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성 통합적 관점에서 가족정책의 재구조화에 대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는 가족정책의 관점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 섰을 때 일과 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78828
200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1-319(29쪽)
4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성 통합적 관점에서 가족정책의 재구조화에 대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는 가족정책의 관점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 섰을 때 일과 가...
본 논문은 성 통합적 관점에서 가족정책의 재구조화에 대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는 가족정책의 관점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 섰을 때 일과 가족 양립의 문제가 특정한 성의 문제가 아닌 보편적 시민의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즉 허구적 믿음에 근거한 공ㆍ사적영역의 분리를 (성별구분 없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통합시킬 때 공적가치인 정의의 문제와 사적가치인 보살핌의 대립이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노동주체로서 남성과 여성의 통합성과 현실적 문제로써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 근거한 ‘이해’의 상이함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가족정책의 틀은 가족 구성원이 노동하는 장소에 따라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가족정책의 틀에 따라 가족정책을 가족영역과 시장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가족정책의 내용은 가족구성원이 노동권과 가족권을 실현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완화ㆍ제거하는 정책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족정책의 방향은 여성과 남성이 생계부양과 보살핌의 책무를 함께 나누게 하는 것이다. 이는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허구적인 공ㆍ사적영역의 분리를 통합시켜 내는 것으로, 궁극적인 가족정책의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는 보편적 일과 가족 양립을 실현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discuss the restructuring of the family policy from a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Several meaningful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examining family policy from the laborer's perspective, the issue of work and fami...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discuss the restructuring of the family policy from a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Several meaningful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examining family policy from the laborer's perspective, the issue of work and family becomes not a gender-related issue but rather an issue for universal people. Second, in order to include the difference in interest among men and women in the labor market, and to view the issue from a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the framework for family policy should consider the place of labor. Third, if family policy is divided into family and labor arena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framework, the core content of the policy should gear toward loosening and/or eliminating barriers to fulfill the right to work for pay and the right to care for family. Lastly, family policy should aim at men and women sharing the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and caring for the family. By doing so, we may be closer to maintaining work and family together, the ultimate goal of family polic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핵가족 이데올로기와 복지국가 가족부양의 정치경제학 경제와 사회" 173-204, 1992
2 "한국여성개발원 역 개념의 혼돈-현실의 혼돈 가부장제 국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 여성과 국가 국가정책과 여성의 공사영역의 변화 한국여성개발원" 84-122, 19891989
3 김성천, "한국가족복지정책의 재조명 : 문제점과 개혁방향의 모색" 71-102, 2000
4 최경석,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1
5 이박혜경, "페미니즘=Feminism" 2002
6 최은정, "젠더불평등 : 페미니즘 이론과 정책=Gender inequality : feminist theories and politics (2nd ed.)" 2005
7 한상진, "제3의 길=The third way" 2000
8 여성부, "전국가족조사 통계표 및 해설자료" 2003
9 선우덕, "인구고령화와 보건복지대책 : 노인여성가족부문" 2004
10 윤홍식, "이혼 및 별거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와 사회안전망의 역할 : 미국의 사회안전망의 대응과 한국적 함의" 53 : 51-73, 2003
1 "핵가족 이데올로기와 복지국가 가족부양의 정치경제학 경제와 사회" 173-204, 1992
2 "한국여성개발원 역 개념의 혼돈-현실의 혼돈 가부장제 국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 여성과 국가 국가정책과 여성의 공사영역의 변화 한국여성개발원" 84-122, 19891989
3 김성천, "한국가족복지정책의 재조명 : 문제점과 개혁방향의 모색" 71-102, 2000
4 최경석,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1
5 이박혜경, "페미니즘=Feminism" 2002
6 최은정, "젠더불평등 : 페미니즘 이론과 정책=Gender inequality : feminist theories and politics (2nd ed.)" 2005
7 한상진, "제3의 길=The third way" 2000
8 여성부, "전국가족조사 통계표 및 해설자료" 2003
9 선우덕, "인구고령화와 보건복지대책 : 노인여성가족부문" 2004
10 윤홍식, "이혼 및 별거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와 사회안전망의 역할 : 미국의 사회안전망의 대응과 한국적 함의" 53 : 51-73, 2003
11 장혜경, "외국의 가족정책과 한국의 가족정책 및 전담부서의 체계화 방안 연구" 여성개발원 2002
12 오정화, "여성과 일상생활=Women and the common life" 문학과 지성사 2004
13 이미경, "신자유주의적 반격 하에서 핵가족과 가족의 위기 : 페미니즘적 비판의 쟁점들" 공감 1999
14 이혜경, "성통합적 복지국가 재편 논의를 위한 여성주의적 비판" 19 (19): 161-189, 2003
15 통계청, "사회통계조사" 2002
16 남찬섭 역, "비교사회정책" 한울 아카데미 19921982
17 장지연, "복지국가에 대한 페미니스트 관점의 기여와 한계" 한국사회학회 38 (38): 177-200, 2004
18 임성근, "복지국가 전략 : 스웨덴모델의 정치경제학" 논형 2003
19 김수정, "복지국가 가족지원정책의 젠더적 차원과 유형" 38 (38): 209-233, 2004
20 김혜경, "보살핌 노동의 정책화를 둘러싼 여성주의적 쟁점 : 경제적 보상을 중심으로" 20 (20): 75-106, 2004
21 이충훈,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The sexual contract" 2001
22 양옥경,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복지의식 연구: 서울지역 기혼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229-256, 2002
23 김인숙, "가족정책의 성인지적 관점 강화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4
24 L. Harding, "가족정책을 위한 탐색 : 복지국가와 여성정책" 201-229, 2000
25 윤홍식, "가족의 변화와 건강가정기본법의 대응: 한국가족정책의 원칙과 방향 정립을 위한 고찰"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4) : 263-293, 2004
26 안호용, "가족은 없다 : 가족이데올로기의 해부=The family in question : Changing households and familiar ideologies" 1997
27 이진숙, "가족복지정책의 패러다임 검토" 건국대학교 충주캠퍼스 21-46, 2003
28 Parsons, "the Free Press of Glencoe" 1955
29 Lewis, "family and social policies in Europe in Women and social policies in Europe edited by Lewis" Edward Elgar 1993
30 Pateman, "edited by 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1-260, 1987
31 Leria, A, "Working parents and the welfare state : Family change and policy reform in Scandinav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2 Esping-Andersen, G, "Welfare states at the end of the century : The impact of labour market family and demographic change" OECD 63-80, 1997
33 Bergqvist, C, "Welfare state restructuring and child care in Sweden" 287-308, 2002
34 Coontz,S, "The way we never were:American families and the nostalgia trap" Basic Books 1992
35 Valiente, C, "The value of an educational emphasis : Child care and restructuring in Spain since 1975" 57-70, 2002
36 Gauthier, A, "The state and the family : A comparative analysis of family policie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7 Leria, A, "The modernisation of motherhood" 159-169, 1998
38 Durkheim,E,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Free Press 1960[1933]
39 Daly, M, "The Gender Division of Welfare : the Impact of the British and German Welfare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0 Sainsbury, D, "Taxation family responsiblities and employment" Sage Publication 185-209, 1999
41 Meisaari-Polsa, T, "Sweden : a case of solidarity and equality" Meisaari-Polsa Clarendon Press Oxford 302-347, 1997
42 O'Conner, J, "States markets families : Gender liberalism and social policy in Australia Canada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3 Hirdman, Y, "State policy and gender contracts: the Swedish experience" 36-46, 1998
44 Bruning, G, "Parental leva and equal opportunities : Experiences in eight European countries" 195-209, 1999
45 Moss, P, "Parental leave in context" 1-24, 1999
46 Sleebos, J, "Low fertility rates in OECD countries : Facts and policy responses" OECD social 2003
47 in Family policy, "Government and families in fourteen countries edited by Kamerma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8
48 Mahon, R, "Gender and welfare state restructuring : through the lens of child care" 1-27, 2002
49 Charles, N, "Feminism the state and social policy" MaCmillan Press LTD 2000
50 Zimmerman,S, "Family policies and family well-being:The role of political culture" Sage Publication 1992
51 Misra, J, "Familism and welfare regimes : Poverty employment and family policies" 2005
52 Gornick, J, "Families that work : Policies for reconciling parenthood and employment" Russell Sage Foundation 2003
53 and A, "Families and the idea of family policy Government and families in fourteen countries edited by S" Columbia University Press 1-16, 1978
54 Gilbert,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Prentice-Hall 1986
55 Lister, R, "Dilemmas in engendering citizenship" Routledge. 2000
56 안병철, "Change or continuity" 을유문화사 19921986
57 OECD, "Babies and Bosses :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Volume 1 Canada Finland Sweden and the United Kingdom" OECD 2005
58 OECD, "Babies and Bosses :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Volume 1 Australia Denmark and the Netherlands" OECD me 1 australia : 2002
59 Esping-Andersen, G, "After the golden age Welfare state dilemmas in a global economy" Sage Publications 1-31, 1996
60 Fraser, N, "After the Family Wage : a Postindustrial Thought Experiment" 1-32, 2000
61 Becker,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사회복지정책 결정 구조에 대한 정책 연결망 분석 : 문민 정부와 국민의 정부 비교
사회복지 가치를 매개로 한 사회복지 교육과 옹호 태도 및 전략의 인과관계 분석
분배조정과 생산조정의 제도적 상보성에 관한 비교사회정책연구 : 소득 불평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 | 1.87 | 2.088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