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 사람들이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토착심리를 탐구하는데 있다.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00504
200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1-195(35쪽)
12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 사람들이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토착심리를 탐구하는데 있다.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 사람들이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토착심리를 탐구하는데 있다.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개인 삶의 질로는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에서의 삶의 질이 포함되었다. 분석대상은 총 3,406명으로서 남녀 초, 중, 고, 대학생 1,331명과 그들의 부모 및 교사 2,075명이었다. 김의철과 박영신(2004b)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의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경제적 요인, 국민들의 노력, 문화/여가생활, 원만한 인간관계, 올바른 정책, 교육수준이, 한국 사회의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경제 불안, 정치 불안, 시민의식 결여, 집단 이기주의, 부정부패/비리, 여가생활 부족, 과도한 교육열이 지적되었다. 둘째, 개인의 가정생활에서 삶의 질은 화목한 가족관계와 경제적 여유가, 학교생활에서 삶의 질은 친구관계와 학업성취가, 직장생활에서 삶의 질은 원만한 인간관계와 경제적 요인 및 성취감이, 여가생활에서 삶의 질은 경제적이고 시간적인 여유 및 인간관계가 중요하였다. 셋째, 세대집단별 인식 차이가 있었다. 한국 사회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정치 불안을, 성인은 경제 불안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가정생활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가족 간의 갈등을, 성인은 경제문제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여가생활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시간 부족을, 성인은 경제적 여건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넷째, 학생은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학업성적이 좋을수록, 자기의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성인의 경우는 나이와 관계없이,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생활에서 성취도가 높을수록, 자기의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삶의 질 인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토착심리를 원만한 인간관계, 경제적 요인, 자기조절, 교육적 성취의 네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in the family, school or workplace, leisure settings, and Korean society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 total of 3,406 participants, consis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in the family, school or workplace, leisure settings, and Korean society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 total of 3,406 participants, consisting of 1,331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and 2,075 parents and teacher,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and Park (2004b). The respondents repor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as follows: Economic condition, collective effort, leisure and cultural life,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ffective government policy, and educational attainment. The factors that reduce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are as follows: Economic uncertainty, political instability, lack of citizenry, ingroup favoritism, corruption, lack of facilities for leisure and social life, and overemphasis on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n the family are as follows: Harmonious family relations and financial security. For students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t school. For adults,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nancial factors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t the workplace. For leisure and social leisure life, financial security, leisure ti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Third, as for generational differences, students reported political instability and adults reported economic uncertain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For family life, students reported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and adults reported financial constraint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For leisure and social life, students reported lack of leisure time and adults reported financial constraint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Fourth, for studen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quality of life: Higher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younger, an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For adul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quality of life: Higher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greater achievement their social lif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the quality of life in Korea, focusing on human relationship, financial factors, self-regula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re discussed.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교육과학사 5 : 2004a
2 "한국인의 건강과 삶의 질" 132-133, 2005
3 "한국의 청소년 문화와 부모자녀관계:토착심리 탐구" 교육과학사 6 : 2004b
4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10 (10): 37-59, 2004
5 "한국 사회의 교육적 성취: 현상과 심리적 기반"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325-351, 2002
6 "한국 문화에서 주관안녕에 관련되는 사회심리 요인들" 138-139, 2005
7 "한국 노인의 우울 증상과 행복" 47-59, 2005
8 "초등학생의 삶의 질에 대한 분석: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2006
9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9 (9): 973-1002, 2004b
10 "청소년과 성인간의 세대차이와 유사성" 6 (6): 181-204, 2000
1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교육과학사 5 : 2004a
2 "한국인의 건강과 삶의 질" 132-133, 2005
3 "한국의 청소년 문화와 부모자녀관계:토착심리 탐구" 교육과학사 6 : 2004b
4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10 (10): 37-59, 2004
5 "한국 사회의 교육적 성취: 현상과 심리적 기반"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325-351, 2002
6 "한국 문화에서 주관안녕에 관련되는 사회심리 요인들" 138-139, 2005
7 "한국 노인의 우울 증상과 행복" 47-59, 2005
8 "초등학생의 삶의 질에 대한 분석: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2006
9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9 (9): 973-1002, 2004b
10 "청소년과 성인간의 세대차이와 유사성" 6 (6): 181-204, 2000
11 "청소년과 부모의 인간관계를 통해 본 신뢰의식: 토착심리학적 접근" 10 (10): 103-137, 2004a
12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와 미래성취 의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성취관련 토착심리" 11 (11): 73-108, 2005
13 "제 4 장. 한국 교육학의 토착화에 대한 회고와 전망: ‘교육심리학’을 중심으로" 원미사 122-161, 2003
14 "왜 한국인의 행복감은 낮은가?" 134-135, 2005
15 "여가활동, 여가동기,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 8 (8): 17-31, 2002
16 "사이(間) 문화가 낳은 싸이 문화" 2006.01.20
17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자료 분석과 생활만족도 형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63-92, 2002
18 "그것이 알고 싶다: 벼락부자, 그 후-부자라서 행복하십니까?" 2006.1.14
19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와 삶의 질" 101-116, 2005
20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 및 질병관리를 중심으로" 11 (11): 143-181, 2005
21 "The MIT Press" The MIT Press 2000
22 "Self-efficacy: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23 "Positive ageing: What is it and why do some people age well?" 27-45, 2005
24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ubjective well-being: Redefining human agency and meaning systems" 7-12, 2002
25 "Money and happiness: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across nations" The MIT Press 2000185-218
26 "Modernization and post- 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count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27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psychological, cultural and ecological analysis" (21) : 1995
28 "Indigenous psychologies. Spielberger, C. (Ed.)." Elsevier Academic Press 2 (2): 263-269, 2004
29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Understanding people in context" Springer 2006
30 "IMF시대가 한국인의 스트레스에 미친 영향: 토착심리학적 접근." 4 (4): 57-79, 1999
31 "IMF시대 한국 학생과 성인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및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6 (6): 77-105, 2001
32 "IMF시대 이후 한국 학생과 성인의 성공에 대한 의식: 토착심리학적 분석." 8 (8): 103-139, 2002
33 "IMF시대 이후 초, 중, 고, 대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 토착심리학적 분석" 8 (8): 105-135, 2002
34 "Culture and organizations:Software of the mind" Mcgraw Hills 1991
35 "Confucianism and family values: Their impac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Korea. Freie Universitat Berlin, Institut fur Allgemeine Padagogik" 3 (3): 229-249, 2000
36 "Chapter 9. An indigenous analysis of success attribution: Comparison of Korean students and adults" Greenwood Publisher 3 : 171-195, 2003
37 "After the "crisis" in social psychology: The development of the transactional model of science" 2 (2): 1-19, 1999
고령운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의 관계
청소년 운전자의 운전중 음악청취가 운전속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09-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 ![]() |
2012-09-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9 | 1.4 | 2.149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