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평가 사전 경험 = Pre-evaluation experiences of clinical performance evaluation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558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수행평가를 준비하고 평가를 치루기 전까지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J시 소재 1개 대학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으로 10명을 편의추출하였고, 2개의 포커스 그룹으로 진행하였다. 모든 참여자로부터 서면동의를 받은 후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인터뷰 내용은 녹음되어 전사되었다. 의미있는 주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용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수행평가 사전 경험으로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1) 누적된 배움과 훈련을 통한 성장, 2) 평가가 다가올수록 높아지는불안경험과 대처 노력, 3) 평가받는 것에 대한 부담감과 두려움, 4) 평가를 잘 치르기 위하여 평가 직전까지 애씀.
      결론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평가 사전 경험은 평가를 잘 치르기 위해 노력하면서 성장하는 긍정적 경험과 평가받는 상황에 대한 불안과 부담감 등 부정적 경험을 동시에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수행평가 전 준비하는 동안 충분히 훈련할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임상수행능력을 증진시키고, 시험불안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수행평가를 준비하고 평가를 치루기 전까지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

      목적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수행평가를 준비하고 평가를 치루기 전까지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J시 소재 1개 대학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으로 10명을 편의추출하였고, 2개의 포커스 그룹으로 진행하였다. 모든 참여자로부터 서면동의를 받은 후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인터뷰 내용은 녹음되어 전사되었다. 의미있는 주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용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수행평가 사전 경험으로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1) 누적된 배움과 훈련을 통한 성장, 2) 평가가 다가올수록 높아지는불안경험과 대처 노력, 3) 평가받는 것에 대한 부담감과 두려움, 4) 평가를 잘 치르기 위하여 평가 직전까지 애씀.
      결론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평가 사전 경험은 평가를 잘 치르기 위해 노력하면서 성장하는 긍정적 경험과 평가받는 상황에 대한 불안과 부담감 등 부정적 경험을 동시에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수행평가 전 준비하는 동안 충분히 훈련할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임상수행능력을 증진시키고, 시험불안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금희 ; 홍민주 ; 권수혜,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2163-2177, 2019

      2 염영란 ; 최금봉,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이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비판적 사고성향 및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2 (22): 283-293, 2016

      3 이정윤, "한국판 사회공포증 척도(K-SAD, K-FN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16 (16): 251-264, 1997

      4 권복규 ; 김나진 ; 이순남 ; 어은경 ; 박혜숙 ; 이동현 ; 박미혜 ; 오지영 ; 한재진 ; 허정원 ; 유경하,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임상수행능력평가시험 (CPX)에서 교수와 표준화 환자의 평가 결과 비교" 한국의학교육학회 17 (17): 173-184, 2005

      5 김성재,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 현문사 2000

      6 홍은영 ; 김보람, "지시적 심상요법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상태불안,시험불안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점수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6 (26): 16-24, 2020

      7 한애경 ; 조동숙 ; 원종순,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학습경험과수행자신감 조사연구: 실습교과를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 21 (21): 162-173, 2014

      8 홍은희 ; 김묘경,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역량에 대한 융합적 외부평가 경험" 한국융합학회 8 (8): 93-104, 2017

      9 김윤희 ; 강서영 ; 김미원 ; 장금성 ; 최자윤, "졸업인증 임상수행력평가의 유용성 평가" 간호행정학회 14 (14): 344-351, 2008

      10 김영일 ; 박정숙, "정맥주사간호를 위한 사례중심 임상수행능력평가 실습교육의 효과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25-35, 2011

      1 최금희 ; 홍민주 ; 권수혜,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2163-2177, 2019

      2 염영란 ; 최금봉,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이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비판적 사고성향 및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2 (22): 283-293, 2016

      3 이정윤, "한국판 사회공포증 척도(K-SAD, K-FN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16 (16): 251-264, 1997

      4 권복규 ; 김나진 ; 이순남 ; 어은경 ; 박혜숙 ; 이동현 ; 박미혜 ; 오지영 ; 한재진 ; 허정원 ; 유경하,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임상수행능력평가시험 (CPX)에서 교수와 표준화 환자의 평가 결과 비교" 한국의학교육학회 17 (17): 173-184, 2005

      5 김성재,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 현문사 2000

      6 홍은영 ; 김보람, "지시적 심상요법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상태불안,시험불안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점수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6 (26): 16-24, 2020

      7 한애경 ; 조동숙 ; 원종순,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학습경험과수행자신감 조사연구: 실습교과를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 21 (21): 162-173, 2014

      8 홍은희 ; 김묘경,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역량에 대한 융합적 외부평가 경험" 한국융합학회 8 (8): 93-104, 2017

      9 김윤희 ; 강서영 ; 김미원 ; 장금성 ; 최자윤, "졸업인증 임상수행력평가의 유용성 평가" 간호행정학회 14 (14): 344-351, 2008

      10 김영일 ; 박정숙, "정맥주사간호를 위한 사례중심 임상수행능력평가 실습교육의 효과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25-35, 2011

      11 박정숙 ; 최미정 ; 장순양, "임상실습 전 임상수행능력평가(CPX)가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75-85, 2015

      12 김수연, "이미지 상상훈련을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율실습시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76-85, 2017

      13 장은정 ; 장혜정, "웹기반 협력학습 환경에서 대리적 학습을 통한 학습효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37-166, 2008

      14 방순식 ; 김일옥, "신규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과 업무스트레스 및 업무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628-638, 2014

      15 이경은 ; 홍승희, "시뮬레이션 교육의 동영상 관찰학습 활용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7-92, 2021

      16 권소희 ; 김수현 ; 정선영 ; 모문희 ; 전영미 ; 홍선연 ; 이우숙 ; 박주영 ; 박지현 ; 박지현 ; 이현주 ; 손정태, "병원 교육전담간호사가 인지한 신규간호사 필수 간호술기와 실습 교육 개선방안"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2 (32): 309-324, 2021

      17 유명란 ; 강명숙 ; 김혜원 ; 한혜리 ; 최주영, "동료 교수학습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숙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27-36, 2017

      18 박지연 ; 양난미,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363-386, 2014

      19 김정진, "다면평가에서 비호의적 피드백이 피평가자 개발동기에 미치는 영향: 자기유능감과 학습목표성향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4 (14): 53-73, 2014

      20 신윤희 ; 허혜경 ; 박소미 ; 송희영 ; 김기연,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실습평가 프로그램 개발" 한국간호교육학회 13 (13): 32-40, 2007

      21 조옥희 ; 황경혜 ; 임종미, "간호대학생의 평가두려움과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6-66, 2017

      22 노기옥 ; 김명숙, "간호대학생의 시험 전 준비와 시험불안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21-235, 2018

      23 최은영 ; 안금희 ; 오인옥 ; 박애희 ; 박민현 ; 손재이 ; 홍나숙 ; 윤호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신규간호사 대상 핵심기본간호술기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419-429, 2017

      24 Khalaila, R.,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intrinsic motivation, test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nursing students :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35 (35): 432-438, 2015

      25 Sutton, L. A., "The principle of vicarious interac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s" 7 (7): 223-242, 2001

      26 Yusefzadeh, H., "The effect of study preparation on test anxiety and performance : a quasi-experimental study" 10 : 245-251, 2019

      27 Salend, S. J., "Teaching students not to sweat the test" 93 (93): 20-25, 2012

      28 Porcelli, A. J., "Stress and decision making : Effects on valuation, learning, and risk-taking" 14 : 33-39, 2017

      29 Pulido-Martos, M., "Sources of stress in nursing students :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studies" 59 (59): 15-25, 2012

      30 Chan, C. K. Y., "Promoting physical activity with goal-oriented mental imagery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35 (35): 347-363, 2012

      31 Braaksma, M. A. H., "Observational learning and the effects of model-observer similarity" 94 (94): 405-415, 2002

      32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33 Hattie, J., "Measuring the effects of schooling" 36 (36): 5-13, 1992

      34 Sanders, C. W., "Learning basic surgical skills with mental imagery : Using the simulation centre in the mind" 42 (42): 607-612, 2008

      35 Barret, C.,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27 : 364-371, 1998

      36 Campbell, C. G., "Individual day-to-day process of social anxiety in vulnerable college students" 20 (20): 1-15, 2016

      37 Doherty, J. H., "Implementing an expressive writing intervention for test anxiety in a large college course" 18 (18): 18.2.39-, 2017

      38 Kaur, M., "Effect of guided imagery on test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7 (7): 17409-17412, 2017

      39 Wright, C., "Effect of PETTLEP imagery training on performance of nursing skills : Pilot study" 63 (63): 259-265, 2008

      40 Campbell, B., "Continuing competence : An Ontario nursing regulatory program that supports nurses and employers" 25 (25): 22-30, 2001

      41 Krueger, R. A., "Analyzing & reporting focus group results" Sage 1997

      42 Fodor, E. M., "Achievement and power motives, performance feedback, and creativity" 34 (34): 380-396, 2000

      43 이태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미래 간호인재 양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19

      44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20년도 하반기 간호교육인증평가 대학용 편람"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