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위해 요인 증가로 식품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식이 확대되고 식품안전에 대한 요구는 점점 증가하고 있음. 해마다 식품관련 사건은 발생과 소비자 불만은 지속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
식품위해 요인 증가로 식품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식이 확대되고 식품안전에 대한 요구는 점점 증가하고 있음. 해마다 식품관련 사건은 발생과 소비자 불만은 지속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현실이다. 현재 전국의 소비자단체 상담실에는 연간 2만건 이상의 식품관련 소비자 불만사례가 접수되고 있지만, 소비자불만 유형 및 내용, 원인 등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청과의 정보․교류 등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정부에서는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을 파악하기 어렵고 식품관련 사고의 사전 예방적 관리에 한계가 있었음. 이에 민․관이 식품관련 소비자 불만사례를 분석하여 식품안전행정 및 정책에 반영시켜 긍정적인 협력관계로서의 파트너십 모델을 만들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음.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식품 불만상담 사례 종합 분석 결과에서 2008년 1월 ~ 2008년 12월까지 소비자단체에 접수된 식품관련 소비자상담 약 23,689건을(2007년 22,348건 보다 6.0%(1,341건) 증가) 수집․분석하여 식품위해정보에 대한 정보교류를 통해 문제 점에 대한 사안별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음. 연구 방법으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전국 소비자 상담실로부터 식품관련 상담사례를 수집하였고 식품분류별, 거주지역별, 연령별, 구입처별, 상담이유별, 처리결과별로 유형화시켜 통계화함으로써 식품관련 월별 고발추이를 분석하였음. 또한 각 식품상담 분류별로 집중 분석을 실시(16회)하여 분류별 특징 및 문제점을 발견하여 추후 식품안전 사고를 사전 예방 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고자 하였음. 식품관련 소비자의식조사 및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정보탐색 행동연구로써 소비자의식조사를 실시하였음. 전국 13개 지역, 소비자 1,50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정도, 식품안전정보인식정도, 식품안전정보필요성, 식품관련 피해사례, 식품안전사고에 관한 소비행동변화에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식약청 담당실무자, 학계전문가, 소비자 전문가 등으로 연구반을 구성하여 식품안전 소비자의식 설문지 자문회의, 소비자 식품안전포럼(국내․외 식품관련 사고 및 대책)을 개최하였고, 일본과 미국의 소비자 전문가를 초청하여 식품표시제도 현황과 운영을 주제로 국내외소비자불만 사례 및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교류를 위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음. 최종적으로 식품안전관리 방안마련을 위한 대토론회를 개최, 국내 2008년 식품관련 상담 사례분석과 미국의 식품 불만 상담의 제도와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현 시점의 식품안전관리 시스템의 미비점과 추후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하였음.○ 연구목표
○ 소비자단체에 접수된 식품관련 소비자상담을 수집 분석결과를 토대로 위해정보 교류
○ 매월 식품관련 소비자상담사례 분석을 통한 소비자 불만사항 파악 및 소비자불만 해결을 위한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
○ 객관적이고 정확한 식품관련 소비자정보제공을 통한 소비자의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충족 및 식품의 안전성 제고, 식품사고의 사전 예방적 역할 수행
○ 소비자가 신뢰하는 식품안전관리 방안 마련
○ 식품안전에 관한 소비자의식 수준 향상
○ 연구내용
○ 소비자불만사례 수집,분석 및 보고 :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회원단체들이 전국 소비자상담실(서울, 부산, 대구, 광주, 울산, 대전, 춘천 등 대도시 상담실 중심)로부터 식품관련 상담사례 수집 및 분석
○ 식품안전에 관한 소비자 의식조사 및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정보탐색 행동연구
○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한 소비자참여 확대방안 및 식품안전 의식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소비자교육 및 홍보방안 연구
...[중략] 원문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