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後期 驪州 李氏家의 書畵收藏 硏究 = A Study on keeping the paintings and the calligraphic works of Yeoju Lee Family in the late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13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후기의 여주 이씨 가문의 서화 수장 양상을 밝혀 보기 위한 논고이다. 연구자가 여주 이씨 가문을 주목한 이유는 이 가문에서 유독 서화 수장에 대한 특징적인 면을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수장의 가치, 효과, 관리상태, 수장자 평, 수장경위, 수장 이유, 역할 등 전반적인 양상을 크게 세 단락으로 분류하여 검토하려고 한다.
      첫째, 여주 이씨 가문의 대부분의 인물들은 少陵公과 같은 위대한 인물과 함께 살아보지 못한 시간적 한계성에 아쉬움을 금치 못한다. 이러한 그리움은 시간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편지글 앞에 화상을 그려 첩으로 만들어 시각적인 극복으로 승화하고자 했다. 이렇게 함으로 인해 이상의와 조금이라도 가까이 하려는 계획적인 의도에서 제작한 것이다.
      둘째, 여주 이씨 가문의 대표적인 서예가로는 李志定과 李?이다. 이들에 대해 星湖와 혜환은 후세 사람들에게 그들의 기예적인 면을 따르게 하려고 노력했으며, 나아가 장치자 李觀休를 王方慶에 비유하기에 이른다. 이상의의 簡牘에 畵像을 揭載한 방법상의 특징이 표출되어 있으며, 惠?이 李觀休를 王方慶에 비유한 점은 수장의 가치를 높이 평가한 대표적인 예이다. 이하진이 중국 작가들의 선본 자료를 구입하여 수장한 결과 그의 아들 옥동 이서가 선본자료를 보고 실력을 쌓을 수 있게 된 결과가 되었고, 옥동이 『筆訣』에서 서예 비평을 하는 기준을 왕희지로 삼는 계기가 된 점은 한국 書藝史에 있어서 새로운 획을 그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성호는 수장물의 관리상태로 가풍과 개인의 인격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고 있음을 볼 때 여타의 집안에서 볼 수 없는 수장의 가치를 깊이 인식한 결과물이다.
      셋째, 수장의 가치와 역할에 있어서는 이하진의 수장으로 인해 아들 옥동의 글씨가 과거의 누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으니, 왕희지의 글씨를 판단의 기준으로 삼아 過猶不及을 논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성과는 다른 서예가나 평론가에게서도 볼 수 없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서화의 발전과 이론의 성립은 선본의 수장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수장의 중요성을 각인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조선후기의 여주 이씨 가문의 서화 수장 양상을 밝혀 보기 위한 논고이다. 연구자가 여주 이씨 가문을 주목한 이유는 이 가문에서 유독 서화 수장에 대한 특징적인 면을 발견할 수 ...

      이 글은 조선후기의 여주 이씨 가문의 서화 수장 양상을 밝혀 보기 위한 논고이다. 연구자가 여주 이씨 가문을 주목한 이유는 이 가문에서 유독 서화 수장에 대한 특징적인 면을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수장의 가치, 효과, 관리상태, 수장자 평, 수장경위, 수장 이유, 역할 등 전반적인 양상을 크게 세 단락으로 분류하여 검토하려고 한다.
      첫째, 여주 이씨 가문의 대부분의 인물들은 少陵公과 같은 위대한 인물과 함께 살아보지 못한 시간적 한계성에 아쉬움을 금치 못한다. 이러한 그리움은 시간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편지글 앞에 화상을 그려 첩으로 만들어 시각적인 극복으로 승화하고자 했다. 이렇게 함으로 인해 이상의와 조금이라도 가까이 하려는 계획적인 의도에서 제작한 것이다.
      둘째, 여주 이씨 가문의 대표적인 서예가로는 李志定과 李?이다. 이들에 대해 星湖와 혜환은 후세 사람들에게 그들의 기예적인 면을 따르게 하려고 노력했으며, 나아가 장치자 李觀休를 王方慶에 비유하기에 이른다. 이상의의 簡牘에 畵像을 揭載한 방법상의 특징이 표출되어 있으며, 惠?이 李觀休를 王方慶에 비유한 점은 수장의 가치를 높이 평가한 대표적인 예이다. 이하진이 중국 작가들의 선본 자료를 구입하여 수장한 결과 그의 아들 옥동 이서가 선본자료를 보고 실력을 쌓을 수 있게 된 결과가 되었고, 옥동이 『筆訣』에서 서예 비평을 하는 기준을 왕희지로 삼는 계기가 된 점은 한국 書藝史에 있어서 새로운 획을 그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성호는 수장물의 관리상태로 가풍과 개인의 인격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고 있음을 볼 때 여타의 집안에서 볼 수 없는 수장의 가치를 깊이 인식한 결과물이다.
      셋째, 수장의 가치와 역할에 있어서는 이하진의 수장으로 인해 아들 옥동의 글씨가 과거의 누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으니, 왕희지의 글씨를 판단의 기준으로 삼아 過猶不及을 논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성과는 다른 서예가나 평론가에게서도 볼 수 없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서화의 발전과 이론의 성립은 선본의 수장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수장의 중요성을 각인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spect of keeping the paintings and the calligraphic works of Yeoju Lee Family.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is planned and organized is mainly from curiosity on how Yeoju Lee Family has kept the paintings and the calligraphic works, while devoting themselves to academic works. Therefore, through this research, the value, the effect, the condition, the way, the reason of keeping those artistic works and keepers" comments will be reviewed and explained in three chapters.
      First, the most people in Yeoju Lee Family admired and missed 少陵公, regretting the fact that they were not comtemporary with him(少陵公). They tried to make small letter book with his portrait painted in the first page to maximize the visual effects to be comtemporary with him. By doing so, they could live together with Lee Sang-eui with the book.
      Second, the calligraphers representing Yeoju Lee Family were Lee Ji-jung and Lee Seo. Sung Ho and Hye Whan tried to let future generations follow their artistic characteristics. Futhermore, Lee Kyan-hew, the maker and decorator of the small letter book, was compared to Wang Bang-kyeong.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in method of drawing the portrait on the letter will be examined and the comments of Hye Whan on Lee Kyan-hew, comparing him(李觀休) to Wang Bang-kyeong are examined, too. Lee Ha-Jin acquired the exemplary works of chinese calligraphers and his son, Ok Dong Lee Seo, improved his works studying them. Moreover, this caused Ok Dong to set Wang Hui-ji as the basis of his calligraphy criticism in 『筆訣』. This was a new epoch in Korean calligraphy history. Furthermore, Sung Ho set the management of keeping materials as the basis of judging family tradition and personal character. This view was very unique, not seen in other families.
      Third, the acquisition of the exemplary works of chinese calligraphers by Lee Ha-Jin made way for Ok Dong Lee Seo to lead the new direction in calligraphy out of the past tradition. Wang Hui-ji became the new symbol or basis in judging other calligraphical works. This was unprecedented, not seen in other cases.
      In conclusion, in this paper, keeping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importantly emphasized because it makes progress in painting and calligraphy and at the same time sets new theor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spect of keeping the paintings and the calligraphic works of Yeoju Lee Family.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is planned and organized is mainly from curiosity on how Yeoju Lee Family has kept the paintings 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spect of keeping the paintings and the calligraphic works of Yeoju Lee Family.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is planned and organized is mainly from curiosity on how Yeoju Lee Family has kept the paintings and the calligraphic works, while devoting themselves to academic works. Therefore, through this research, the value, the effect, the condition, the way, the reason of keeping those artistic works and keepers" comments will be reviewed and explained in three chapters.
      First, the most people in Yeoju Lee Family admired and missed 少陵公, regretting the fact that they were not comtemporary with him(少陵公). They tried to make small letter book with his portrait painted in the first page to maximize the visual effects to be comtemporary with him. By doing so, they could live together with Lee Sang-eui with the book.
      Second, the calligraphers representing Yeoju Lee Family were Lee Ji-jung and Lee Seo. Sung Ho and Hye Whan tried to let future generations follow their artistic characteristics. Futhermore, Lee Kyan-hew, the maker and decorator of the small letter book, was compared to Wang Bang-kyeong.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in method of drawing the portrait on the letter will be examined and the comments of Hye Whan on Lee Kyan-hew, comparing him(李觀休) to Wang Bang-kyeong are examined, too. Lee Ha-Jin acquired the exemplary works of chinese calligraphers and his son, Ok Dong Lee Seo, improved his works studying them. Moreover, this caused Ok Dong to set Wang Hui-ji as the basis of his calligraphy criticism in 『筆訣』. This was a new epoch in Korean calligraphy history. Furthermore, Sung Ho set the management of keeping materials as the basis of judging family tradition and personal character. This view was very unique, not seen in other families.
      Third, the acquisition of the exemplary works of chinese calligraphers by Lee Ha-Jin made way for Ok Dong Lee Seo to lead the new direction in calligraphy out of the past tradition. Wang Hui-ji became the new symbol or basis in judging other calligraphical works. This was unprecedented, not seen in other cases.
      In conclusion, in this paper, keeping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importantly emphasized because it makes progress in painting and calligraphy and at the same time sets new theo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序論
      • Ⅱ. 崇祖的 收藏
      • Ⅲ. 技藝的 收藏
      • Ⅳ. 收藏의 價値 및 役割
      • 국문초록
      • Ⅰ. 序論
      • Ⅱ. 崇祖的 收藏
      • Ⅲ. 技藝的 收藏
      • Ⅳ. 收藏의 價値 및 役割
      • Ⅴ. 結論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榮胤 편저, "한국서화인명사전" 예술춘추사 1978

      2 홍선표, "조선후기의 회화 애호풍조와 감평활동, 미술사 논단 5" 한국미술연구소 1997

      3 洪善杓, "조선후기의 회화 애호풍조와 감평 활동" 한국미술연구소 1997

      4 洪善杓, "조선후기 회화의 전신론"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0

      5 강명관,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7

      6 강명관, "조선의 뒷골목 풍경" 푸른역사 2004

      7 황정연, "조선시대 서화수장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8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사 2001

      9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 공간" 소명출판 1999

      10 "여주이씨 성호가문의 가계와 고문서, 『여주이씨 성호가문 전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 金榮胤 편저, "한국서화인명사전" 예술춘추사 1978

      2 홍선표, "조선후기의 회화 애호풍조와 감평활동, 미술사 논단 5" 한국미술연구소 1997

      3 洪善杓, "조선후기의 회화 애호풍조와 감평 활동" 한국미술연구소 1997

      4 洪善杓, "조선후기 회화의 전신론"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0

      5 강명관,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7

      6 강명관, "조선의 뒷골목 풍경" 푸른역사 2004

      7 황정연, "조선시대 서화수장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8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사 2001

      9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 공간" 소명출판 1999

      10 "여주이씨 성호가문의 가계와 고문서, 『여주이씨 성호가문 전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1 이우성, "실학파의 서화고동론, 한국의 역사상" 창작과 비평사 1982

      12 "소릉선생문집 권지1, 권지2"

      13 成均館大學校, "近畿實學淵源諸賢集 1~6"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2002

      14 정은진, "謹齋 이관휴의 書畵收藏 考察―성호학맥의 서화에 대한 관심" 성호학회 (3) : 2006

      15 李用休, "炭?曼?集" 韓國文集叢刊 223

      16 李? 瀷, "星湖先生全集" 韓國文集叢刊 199

      17 나종면, "惠의 文藝認識과 書畵論" (13) : 2000

      18 李用休, "惠?雜著"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2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