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논어교과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대학 교양과목으로서 논어 교과의 가치를 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정한 교과의 효과성은 학생들의 평가 및 만족도로서 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3421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3-262(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논어교과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대학 교양과목으로서 논어 교과의 가치를 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정한 교과의 효과성은 학생들의 평가 및 만족도로서 학...
본 연구는 논어교과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대학 교양과목으로서 논어 교과의 가치를 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정한 교과의 효과성은 학생들의 평가 및 만족도로서 학생들의 직접적인평가를 통하여 교과의 성과 분석과 수업 개선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논어교과를 교양필수로 지정하여 운영하는 대학을 사례로 하여 학생들의 논어교과 및 다른 교양과목에 대한 강의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강의평가 문항 중 비교가능한 수업요소로서 학생과의 소통, 수업내용 이해, 실력향상도, 만족도 등의 4개 요소를 추출하였고, 이것에 대한 논어교과 수업방식간 그리고 다른 교양과목간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논어교과 일반강의방식은 수업내용 이해도, 수업 만족도등에서 다른 수업방식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논어교과의 이 강의방식은 타 인문 교양교과와 비교해서도 학생과의 소통, 수업내용 이해, 실력향상도, 만족도 등 모든 항목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논어교과 영어연계강의의 경우는 교수의 소통 노력과 관련해서는 높이 평가되었지만, 수업내용 이해도, 수업 만족도 등에서는 덜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타 인문 교양교과와 비교하면 학생과의 소통과 실력향상도에서는 더 효과적이었으나, 수업내용 이해와 수업 만족도에서는 덜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논어교과 사이버강의는 다른 수업방식과 타 인문 교양교과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한편 토론중심 교양교과는 논어교과의 모든 수업방식과 타인문 교양교과에 비해 교과 효과성과 관련한 모든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논어의 교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므로 그 내용에 충실한 방법으로 개선하고 수업내용에서 다른 내용과 연계할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논어교과에서 사이버강의는 수업 내용을 온라인으로 전달하는 방법 이외에 이해의 깊이를 심화시킬 수 있는 상호작용의 방법이 병행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토론중심의 교양수업 방식은 논어 교과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사례가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valu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colleges liberal arts curriculum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curricular effectiveness.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University to operate as a liberal arts curric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valu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colleges liberal arts curriculum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curricular effectiveness.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University to operate as a liberal arts curriculum specifying the Analects were required, to practice the course evaluation results for student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other liberal arts curriculum. Four factors as comparable class element of the question such as communicating with students, instruction understanding, progress degree, satisfaction degree, are extracted. Analects curriculum teaching methods for thes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cultural subjects were statistically validated .In conclusion, students are sympathetic enough because the valu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subjects showed a substantial improvement in the way their content and does not need to be linked with other information in the instruction. Furthermore, in the subject Analects cyber instruction is needed to be parallel to the way of interaction which can deepen the depth of understanding of how to transfer the instruction in addition to on-line contents delivery. Liberal Arts classes of centered the discussion approach has become an important practic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education curriculum.
교육 : 『논어』,『맹자』를 활용한 대학 인문고전 교양교육 사례 연구
사상 : 근대 전환시기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의 학문관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