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운전자의 운전중 음악청취가 운전속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usic Tempo on Young Drivers' Driving Spe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05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effect of music tempo on young drivers' driving speed. 23 male college students under age 26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music conditions as follows; No Music, Slow Music and Fast Music. Every subject's travel time(sec) and driving speed(Km/h) was recorded while they were driving a computer-based driving simulator.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1) the fast music group's mean of travel time was the shortest and also, 2) their mean of driving speed was the fastest. The effect of music tempo on driving speed can be explained as a biological mechanism, same as the effect on our heart-beat rate or intensity of physical exercising. This result shows us that listening musics while driving can affect the driving speed instead of the driver's physical condi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sed the effect of music tempo on young drivers' driving speed. 23 male college students under age 26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music conditions as follows; No Music, Slow Music and Fast Music. Every subject's travel time(s...

      This study analysed the effect of music tempo on young drivers' driving speed. 23 male college students under age 26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music conditions as follows; No Music, Slow Music and Fast Music. Every subject's travel time(sec) and driving speed(Km/h) was recorded while they were driving a computer-based driving simulator.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1) the fast music group's mean of travel time was the shortest and also, 2) their mean of driving speed was the fastest. The effect of music tempo on driving speed can be explained as a biological mechanism, same as the effect on our heart-beat rate or intensity of physical exercising. This result shows us that listening musics while driving can affect the driving speed instead of the driver's physical cond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통사고다발집단인 청소년 운전자들의 운전속도에 음악의 빠르기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만 26세 이하의 운전면허를 소지한 남자 대학생 운전자 23명을 각기 다른 음악 조건에 무선 할당한 후, 시뮬레이터를 운전하도록 하였다. 실험조건은 음악 없는 조건, 느린 음악 조건 그리고 빠른 음악 조건으로 나누어서 피험자들의 주행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음악 빠르기 조건에 따라 전체 주행 소요시간은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고속구간에서도 음악 빠르기 조건별 평균속도에서 유의한 집단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청소년 운전자들의 운전속도가 음악의 빠르기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음악 빠르기가 운전자의 생리적인 측면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빠른 음악을 들으면 심박수가 증가하고, 신체운동 강도가 높아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운전상황에서 빠른 음악이 운전자의 신체운동 대신 운전행동에 영향을 미쳐 과속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통사고다발집단인 청소년 운전자들의 운전속도에 음악의 빠르기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만 26세 이하의 운전면허를 소지한 남자 대학생 ...

      본 연구는 교통사고다발집단인 청소년 운전자들의 운전속도에 음악의 빠르기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만 26세 이하의 운전면허를 소지한 남자 대학생 운전자 23명을 각기 다른 음악 조건에 무선 할당한 후, 시뮬레이터를 운전하도록 하였다. 실험조건은 음악 없는 조건, 느린 음악 조건 그리고 빠른 음악 조건으로 나누어서 피험자들의 주행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음악 빠르기 조건에 따라 전체 주행 소요시간은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고속구간에서도 음악 빠르기 조건별 평균속도에서 유의한 집단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청소년 운전자들의 운전속도가 음악의 빠르기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음악 빠르기가 운전자의 생리적인 측면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빠른 음악을 들으면 심박수가 증가하고, 신체운동 강도가 높아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운전상황에서 빠른 음악이 운전자의 신체운동 대신 운전행동에 영향을 미쳐 과속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청소년 운전의 특성과 사고 위험성" 충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3 : 1998

      2 "제5차 교통안전기본계획 목표조정 및 정책방안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003

      3 "운전중 휴대전화 생각보다 안전" 2001

      4 "운전중 실내소음의 유형 및 강도에 따른 주관적 속도감에 관한 연구" 11 (11): 31-46, 2005

      5 "운전자 변인에 따른 사고경향성 분석" 3 (3): 143-157, 1997

      6 "에어로빅 댄스에 있어서 음악의 템포에 따른 심박수 반응과 운동강도의 변화" 10 (10): 31-41, 1996

      7 "록큰롤 음악의 심취정도와 자극추구 성향 및 반사회적 행동 성향의 관계" 27-38, 1988

      8 "교통환경과 운전자의 상태에 따른 위반 및 사고결정요인 1(차량 시뮬레이터와 운전적성검사 개발을 중심으로)"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안전정책연구실 2003

      9 "과속의 위험성과 예방대책" 357 : 40-49, 1998

      10 "Visual acuity with noise & music at 107dbA Journal of Auditory Research" 165-174, 1986

      1 "청소년 운전의 특성과 사고 위험성" 충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3 : 1998

      2 "제5차 교통안전기본계획 목표조정 및 정책방안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003

      3 "운전중 휴대전화 생각보다 안전" 2001

      4 "운전중 실내소음의 유형 및 강도에 따른 주관적 속도감에 관한 연구" 11 (11): 31-46, 2005

      5 "운전자 변인에 따른 사고경향성 분석" 3 (3): 143-157, 1997

      6 "에어로빅 댄스에 있어서 음악의 템포에 따른 심박수 반응과 운동강도의 변화" 10 (10): 31-41, 1996

      7 "록큰롤 음악의 심취정도와 자극추구 성향 및 반사회적 행동 성향의 관계" 27-38, 1988

      8 "교통환경과 운전자의 상태에 따른 위반 및 사고결정요인 1(차량 시뮬레이터와 운전적성검사 개발을 중심으로)"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안전정책연구실 2003

      9 "과속의 위험성과 예방대책" 357 : 40-49, 1998

      10 "Visual acuity with noise & music at 107dbA Journal of Auditory Research" 165-174, 1986

      11 "Vigilance is adversely affected by noise and force maintenance" 4 : 751-756, 2004

      12 "The influence of music on mild driver aggression" 6 : 125-134, 2003

      13 "The influence of music on driver stress" 30 : 1709-1719, 2000

      14 "The influence of misogynous rap music on sexual aggression against women" 19 : 195-207, 1995

      15 "The effect of music amplitude on the relaxation reponse" 37 : 22-39, 2000

      16 "The Manchester Driver Behaviour Questionnaire: a cross-cultural study" 36 : 231-238, 2004

      17 "Strategic changes in task performance in simulated car driving as an adaptive response to task demands" 3 : 123-140, 2000

      18 "SDAT안전운전 적성검사 개발" (13) : 175-189, 1994

      19 "Infants' intermodal perception of events" 8 : 553-560, 1976

      20 "Functions of music in everyday life: an exploratory study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5 : 9-32, 2001

      21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to driving violations in two Chinese cities" 5 : 293-308,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