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제1장 중국 서비스산업의 현황과 투자 전망
- Ⅰ. 서론 = 15
- Ⅱ. 중국 서비스산업의 현황 = 19
- Ⅲ. 중국 서비스산업의 국제화 수준 = 25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M13713083
서울 : 집문당, 2015
2015
한국어
082 판사항(5)
9788930316590 94320 : ₩12500
9788930315005 (세트)
단행본(다권본)
서울
한·중 서비스산업의 비교분석과 교역 확대 방안 / 김상호 [저].
283p. : 도표 ; 24 cm.
아산재단 연구총서 ; 제372집
이 도서는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선정한 2015년도 우수학술도서임.
참고문헌(p. 263-273)과 색인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온라인 서점 구매
책소개
자료제공 :
한·중 서비스산업의 비교분석과 교역 확대 방안
최근 중국 정부가 수출주도 성장에서 내수중심 성장으로 정책 기조를 설정하여 중국 서비스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중국 지식 집약적인 고부가 서비스산업에서의 투자 기회는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서비스 기업의 대중투자는 중국 기업은 물론 중국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다국적투자기업과 현지에서 직접 경쟁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였다. 따라서 투자기업이 현지기업의 경쟁력을 잘 비교하고 이를 시장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중국 소비시장은 국민소득의 증가로 인해 부상하고 있는 새로운 주류 소비자의 등장과 더불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또한 중국 소비시장의 지역별 특성은 매우 다양해 중국 각 지역의 특성과 성장 잠재력을 일반화하기는 매우 어렵다.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지역에 투자하는 것이 성공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