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 천 년 세월을 지켜온 한국왕실의 춤이자 국가의 춤인 궁중정재가 기록된 고무보(古舞譜)에 기록된 정재내용을 9단계로 해석하는 교육방법안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64747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80(5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 천 년 세월을 지켜온 한국왕실의 춤이자 국가의 춤인 궁중정재가 기록된 고무보(古舞譜)에 기록된 정재내용을 9단계로 해석하는 교육방법안을...
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 천 년 세월을 지켜온 한국왕실의 춤이자 국가의 춤인 궁중정재가 기록된 고무보(古舞譜)에 기록된 정재내용을 9단계로 해석하는 교육방법안을 마련하는데 두고 내용을 살폈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무보는 한국왕실의 궁중정재를 재현하고 복원할 수 있게 한 유일한 문헌이지만, 징검다리구조로 기록되어 춤의 연결내용이 생략되었고, 띄워 쓰기가 되어있지 않아 문맥의 흐름을 읽어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고무보의 해석은 기존의 한자해석과 함께 궁중의 특수한 문화를 이해하는 관점으로 교육되어야 하는데, 필자가 마련한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시하면 1단계 해석, 2단계 정재용어 구분, 3단계 음악구조, 4단계 창사구조, 5단계 무용구조, 6단계 실기와 문헌의 간극 이해, 7단계 제작[안무]을 위한 생략내용 탐색, 8단계 실연 가능성 검토, 9단계 문헌고증에 의한 복원할 내용의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고 문헌 고증을 토대로 실제를 제작하는 교육이다.
지금까지 고무보가 있어도 이의 교육 활용도가 낮았던 이유는 위와 같은 고무보의 해석방법안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제부터라도 국가기관 에서는 궁중정재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교육정책과 함께 연구진 양성을 위한 연구기반을 마련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9-step education method that interprets the Jeongjae recorded in the Gomubo[古舞譜], which was originally written for the Court Jeongjae of Korea’s royal dance and national dance and then maintained for 1,000 years...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9-step education method that interprets the Jeongjae recorded in the Gomubo[古舞譜], which was originally written for the Court Jeongjae of Korea’s royal dance and national dance and then maintained for 1,000 years covering the period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Gomubo is the only reference that can reproduce and reconstruct the Court Jeongjae attached to Korea’s royal dance. However, the details of the dance’s connection have been omitted due to the stepping-stone structure and the context flow cannot be understood because the spacing hasn’t been processed properly.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Gomubo needs be educat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Chinese characters and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special culture of royal. So, this study proposes the new education method as follows: step1–interpretation, step 2–the classification of Jeongjae terms, step 3-music structure, step 4-Changsa[唱詞] structure, step 5-dance structure, step 6-the gap understanding of practice and reference, step 7-searching for the omitted details for production [choreography], step 8-the realizable review, and step 9-the establishment of a theoretical system for the contents restricted through historical research for references and production according to its research.
Until now, the Gomubo has been utilized solely for education even though the Gomubo has long existed. This is the reason why no plans to interpret the Gomubo have been implemen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rrange a research base with the aim of training researchers with the appropriate education policy to interpret the special property of the Court Jeongja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민족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2 이흥구, "한국궁중무용총서7" 보고사 2009
3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4 李美英, "포구악과 보상무의 비교연구" 淸州大學校 大學院 1986
5 朴銀英, "춘앵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6 손선숙, "정재무보체계의 보완과 방안마련 연구 I - 「몽금척」 정재의 대형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20 (20): 179-210, 2007
7 손선숙, "정재 무보체계의 보완과 방안마련연구(2): <포구락>정재의 이동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사학회 8 : 95-135, 2008
8 손선숙, "정재 무보체계의 보완과 방안마련 연구 Ⅲ" 한국음악사학회 (40) : 307-338, 2008
9 성무경, "완역집성정재무도홀기" 보고사 2005
1 "한국민족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2 이흥구, "한국궁중무용총서7" 보고사 2009
3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4 李美英, "포구악과 보상무의 비교연구" 淸州大學校 大學院 1986
5 朴銀英, "춘앵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6 손선숙, "정재무보체계의 보완과 방안마련 연구 I - 「몽금척」 정재의 대형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20 (20): 179-210, 2007
7 손선숙, "정재 무보체계의 보완과 방안마련연구(2): <포구락>정재의 이동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사학회 8 : 95-135, 2008
8 손선숙, "정재 무보체계의 보완과 방안마련 연구 Ⅲ" 한국음악사학회 (40) : 307-338, 2008
9 성무경, "완역집성정재무도홀기" 보고사 2005
10 趙南奎, "악학궤범과 정재무도홀기상에 나타난 처용무에 대한 비교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89
11 이혜구,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12 "세종의 꿈, 봉황의 춤사위타고 하늘로 오르다"
13 "세종대왕이 창제한 찬란한 문화유산 여민락 봉래의"
14 조규익, "세종대왕의 <봉래의> 그 복원과 해석" 민속원 2015
15 "봉래의(鳳來儀) 봉황이여 오라"
16 김죽엽, "문헌별 홀기해석에 의한 포구락 진행절차 비교분석" 한국무용연구학회 28 (28): 61-85, 2010
17 백현순, "당악정재(唐樂呈才) 포구악(抛毬樂)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37 (37): 301-312, 1998
18 손선숙, "궁중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출판사 2009
19 손선숙, "궁중정재의 복원과 재현" 학고방 2012
20 손선숙, "궁중정재의 문화재 지정을 위한 문헌고증 방안 모색"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 : 285-330, 2016
21 손선숙, "궁중정재의 교육적 수용범위와 한계에 따른 기본적 이해" 황실학회 8 : 57-84, 2007
22 손선숙, "궁중정재의 교육방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23 손선숙, "궁중정재용어연구" 민속원 2008
24 손선숙, "궁중정재용어사전" 민속원 2005
25 손선숙, "궁중정재교육방법론" 민속원 2005
26 "궁중무용무보제9집" 국립국악원 1999
27 "궁중무용무보제8집" 국립국악원 1997
28 "궁중무용무보제7집" 국립국악원 1994
29 "궁중무용무보제6집" 국립국악원 1993
30 "궁중무용무보제5집" 국립국악원 1993
31 "궁중무용무보제4집" 국립국악원 1992
32 "궁중무용무보제3집" 국립국악원 1987
33 "궁중무용무보제2집" 국립국악원 1987
34 "궁중무용무보제1집" 국립국악원 1986
35 "궁중무용무보제13집" 국립국악원 2009
36 "궁중무용무보제12집" 국립국악원 2005
37 "궁중무용무보제11집" 국립국악원 2004
38 "궁중무용무보제10집" 국립국악원 2003
39 문숙희, "가·무·악 융합에 바탕을 둔 <봉래의> 복원 연구" 한국공연문화학회 (28) : 35-81, 2014
40 張師勛, "韓國傳統舞踊硏究" 一志社 1979
41 민족문화사, "樂學軌範" 국립출판부 1956
42 "樂學軌範" 一潮閣 2001
43 "樂學軌範" 국립국악원 1989
44 "樂學軌範" 大提閣 1973
45 이흥구, "朝鮮宮中舞踊(Ⅱ)" 은하출판사 2003
46 이흥구, "朝鮮宮中舞踊(Ⅰ)" 열화당 2000
47 "時用舞譜全·呈才舞圖笏記" 국립국악원 1980
48 國立國樂院, "建元1400年開院50年國立國樂院史" 국립국악원 2001
49 손선숙, "宮中呈才用語에 대한 硏究Ⅱ:呈才用語內容에 나타나는 區分性을 중심으로" 韓國音樂史學會 25 : 73-102, 2000
50 손선숙, "宮中呈才動作用語의 反復性에 대한 硏究:呈才舞圖笏記를 中心으로" 한국무용협회 (5) : 82-97, 1998
51 이혜구, "國譯樂學軌範"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79
52 "國譯樂學軌範"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79
53 "呈才舞圖笏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54 정은혜, "呈才硏究Ⅰ" 대광문화사 1993
55 "世宗實錄樂譜" 국립국악원 1989
56 손선숙, "『악학궤범』취풍형의 회무 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 28 : 121-142, 2013
57 손선숙, "『악학궤범』을 토대로 한 처용무의 재창작" 한국무용사학회 (10) : 7-42, 2009
58 손선숙, "『악학궤범』<봉래의> 여민락 무의 이동구조 탐색" 무용역사기록학회 23 : 19-43, 2011
59 손선숙, "『악학궤범』<봉래의> ‘치화평무’의 복원 및 재현을 위한 고무보(古舞譜) 고찰" 무용역사기록학회 25 : 43-61, 2012
60 "『악학궤범』 봉황음 중기의 <처용무>"
61 김명숙, "「춘대옥촉」의 재현에 관한 고찰" 한국무용예술학회 8 (8): 33-58, 2001
62 "<봉래의> 여민락무, ‘해석이 있는 세종의 음악세계'"
유라시아 춤 문화 교류의 시원(始原) - 1920년대 경성의 〈예술학원(藝術學院)〉 을 중심으로
지홍 박봉수(智弘 朴奉洙, 1916-1991)의 행적과 작품세계 연구
한국문학 연구 방법론의 내재적 모색 - 현실대응에 대한 철학적 논리와 문학적 형상 -
신재효 〈오섬가〉 재론 - 장르 귀속 문제와 작가 의식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797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