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양주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통로 폭에 관한 조사 연구 = A Research of the Width of Passage in the Namyangju Elementary School Classro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3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 preliminary study to find out the module of 20 students in a classroo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widths of passages in the 30 classrooms of 5 elementary schools in Namyangju City, Korea.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area of unit for 1 student was 650 (W) × 950 (D). Second, the desk placements for most classrooms were one-way types (87%), and group-study types constituted 13%. Third, the width between the blackboard and the very front desk was 2.17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very back seat and the backside lockers was 1.32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sidewall and the nearby desk was 0.8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window and the nearby desk was 0.8 m. The average widths of 2 vertical passages between the desks were respectively 0.67 m and 0.68 m. Fourth, the area of the teacher was 2.1-2.25 m × 2.16 m = 4.5-4.8 ㎡.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a preliminary study to find out the module of 20 students in a classroo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widths of passages in the 30 classrooms of 5 elementary schools in Namyangju City, Korea.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is a preliminary study to find out the module of 20 students in a classroo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widths of passages in the 30 classrooms of 5 elementary schools in Namyangju City, Korea.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area of unit for 1 student was 650 (W) × 950 (D). Second, the desk placements for most classrooms were one-way types (87%), and group-study types constituted 13%. Third, the width between the blackboard and the very front desk was 2.17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very back seat and the backside lockers was 1.32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sidewall and the nearby desk was 0.8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window and the nearby desk was 0.8 m. The average widths of 2 vertical passages between the desks were respectively 0.67 m and 0.68 m. Fourth, the area of the teacher was 2.1-2.25 m × 2.16 m = 4.5-4.8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상원, "한국 초등학생 인체 및 교육행태 특성을 고려한 단위교실공간의 치수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에 개교한 경기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6

      2 윤희철,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 감소에 따른 일반교실의 적정 모듈에 관한 연구"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17 (17): 33-39, 2018

      3 윤희철,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통로폭에 관한 조사 연구"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17 (17): 26-34, 2018

      4 김학래, "새로운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일반교실 단위공간의 규모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5 이상대, "빛깔이 있는 학급운영" 우리교육 2004

      6 "KS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규격"

      1 한상원, "한국 초등학생 인체 및 교육행태 특성을 고려한 단위교실공간의 치수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에 개교한 경기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6

      2 윤희철,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 감소에 따른 일반교실의 적정 모듈에 관한 연구"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17 (17): 33-39, 2018

      3 윤희철,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통로폭에 관한 조사 연구"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17 (17): 26-34, 2018

      4 김학래, "새로운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일반교실 단위공간의 규모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5 이상대, "빛깔이 있는 학급운영" 우리교육 2004

      6 "KS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규격"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 Korean Education and Green Environment Institu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2-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敎育·錄色環境硏究 -> 교육녹색환경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3-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교육환경연구원 ->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Environment -> Korea Institute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KCI등재후보
      2015-02-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敎育環境硏究 -> 敎育·錄色環境硏究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24 0.90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