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일제하 군산이라는 특정 공간의 표상이 문학적 형상화 과정을 거치면서 어떻게 자리를 잡고 있는지 그 변모의 양상을 살폈다.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도시 가운데 하나인‘군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4327
-
2016년
Korean
일제하 군산 ; Kunsan Undar Japanese Colonial Rule ; Modern Literature ; Background of Produced in the Context ; Gangsanggiu ; Hyeolrurok ; Cheongcheonbaekil ; Chunmong ; 「Transition」 ; 「Hwamuljadongcha」 ; Doll out of the house ; Takruu ; 「Nongu」 ; 「Dangsanje」 ; 「Gohyasara ; 문학적 형상화 ; 식민성의 확산 ; 암울한 현실 ; 가난과 향락 ; 배제와 차별 ; 식민지 근대성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일제하 군산이라는 특정 공간의 표상이 문학적 형상화 과정을 거치면서 어떻게 자리를 잡고 있는지 그 변모의 양상을 살폈다.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도시 가운데 하나인‘군산’...
본고에서는 일제하 군산이라는 특정 공간의 표상이 문학적 형상화 과정을 거치면서 어떻게 자리를 잡고 있는지 그 변모의 양상을 살폈다.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도시 가운데 하나인‘군산’은 그것의 지리적, 정치적 위상과 함의에 따른 몇 가지 문화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것은 군산의 식민지 도시화와 맞물려 있는데 일제의 강압적 근대화의 전개 양상에 따라서 ‘식민성의 확산’‘암울한 현실’‘가난과 향락’‘배제와 차별’이라는 문화 코드로 나타나며, 점차로 식민적 근대성이 가속화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transformation features of geographical and literary represent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presentation of Gunsan embodied in th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You can extract a few literary codes linked to Gunsan, One of...
This study examined the transformation features of geographical and literary represent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presentation of Gunsan embodied in th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You can extract a few literary codes linked to Gunsan, One of treaty ports in Colonial along with its political status and implication. This is a colonial city of Gunsan and the yoke of Japanese colonial rule, especially under the Changing Process of Modernization to be the strengthening as a ‘the spread of the Colonial Office’ ‘dismal reality’ ‘poverty and pleasures’ of place, accelerate an increasingly modern colony, and appear on cultural codes that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waged.