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화학전공 예비교사들의 이해 및 화학교사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Chemistry Major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Properties of Dilute Solutions and Perception 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31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화학교육을 전공하는 4명의 예비교사들과 화학을 전공한 2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에 제시된 "묽은 용액의 성질" 단원에 관련된 개념의 이해를 비...

      이 연구에서는 화학교육을 전공하는 4명의 예비교사들과 화학을 전공한 2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에 제시된 "묽은 용액의 성질" 단원에 관련된 개념의 이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 중에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예비교사들이 많지 않았으며, 묽은 용액의 성질에 관련된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나타났다. 그리고 사범대학에서 화학교육을 전공한 예비교사들의 이해수준과 비사범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한 예비교사들의 이해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대학과 상관없이 그들의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실천적 지식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compared the understanding of 4 pre-service teachers of chemistry education major and 2 pre-service teachers of chemistry major related to conceptions of "properties of dilute solutions" chapter in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As results, fe...

      We compared the understanding of 4 pre-service teachers of chemistry education major and 2 pre-service teachers of chemistry major related to conceptions of "properties of dilute solutions" chapter in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As results, few pre-service teachers understood fully the concepts of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Some pre-service teachers had misconceptions related to properties of dilute solutions. We found that few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regardless of whether they took a major in chemistry education of a education college or a major in chemistry of noneducation college.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attended this research recognized the lack of practical knowledge in their pre-service teacher curriculu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albert, J. E., 95 (95): 45-68, 1993

      2 Kim, S. H., 28 : 291-301, 2008

      3 Sanders, M., 30 (30): 919-934, 1993

      4 Johnstone, A. H., 14 (14): 325-328, 1980

      5 Johnstone, A. H., 14 (14): 163-166, 1980

      6 Gudmundsdottir, S., 31 (31): 59-70, 1987

      7 Shulman, L. S., 15 (15): 4-14, 1986

      8 Park, J. W., 18 (18): 245-256, 1998

      9 Cochran, K. F., 44 (44): 263-272, 1993

      10 Stengel, B. S, 11 (11): 29-52, 1997

      1 Talbert, J. E., 95 (95): 45-68, 1993

      2 Kim, S. H., 28 : 291-301, 2008

      3 Sanders, M., 30 (30): 919-934, 1993

      4 Johnstone, A. H., 14 (14): 325-328, 1980

      5 Johnstone, A. H., 14 (14): 163-166, 1980

      6 Gudmundsdottir, S., 31 (31): 59-70, 1987

      7 Shulman, L. S., 15 (15): 4-14, 1986

      8 Park, J. W., 18 (18): 245-256, 1998

      9 Cochran, K. F., 44 (44): 263-272, 1993

      10 Stengel, B. S, 11 (11): 29-52, 1997

      11 Haidar, H., 34 : 181-197, 1997

      12 Kim, H. S, 41 (41): 93-114, 2003

      13 No, J. H., 15 (15): 43-62, 1997

      14 Park, J. R., 14 (14): 108-144, 1997

      15 Hu, M., 608-612, 2006

      16 Jung, M. K., 25 : 247-264, 2007

      17 Jo, K. W., 35 : 1-19, 2004

      18 Park, J. W., 18 (18): 209-219, 1998

      19 Kim, M. S., 17 (17): 191-200, 1997

      20 Ha, S. J., 25 (25): 88-97, 2005

      21 Pinarbasi, T., 80 (80): 1328-1332, 2003

      22 Smith, K. J., 73 : 233-235, 1996

      23 곽영순, "예비교사들을 통해 알아본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효과 및 과제: 학생들의 변하지 않는 신념들" 한국지구과학회 23 (23): 309-324, 2002

      24 백성혜, "언 빨래가 마르는 현상에 대한 중등학교 화학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대한화학회 50 (50): 65-78, 2006

      25 김종희, "사범대학 지구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지구과학회 27 (27): 390-400, 2006

      26 최종림, "반성적 실천을 통한 과학교사의 교수실행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793-811, 2009

      27 홍미영,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Ⅱ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204-213, 2002

      28 백성혜,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773-786, 2005

      29 윤희숙, "끓는점 오름 현상에 대한 학생, 예비교사, 화학교사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805-812, 2006

      30 "Zumdahl & Zumdahl Chemistry. 7 e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2008

      31 Rubba, P. A., "Yearbook of the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Teachers of Science"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993

      32 Kwon, J. S., "Theory of Science Education" Kyoyookbook 1998

      33 Stake, R., "Teacher preparation archives: Case studies of NSF-funded midd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er preparation projects" Center for Instructional Research and Curriculum Evaluation College of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1993

      34 Oxtoby, Gillis,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5th)" Thomson Learning 2002

      35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 National Academic Press 1996

      36 "Korea National Strategy Institute Improvement of policies for enhancing teachers'" The Korean Presidential Residence 2006

      37 Atkins, Peter, "Julio Physical Chemistry(7th edition)" Oxford 2006

      38 Noh, S. G., "Instructor in Chemistry Qualification Standard Development: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 Development of Major Subject and Detailed Area of Evaluation" Public Hearing of Class Ability Assessment Research 2008

      39 Carter, K., "In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291-310, 1990

      40 Choi, B. S., "In Chemical Textbook Research and Teaching" Freedom Academy 2004

      41 Kim, H. J., "Chemistry II" Chunjae Education Inc. 2002

      42 Seo, J. S., "Chemistry II" Kumsung Publishing 2002

      43 Song, H. B., "Chemistry II" Hungseul 2002

      44 Yeo, S. I., "Chemistry II" Jihaksa 2002

      45 Lee, D. H., "Chemistry II" Daehanbook 2002

      46 Yeo, S. D., "Chemistry II" Cungmoongak 2002

      47 Woo, K. H., "Chemistry II" Institute For Better Education 2002

      48 Yoon, Y., "Chemistry II" Kyohaksa 2002

      49 Ko, Y. H., "Analysis of Osmosis Concepts Described in Chemistry and Biology Textbooks and the Conceptions on Osmosis of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2

      50 Jung, K. S., "An Investigation on the Secondary Biology Teachers' Misconception in the Definition of Vessel·Sieve Tube, Diffusion ·Osmosis and Transpiration·Evapor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99

      51 Kim, K. J., "A Study on the College Science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Genet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4 0.36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