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시가계의 재무위험수용성향과 위험자산투자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재무위험수용성향과 위험자산투자행동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를 파악하고자 스스로 금융자산투자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80473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가계의 재무위험수용성향과 위험자산투자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재무위험수용성향과 위험자산투자행동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를 파악하고자 스스로 금융자산투자를 ...
본 연구는 도시가계의 재무위험수용성향과 위험자산투자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재무위험수용성향과 위험자산투자행동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를 파악하고자 스스로 금융자산투자를 결정하는 서울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실증연구이다. 소득, 연령, 성별 등을 고려한 유의적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설문지 배부하였으며. 수집된 290부 중 부실기재된 것을 제외한 255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위험수용성향은 연령, 성별, 결혼상태, 연간소득, 자신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어릴수록, 여성보다는 남성이, 미혼상태인 사람이 그리고 자신감이 많은 개인의 위험수용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인 연간소득의 경우 위험수용성향과 비선형적인 관계를 보였다. 즉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은 위험수용성향이 낮고, 중간 소득층은 그에 비해 위험수용성향이 더 높았다. 둘째, 위험자산보유비율은 재무위험수용성향, 연령, 결혼상태, 연간소득, 총자산, 자신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재무위험추구성향이 높을수록 위험자산보유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인 총자산의 경우 위험자산보유비율과 비선형적인 관계를 보여, 총자산수준이 증가할수록 위험자산보유비율도 증가하다가 8억원 이상이 되면 오히려 위험자산보유비율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재무위험수용성향 등과 같은 개인의 특성에 맞는 투자대안과 전략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실증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개인의 투자행동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한 후속연구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risk tolerance and the ratio of risky asset possession an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related to financial risk tolerance and to the ratio of risky asset possession. The data was collecte...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risk tolerance and the ratio of risky asset possession an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related to financial risk tolerance and to the ratio of risky asset possession.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of 255 individuals in Seou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ancial risk tolerance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age, sex, marital status, annual gross income, and confidence level.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as annual gross income which had a nonlinear relationship to financial risk tolerance.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io of risky asset possession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financial risk tolerance, age, marital status, annual gross income, total assets and confidence level.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as total assets which had a nonlinear relationship to the ratio of risky asset possess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to provide appropriate investment alternatives and strategies for an individual’s various characteristics.
목차 (Table of Contents)
베이비부머 가계의 재무적 특성과 연금수급액 추정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