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UE 프로토타입의 디자인 경영 = Design Management of a TUE(Total Urban Experience) Proto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21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TUE 프로토타입의 디자인경영은 비즈니스 측면과 수익성의 측면보다는 TUE 프로토타입의 디자인에 있어 디자인 사고와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경험적이고 인간적이며 감성적이며 창의...

      TUE 프로토타입의 디자인경영은 비즈니스 측면과 수익성의 측면보다는 TUE 프로토타입의 디자인에 있어 디자인 사고와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경험적이고 인간적이며 감성적이며 창의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도시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총체적인 도시의 경험(Total Urban Experience)을 창출하는 것으로 도시디자인의 대상은 공간과 건축물에 대한 것만이 아닌 그러한 매개체가 도시민과의 인터랙션을 통하여 전달하는 감성과 경험, 가치라고 하겠다. 프로토타입은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 결정을 위해 활용되는 것으로 이노베이션 창출을 위해 모든 디자인 활동에 핵심적으로 사용된다. 프로토타입의 대상은 오늘날 사물, 서비스에서 경험과 감성으로 확장되었다. 본 논고는 총체적 도시의 경험(TUE)을 프로토타입하는 개념과 TUE 프로토타입의 접근방법, 그리고 TUE 프로토타입의 디자인 활동이 어떻게 디자인 경영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ign management of a TUE prototype emphasizes the creative aspects and the human emotional experiential aspects of TUE management using design thinking and design process rather than being concerned with just financial aspects and business aspects. ...

      Design management of a TUE prototype emphasizes the creative aspects and the human emotional experiential aspects of TUE management using design thinking and design process rather than being concerned with just financial aspects and business aspects. The fundamental purpose of urban design is to create Total Urban Experience. The goals of urban design are not only about shaping spaces and architecture, but also about the emotion, value and experiences which those spaces and architecture convey through their interaction with citizens. Prototypes are utilized for accessing design processes and design decisions, and essentially used to create innovation. The goals of this TUE prototype have been expanded from focusing on objects and services to an examination of experiences and emotion. This research proposes TUE prototype for urban design to be innovative and competitive. This research attempts to define what the TUE prototype is, suggest TUE Prototype approaches, and analyzes how design activities for the TUE prototype is design-managed to create an optimum and innovative prototype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이클 슈레이즈, "초일류기업의 성공 비밀: 시리어스 플레이" 세종서적 13-20, 2001

      2 톰 켈리, "이노베이터의 10가지 얼굴" 세종서적 69-108, 2007

      3 이승자,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요소로서의 사용 자 경험디자인" 홍익대학교 2007

      4 톰 피터스, "미래를 경영하라" 21세기북스 108-120, 2007

      5 윌리엄 리드웰, "디자인 불변의 법칙 100가지 고려문화사"

      6 캐서린 베스트, "디자인 매 니지먼트" 럭스미디어 6-19, 2008

      7 김은아, "도시디자인의 뉴패러다임 연구: ‘혁신’요소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4 (14): 80-91, 2008

      8 B.Joseph Pine, "The Experience Economy: Work is Theater & Every Business a Stage" Havard Business School Press 176-198, 2002

      9 Bill Buxton, "Sketching User Experiences: getting the design right and the right design"

      10 "Prof. Bill Dresselhaus, IDAS, on October"

      1 마이클 슈레이즈, "초일류기업의 성공 비밀: 시리어스 플레이" 세종서적 13-20, 2001

      2 톰 켈리, "이노베이터의 10가지 얼굴" 세종서적 69-108, 2007

      3 이승자,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요소로서의 사용 자 경험디자인" 홍익대학교 2007

      4 톰 피터스, "미래를 경영하라" 21세기북스 108-120, 2007

      5 윌리엄 리드웰, "디자인 불변의 법칙 100가지 고려문화사"

      6 캐서린 베스트, "디자인 매 니지먼트" 럭스미디어 6-19, 2008

      7 김은아, "도시디자인의 뉴패러다임 연구: ‘혁신’요소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4 (14): 80-91, 2008

      8 B.Joseph Pine, "The Experience Economy: Work is Theater & Every Business a Stage" Havard Business School Press 176-198, 2002

      9 Bill Buxton, "Sketching User Experiences: getting the design right and the right design"

      10 "Prof. Bill Dresselhaus, IDAS, on October"

      11 Tom Peters, "Excellence 2008:Value-Added by Design" Korea Design Forum 2008

      12 Bill Moggridge, "Designing Interactions" The MIT Press 689-696, 2007

      13 Tim Brown, "Design Thinking" Havard Business Review 84-92, 2008

      14 Kim, Eun-Ah, "Creating Total Urban Experience through Design Management" 103-111,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