및 교사의 역할" 교육과학연구소 43 (43): 137-164, 2012

      10 이혜숙, "수학창의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 51 (51): 337-349, 2012

      11 이대현,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6 (16): 39-61, 2012

      12 김부윤,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관점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6 (46): 293-302, 2007

      13 최인선, "수학적 창의성 연구에 대한 고찰" 29-32, 2012

      14 최병훈,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영재학회 22 (22): 197-215, 2012

      15 한정민,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본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4 (14): 865-884, 2010

      16 김부윤, "수학적 창의성 과제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 48 (48): 443-454, 2009

      17 성창근, "수학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과제와 수업 방향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6 (16): 253-267, 2012

      18 박만구,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23 (23): 803-822, 2009

      19 황우형,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20 (20): 561-574, 2006

      20 주미경, "수학교과와 융복합교육: 담론과 과제" 대한수학교육학회 14 (14): 165-190, 2012

      21 교육과학기술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22 남승인, "수학 창의성 어떻게 기를 것인가" 교학사 2010

      23 이대현,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측정 방안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 16 (16): 1-17, 2014

      24 Newton, L. D., "What teachers see as creative Incidents in elementary science lessons" 32 (32): 1989-2005, 2010

      25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6 Krutetskii, V. A.,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children" 18 : 59-74, 1976

      27 Hadamard, J., "The psychology of invention in the mathematical fie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5

      28 Hashimoto, Y., "The methods of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29 (29): 86-87, 1997

      29 Kaufman, J. C.,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30 Balka, D. S.,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University of Missouri 1974

      31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nitiative,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32 Vygotsky, L. S.,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vol. 4" 199-219, 1984

      33 Sriraman, B.,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14 (14): 19-34, 2004

      34 Poincaré, H., "Science and method" Dover 1948

      35 Tatlah, A. I., "Role of intelligence and creativity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2 (2): 1-10, 2012

      36 Haylock, D., "Recogni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29 (29): 68-74, 1987

      3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38 Cheung, R. H. P., "Preschool teachers’perceptions of creative personality important for fostering creativity. Hong Kong perspective" 12 : 78-89, 2014

      39 Cropley, A. J., "More ways than one: Fostering creativit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92

      40 Nadjafikhah, M., "Mathematical creativity: Som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31 : 285-291, 2012

      41 Kattou, M., "Mathematical creativity through teachers’ perceptions" 3 : 297-304, 2009

      42 Mann, E. L., "Mathematical creativity and school mathematics: Indica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University of Connecticut 2005

      43 Sriraman, B., "Mathematical creativity and giftedness : A commentary on and review of theory, new operational views, and ways forward" 45 : 215-225, 2013

      44 Kampylis, P., "In-service and pro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creativity" 4 (4): 15-29, 2009

      45 Thomas Bjørner, "How academic teachers perceive and facilitate creativity" Informa UK Limited 38 (38): 556-566, 2013

      46 Millman, R. S., "Fostering creativity in preservice teachers through mathematical habits of the mind" 2008

      47 Andiliou, A., "Examining variations among researchers’and teachers’conceptualizations of creativity : A review and synthesis of contemporary research" 5 : 201-219, 2010

      48 Sheffield, L., "Developing mathematical promise and creativity" 2006

      49 Sriraman, B., "Creativity, giftedness and talent development in mathematics"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8

      50 Davies, D., "Creativity and Innovation-DATA International Research Conference 2004" DATA 2004

      51 Mann, E. L., "Creativity : The essence of mathematics" 30 : 236-262, 2006

      52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2011

      53 Boesen, J.,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Comparing national and teacher-made tests, explaining differences and examining impact" Department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Statistics, Umea university 2006

      54 Ervynck, G.,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Kluwer Academic 42-53, 1991

      55 Shiriki, A., "A model for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students’creativity in the context of problem solving" 4 (4): 430-439,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32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