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0ㆍ50대 일부 남성근로자의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유병실태와 위험요인 =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n 40-59 year-old male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428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최근 국내에서도 골다공증과 관련된 생활양식의 규명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남성 골다공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40, 50대 남성근로자를 대상...

      목적: 최근 국내에서도 골다공증과 관련된 생활양식의 규명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남성 골다공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40, 50대 남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유병률을 파악하고,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관련 위험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원자력발전소에 근무하는 40, 50대 남성 근로자 2,073명을 대상으로 2004년 3월~7월 기간동안 생활습관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기기입식 전산입력 방식으로 최종학력, 흡연여부, 음주여부, 신체활동 횟수를 조사하였고, 골밀도검사, 체성분검사(체지방률, 허리-엉덩이둘레비), 신체계측(신장, 체중)을 시행하였고, 골밀도 검사는 Osteosys사의 EXE-3000을 이용하여 종골부위를 측정하였고, 체지방률, 허리-엉덩이 둘레비는 Biospace사의 Inbody 3.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유병률은 22.8%와 3.0%이었으며,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관련요인으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흡연자이거나 과거흡연자일 경우, 체질량지수가 25 kg/m^(2) 미만일 경우, 30분 이상 신체활동 횟수가 주 3회 미만일 경우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성인 남성 40, 50대의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유병률이 높은 편이었으며,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으로 이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금연, 활발한 신체활동을 촉진하여 골밀도를 개선시키는 생활습관으로의 변화를 권고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n 40-59 year-old male workers working at nuclear power plants. Methods: Bone density, body composition, and anthropometry data were ana...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n 40-59 year-old male workers working at nuclear power plants.
      Methods: Bone density, body composition, and anthropometry data were analyzed for 2,073 subjects were carried out from March 2004 to July, 2004. Educational level, smoking status, drinking status and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were investiga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rough internet to identify lifestyles related to bone mass density. Bone mass density was measured by EXE-3000 of Osteosys Co. And body fat percentage, and waist-to-hip ratio by inbody 3.0 of Biospace Co.
      Results: The prevalence of ostepeniaosteopenia and osteoporosis was 22.8% and 3.0%, respectively. According to multinominal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smoking status (current smoker and former smoker), low body mass index (< 25kg/m^(2)), and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steopenia and osteoporosis.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ostcopenia and osteoporosis wasseemed high for the, when it was inferred from subjects' age compared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This study results suggeststhat it is necessary for 40-59 year-old male workers to stop smoking, and exercise regularly in order to prevent osteopenia and osteoporosi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