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의 돈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ney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804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돈의 대한 태도는 어떠하며, 돈에 대한 태도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지, 용돈실태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돈에 대한 태도 척도는 국내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홍은실(2005)이 이용한 5차원의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이 척도는 Tang(1995)의 MES에서 행동적 차원을 제외한 5영역(자유/힘, 선, 성취, 존경, 악)의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08년 3월 인천광역시 서구 내 중학교 4개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12.0 버전을 이용하였으며, Cronbach"s Alpha, 요인분석, 빈도, 평균, 교차분석(χ²), t-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학생의 돈에 대한 태도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5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중학생의 돈에 대한 태도 문항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Varimax 회전 방법을 이용하여 아이겐 value값이 1.0 이상인 요인만을 추출한 결과 5요인으로 분류되어, 요인1은 돈을 자유/힘으로 보는 태도, 요인2는 돈을 존경의 대상으로 보는 태도, 요인3은 돈을 선으로 보는 태도, 요인4는 돈을 악으로 보는 태도, 요인5는 돈을 성취의 대상으로 보는 태도로 명명하였다. 돈에 대한 태도 점수는 선-자유/힘-악-성취-존경 순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바람직한 태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반적으로 돈에 대한 태도 점수는 낮은 편이었다.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용돈실태에 따라 돈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의 돈에 대한 태도는 부모의 학력, 월평균 가계소득, 월평균 용돈액, 용돈조달방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돈에 대한 태도교육이 실시되거나 용돈조절을 통하여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돈의 대한 태도는 어떠하며, 돈에 대한 태도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지, 용돈실태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돈에 대한 태도 척도는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돈의 대한 태도는 어떠하며, 돈에 대한 태도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지, 용돈실태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돈에 대한 태도 척도는 국내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홍은실(2005)이 이용한 5차원의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이 척도는 Tang(1995)의 MES에서 행동적 차원을 제외한 5영역(자유/힘, 선, 성취, 존경, 악)의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08년 3월 인천광역시 서구 내 중학교 4개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12.0 버전을 이용하였으며, Cronbach"s Alpha, 요인분석, 빈도, 평균, 교차분석(χ²), t-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학생의 돈에 대한 태도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5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중학생의 돈에 대한 태도 문항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Varimax 회전 방법을 이용하여 아이겐 value값이 1.0 이상인 요인만을 추출한 결과 5요인으로 분류되어, 요인1은 돈을 자유/힘으로 보는 태도, 요인2는 돈을 존경의 대상으로 보는 태도, 요인3은 돈을 선으로 보는 태도, 요인4는 돈을 악으로 보는 태도, 요인5는 돈을 성취의 대상으로 보는 태도로 명명하였다. 돈에 대한 태도 점수는 선-자유/힘-악-성취-존경 순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바람직한 태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반적으로 돈에 대한 태도 점수는 낮은 편이었다.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용돈실태에 따라 돈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의 돈에 대한 태도는 부모의 학력, 월평균 가계소득, 월평균 용돈액, 용돈조달방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돈에 대한 태도교육이 실시되거나 용돈조절을 통하여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oney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if the money attitudes diffe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ir allowance management. The result can give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a positive money attitude.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surveyed for this study was 277. For statistical analysis,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frequency, mean, t-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using SPSS 12.0.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ney attitudes were divided into five patterns. These are named as Freedom/Power, Respect, Good, Evil, and Achievement, respectively. The attitude score was the highest for “Good”. On the other hand, the score for “Respect” was the lowest. But the money attitude scores were generally low.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money attitud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household income, amount of allowance, and the source of allowance. For cultivating a positive money attitude, further efforts in education reflecting the student characteristics are needed. The management of the amount and source of allowance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positiveness of money attitude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oney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if the money attitudes diffe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ir allowance management. The result can give implications for culti...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oney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if the money attitudes diffe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ir allowance management. The result can give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a positive money attitude.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surveyed for this study was 277. For statistical analysis,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frequency, mean, t-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using SPSS 12.0.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ney attitudes were divided into five patterns. These are named as Freedom/Power, Respect, Good, Evil, and Achievement, respectively. The attitude score was the highest for “Good”. On the other hand, the score for “Respect” was the lowest. But the money attitude scores were generally low.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money attitud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household income, amount of allowance, and the source of allowance. For cultivating a positive money attitude, further efforts in education reflecting the student characteristics are needed. The management of the amount and source of allowance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positiveness of money attitud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의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요약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의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요약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