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고대 아테네의 추방자 사례 분석을 근간으로 한다. 추방자 사례에 대해서는 주로 고전기의 문헌들과 비문 자료들을 바탕으로 수합하고 그 사례들을 추방 원인, 추방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1982
200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고대 아테네의 추방자 사례 분석을 근간으로 한다. 추방자 사례에 대해서는 주로 고전기의 문헌들과 비문 자료들을 바탕으로 수합하고 그 사례들을 추방 원인, 추방 ...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고대 아테네의 추방자 사례 분석을 근간으로 한다. 추방자 사례에 대해서는 주로 고전기의 문헌들과 비문 자료들을 바탕으로 수합하고 그 사례들을 추방 원인, 추방 기간, 추방자에 대한 제재 내용, 추방자의 해외 활동, 복귀 여부, 복귀 이유 등을 기준으로 분류할 것이다. 여기서 추방 원인에 대한 분석은 추방의 성격을 규정하는 데 결정적 기준이 되며 나아가 해당 공동체사회의 집단정신의 내용을 파악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추방기간과 추방자에 대한 제재 내용 분석은 해당 공동체의 집단정신의 강도(强度)를 파악하는 기준이 되며, 복귀 여부와 복귀 이유에 대한 분석도 집단정신의 지속성과 강도를 살필 수 있는 기준이 된다. 한편 추방자의 해외활동에 대한 분석은 추방자가 자신을 축출한 공동체 사회의 집단정신에 대해 어느 정도 동조하는지를 점검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고대 그리스의 추방자들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그 추방들이 지닌 사회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체(政體) 분쟁으로 인한 정치적 성격의 추방 이외에 종교적 및 문화적 성격의 추방 사례들을 최대한 수집할 것이며 정치적 성격의 추방 사례들에 내재되어 있는 비정치적 원인들을 규명할 것이다. 본 연구의 주된 구성은 두 부분으로 이뤄지는데, 그리스의 추방자의 방대한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분류, 정리하는 작업과 그 추방들이 지닌 사회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부각시키는 작업이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