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개인재무설계 차원의 은퇴설계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베이비부머 세대의 대량은퇴가 시작되었으나 아직까지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으로 부터 시작되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80475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1-66(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인재무설계 차원의 은퇴설계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베이비부머 세대의 대량은퇴가 시작되었으나 아직까지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으로 부터 시작되었...
본 연구는 개인재무설계 차원의 은퇴설계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베이비부머 세대의 대량은퇴가 시작되었으나 아직까지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으로 부터 시작되었다. 베이비부머 가계를 대상으로 재무적 특성을 고찰하고 예상연금 수급액을 추정하였다. 연금 가입 현황 분석 결과 조사대상 가계의 국민연금 가입률은 약 69.4%였으며 월 평균 납입액은 약 13만 원으로 나타났다. 퇴직연금의 경우 향후 퇴직금을 수령할 것으로 나타난 사람들의 연금화 가정을 통해 산출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약 31.4%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연금의 경우 전체 대상자의 8.8%만이 작년 한 해동안 개인연금 보험료를 납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입자들의 평균 가입액은 28.5만원이었다. 베이비부머 가계의 국민연금 예상수급액을 추정한 결과 가입자 전체의 평균은 약 63.4만 원으로 성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향후 수령할 퇴직금의 연금화 분석한 결과, 수급예정자의 경우 월 평균 약 36만 원의 연금소득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인연금상품으로부터 수급할 수 있는 연금소득은 가입기간 가정에 따라 각각 월 평균 약 14만 원(10년), 21만 원(15년), 28만 원(20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3층노 후소득보장제도를 종합해보면 전체의 43.7%는 국민연금만 수급 받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25.2%는 무연금가계로 분류되었으며, 불과 4.2%만이 3층노후소득보장제도의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베이비부머 가계의 경제적 복지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별가계 및 국가적 차원의 제언을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pension product ownership by Korean baby boomer households shows that national pension scheme subscribers, those with retirement pension entitlement, and private pension plan subscribers account for 69.4%, 31.4%, ...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pension product ownership by Korean baby boomer households shows that national pension scheme subscribers, those with retirement pension entitlement, and private pension plan subscribers account for 69.4%, 31.4%, and 8.8% respectively. Monthly contributions by national pension scheme subscribers and private pension plan subscribers average KRW 129,000 and 285,000 separately. In categorization of baby boomer households by pension ownership type, those only with national pension subscription account for about more than 40%, and no pension ownership group and 3-tier pension ownership group represent around 25.2% and 4.2% respectively. The estimation of pension benefits later disbursed to baby boomers reveals that total respondent households can receive pension benefits of KRW 574,000 on average. Even though households with 3-tier pension ownership can receive KRW 1,526,000, they represent only 3.5% of total respondent households. Those with national pension subscription and with retirement pension subscription are likely to receive pension incomes of KRW 634,000 and 360,000 respectively.
목차 (Table of Contents)
재무위험수용성향과 위험자산보유율 관련 변수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